• Title/Summary/Keyword: 배발생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과정의 해부학적 관찰 (Anatom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Oenanthe javanica ($B^{L}.$) DC.)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23-327
    • /
    • 1995
  • 미나리의 체세포 배발생 과정을 해부학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배발생 기원세포와 캘러스를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배발생 세포는 hematoxylin에 짙은 보라색으로, 비배발생 세포는 safranin에 적색으로 염색되어 광학현미경하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배발생 캘러스는 많은 수의 원배 및 발육중인 배, 비배발생 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체세포 배발생은 발육 중인 배나 세포괴의 표피세포에 위치한 배발생 세포의 하나가 분열하거나 세포괴내의 비배발생 세포속에 묻혀 있는 배발생 세포가 분열하여 일어났다. 배발생 과정은 항상 일정한 형태는 아니지만 단세포로부터 일정한 segmentation 과정를 거쳐서 배발생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배발생 세포는 비배발생 세포에 비하여 세포질이 조밀하고 핵이 대형이며 amyloplast, 인지질체 및 세포소기 관들이 많으며 액포가 없거나 매우 작았다. 이들 세포들은 두터운 세포벽에 의하여 주위의 비배발생 세포와 분리되어 있으며 세포윤곽은 둥글었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배발생캘러스는 외부가 그물이 씌워진 형태의 구형의 다양한 크기의 배들과 비교적 크기가 큰 비배발생 세포들이 혼재하였다. 한편 비배발생능 캘러스는 구성세포가 크고 외부에는 gelatin같은 물질로 덮여 있었다.

  • PDF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 캘러스의 획득과 발달 형태 (Production and Developmental Pattern of Embryogenic Callus in Oenanthe javanica ($B_{L.}$) DC.)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83-290
    • /
    • 1995
  • 미나리의 체세포 배발생 조건 및 기작을 구명하고자 배발생 캘러스의 획득에 적합한 시료와 배지를 구명하고 배발달의 과정을 관찰하여 본 결과, 기내 식물체 확보를 위한 미나리의 경정배양은 발생한 줄기 수와 생육상태로 보아 BA가 0.1 - 0.5 mg/L 첨가된 MS배지가 적합하였으며 배발생 캘러스의 발생은 배유와 함께 채취ㆍ배양한 유배를 2,4- D가 1 mg/L 첨가된 배지에서 2 개월간 배양하였을 때 발생하였다. 기내에서 생장한 줄기와 엽병을 배양하였을 경우는 치상후 2과에 엽병의 절단 부위에서 발생한 캘러스는 모두 배발생 캘러스가 아니였으나 치상 후 6 - 8주에 줄기와 엽병의 표피부위에서 발생한 캘러스는 배발생 캘러스이었다. 배발생 캘러스는 계대배양에 의하여 대양 증식이 가능하며 이들은 배발생 캘러스와 비배발생 캘러스를 동시에 형성하였다. 비배발생 캘러스는 다양한 생장조절제를 첨가한 액체 및 고체배지에 반복 및 지체배양하여도 배발생 캘러스로의 분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비배발생 캘러스는 고체배지에 배양하면 쉽게 증식되어 뿌리를 분화하며, 액체배지 에 현탁배양할 경우에는 단세포로 단리되고, 다시 이들은 작은 원형세포괴를 형성한 후 단지 뿌리만을 발생하였다.

  • PDF

당근 세포배양으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아스콜빈산의 효과 (Effects of Ascorbate on Somatic Embryogenesis in Carrot Cell Cultures)

  • 소웅영;김이엽;조덕이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3-148
    • /
    • 1999
  • 당근의 배양세포로부터 체세포배의 발생과정에 미치는 아스콜빈산 및 dehydroascorbic acid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도하였다. 비배발생세포의 배양에 처리된 아스콜빈산은 세포증식을 촉진시켰을 뿐인데 dehydroascorbic acid는 세포증식을 억제시키면서 배발생세포로 전환시킨 효과가 있었다. 배발생세포의 배양에 처리된 아스콜빈산은 체세포배 발생을 억제시켰지만 dehydroascorbic acid는 체세포배발생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발생촉진은 구상배에서 중단되므로 성숙에는 오히려 저해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당근의 캘러스배양에 dehydroascorbic acid를 처리하여 빠른 시일내에 배발생캘러스를 확보한 다음 dehydroascorbic acid 첨가 배발생 배지에서 초기배발생기간 배양 후 MS 기본배지로 옮겨 배양하면 고빈도의 체세포배생산 실험계가 확립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카네이션의 미숙화뢰 배양을 통한 체세포배 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Immature Flower Bud Cultures of Carnation)

  • 안병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69-374
    • /
    • 1997
  • 카네이션의 종묘 급속증식 기술 및 형질전환 연구의 기초 연구로서 체세포배발생 조직배양 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Desio' 카네이션의 20 mm 이하의 미숙화뢰를 2,4-D가 1 ㎎/L 함유된 MS 기본배지에서 배양하면 배발생 캘러스가 5-l0%의 효율로 유도되었으나, 줄기 정단분열조직, 잎, 절간조직과 20 ㎜ 이상의 화뢰에서는 비배발생 캘러스만이 형성되었다. 동일한 배양방법을 16품종의 절화용 카네이션에 적용한 결과, 7품종에서 배발생 캘러스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일부 배발생 캘러스 세포주는 120주 이상 배발생능 상실 없이 계대배양을 통해 증식할 수 있었으며, 액체 진탕 배양을 통해 배발생 세포괴 상태로 급속 증식하는 배양체가 획득되었다. 배발생 캘러스 또는 액체배양 배발생 세포괴를 호르몬이 포함되지 않은 MS 한천배지에 이식하며 2-3주내에 체세포배 발생을 통하여 식물체가 재분화되었다. 토양이식된 식물체는 정상적으로 생장하여 20주 후 개화하였다.

  • PDF

장기간 계대배양 된 장미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및 비정형체로부터 새로운 배발생캘러스 재생 (New embryogenesis from atypical bodie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long-term subcultured embryogenic callus in rose)

  • 이수영;도경란;천경성;김원희;권오현;이혜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89-93
    • /
    • 2014
  • 장미 형질전환체를 개발하기 위한 유전자 도입 재료로써 5 ~ 6년 이상 장기간 유지 증식된 장미 배발생캘러스의 이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2007년 및 2009년에 각각 처음으로 기내 뿌리유래 캘러스로부터 유도된 후 유지 증식배지에서 계대배양 해 온 장미 '스위트 옐로우' 품종 및 KR056002와 KR056006 2계통 유래 배발생캘러스로부터 식물체의 재분화 능력을 확인하였다. 장기간 계대배양 된 배발생캘러스로부터 신초의 모습을 갖춘 식물체로 재분화 되기까지 소요기간 및 재분화율은 '스위트옐로우' 품종은 3 ~ 4개월, KR056002 및 KR056006은 4 ~ 5개월로, 이들 배발생캘러스가 기내뿌리로부터 처음으로 배발생 된 후 최초 신초 재분화 때와 동일한 양상이었다. 또한 체세포배발생캘러스의 유지 증식을 위한 계대배양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정형체 위에 새로운 배 및 배발생캘러스가 유도되었다. 이 비정형체는 새로운 배발생캘러스를 유도할 수 있는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구마 정단분열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casein의 영향 (Effect of Casein on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Shoot Apical Meristem Explant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 신공식;노경희;이연희;박용환;서석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67-72
    • /
    • 2004
  • 고구마의 정단배양에 의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대량증식 체계가 개발되어져 왔다. 고구마 정단분열조직은 1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 4주 경에 최적의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2,4-D가 첨가된 배지에 casein을 첨가함으로써 고구마 신천미 품종의 배발생 효율을 최고 90%이상으로 2.4-D단독처리보다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의 유도는 식물생장조절제가 제거된 MS 기본배지에서 효과적으로 형성되었으며 300∼500mg/L casein을 첨가한 배지에서는 더 높은 형성 빈도와 녹색의 단단한 체세포배가 발달하였다. 한편, 2mm이하의 체세포배로부터 이차 배발생 캘러스 형성 및 체세포배의 발달이 100∼300mg/L casein의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다 배발생 캘러스에서 얻어진 체세포배는 직접 MS기본배지에서 쉽게 각 기관이 형성되었으며, 발근과 shoot를 발달시켜 정상적인 식물체로 하여 토양에 성공적으로 옮겨 심을 수 있었다.

생물반응기 배양을 통한 두릅나무(Aralia elata)의 체세포배 및 유식물체 대량증식 (Mass Propagation of Somatic Embryos and Plantlets of Aralia elata through Bioreactor Culture)

  • 이원석;최은경;김재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19-223
    • /
    • 2004
  • 두릅나무의 엽병을 1.0 mg/L 2,4-D가 포함된 MS 고체배지에서 배발생캘러스를 유도하였다. 배발생세포와 배발생세포괴는 1.0 mg/L 2.4-D가 포함된 MS 액체배지에서 배발생캘러스를 2주간 현탁배양하여 대량으로 얻었다. 그물망을 통과한 배발생세포는 1.0 mg/L 2.4-D가 포함된 MS 액체배지에서 배양하면 배발생능이 소실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 및 증식시킬 수 있었다. 그물망을 통과하지 못한 배발생세포괴를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1/2 MS 액체배지에 옮겨 2주간 배양하면 구상형의 체세포배로 발달하였다. 구상형의 체세포배는 5 L의 bioreactor를 이용하여 배양하면 심장형, 어뢰형, 자엽형의 배와 유식물체로 발달하였다. Bioreactor 배양을 통해 두릅나무의 체세포배를 효과적으로 대량증식 시킬 수 있었다.

무 약배양에 의한 식물체 유기 (Induction of Plants through Anther Culture of Radish)

  • 윤여중;안춘희;윤화모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71-78
    • /
    • 1993
  • 국내 시판 $F_1$ 4품종과 일본 시판종 1품종을 이용하여 무 약배양을 실시하였다. 무 약배양에 적합한 배지 및 적정 전처리 및 치상후 처리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4^{\circ}C$ 전처리 및 치상 후 $35^{\circ}C$ 처리를 병행처리 또는 단독처리하여 약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적정 치상 시기를 결정하고자 약을 치상하는 시기에 따른 배발생율을 조사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무 약배양은 아직까지는 품종간 배발생율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태백의 경우는 배발생이 잘 되는 품종으로 밝혀졌고, 배발생율은 태백, 백자, 그리고 일본 품종인 대청 및 박달의 순으로 좋았다.2. 배지는 N/N 배지를 기본배지로하고 호르몬을 NAA 0.1 mg/l 와 BAP 0.05mg/l 첨가한 배지가 배발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3. 그러나 배지간 배발생율 차이는 $4^{\circ}C$ 전처리에 영향을 받아 배발생율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우스 초기 신경배형성과정에서 신경상피세포의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분화 (Histological and Ultrastructural Differentiations of the Neuroepithelial Cells in the Mouse Embryo during Early Neurulation)

  • 김율아;정영화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105-124
    • /
    • 1999
  • 마우스(ICR mouse)의 신경배형성에 따른 뇌 및 척수 신경상피의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분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배발생 8일 (embryonic day 8) 마우스배 (mouse embryo)에서 위중층원주상피의 신경판 및 신경고랑이 형성되었고, 배발생 9일에서는 두부의 전단부 및 말단부를 제외한 전 체장에서 신경관이 형성되었으며, 배발생 10일에서는 미아에서 이차신경배형성이 이루어졌다. 배발생 8일 마우스배의 미부 말단부에서는 신경상피와 중간엽과의 경계가 불분명한 원시선이 관찰되었고, 두부에서는 신경상피, 척삭 및 중간엽세포의 구분이 분명하였다. 배발생 9일과 10일 마우스배의 경우, 후뇌 부위에서는 표피 외배엽세포의 결합에 의하여, 척수 부위에서는 신경상피세포의 결합에 의하여 덮개판을 이루어졌고, 바닥판은 높이가 낮은 위중층원주상피세포로 이루어겼다. 배발생 10일 마우스배에서 척수의 운동신경이 처음 분화되었다. 배발생 9일과 10일 마우스배에서 신경상피세포들은 세포소기관의 분화 및 전자밀도의 차이에 따라 암세포, 중간형세포 및 명세포로 구분되었다. 배발생 9일에서는 모든 형의 세포가 관찰되었으나, 배발생 10일에서는 중간형 및 명세포들 만이 관찰되었다. 모든 신경상피세포에서 free ribosome 및 polysome들이 다같이 발달하였으나, 암세포에서는 RER과 lipid droplet들, 중간형세포와 명세포에서는 Golgi체들이 발달하였다. 중간형세포의 세포질돌기에서는 신경미세섬유, 명세포의 세포질들기에서는 신경미세섬유 뿐만 아니라 미세소관들도 다수 관찰되었다.

  • PDF

배지첨가물질이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종자유래 캘러스 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Supplements on Seed-derived Callus Culture of Italian Ryegrass)

  • 우현숙;이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243-250
    • /
    • 2004
  •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Jeanne’ 'Florida-80', 'Metro'세 가지 품종의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 첨가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에 첨가되는 식물 생장조절물질로는 모든 품종에서 2,4-D의 경우 5mg/L의 농도로 첨가된 MS 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으며, dicamba의 경우 7mg/L의 농도로 첨가해주었을 때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율이 가장 높았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mg/L 2,4-D와 5mg/L BA가 첨가된 N6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식물체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광조건에 따른 배양효율의 차이는 모든 품종에서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시에 암상태에서 배양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율이 광상태에서 배양한 캘러스의 재분화율 보다 약10%정도 높게 나타났다. Casein hydrolyaste와 L-proline의 경우 동시에 배지에 혼용 첨가해 주었을 때 배발생 캘러스 유도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효율적인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체계는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