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밭경지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imulation of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in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유역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 Lee, Seul-Gi;Iang, Jeong-Ryeol;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2-272
    • /
    • 2015
  • 본 연구는 초생대 필지단위 모의프로그램인 VFSMOD-W(Vegetative Filter Strip MODel-W) 모형을 이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밭경지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초생대기법을 적용 하였을 경우의 유사저감효과에 대해 모의해 보았다.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 저감기법 개발'과제의 일환으로 초생대 현장실험을 위해 조성된 익산 밭경지 시험포의 실측치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이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유출량의 경우 NSE=0.833와 $R^2=0.99$를, 유사량의 경우 NSE=0.794와 $R^2=0.99$로 각각 매우 높게 나타났다.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는 새만금유역의 밭경지 특성을 고려하여 1ha, 5ha, 10ha의 밭규모에, 밭경사는 7%와 15%으로, 토성은 양토인 정방형 형태의 밭경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생대 초종은 Grass mixture로 적용하였고, 규모는 밭경지 면적의 10%로 고정하여, 50mm, 100mm, 150mm, 200mm의 일강우량에 대해 초생대 유출 및 유사에 대한 모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새만금유역에 초생대 적용 시 유출저감효과는 밭경사 7%와 15%일 때 1.5~13.5%와 1.4~12.1%의 범위로 각각 나타났으며, 경사에 따른 차이는 미비하였으나 강우량과 밭경지 규모에 따른 유출저감효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유사의 경우에는 밭경사 7%와 15%일 때 20.4~97.0%와 15.7~86.0%의 저감효과를 각각 보였으며, 유출에 비해 초생대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강우량의 차이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는 50mm일 때 58.4~97.0%, 200mm일 때 15.7~32.9%를 나타내어 강우인자의 영향이 밭규모와 경사 등의 밭경지 특성에 비해 유사 발생량 및 저감효과에 가장 크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모의 결과를 통해 새만금유역의 초생대기법 적용은 새만금호의 수질오염저감 및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현장 실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인자들에 적합한 세부적인 설계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 PDF

Effects of VFS(Vegetative Filter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초생대 밭경지 비점오염저감 효과)

  • Choi, Kyung-Sook;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35-435
    • /
    • 2012
  • 농경지 중에서 밭은 논보다 농약 비료 사용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논에 비해 비점오염물질 배출량이 훨씬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밭경지 비점오염저감기법 개발 및 체계적인 제어대책 수립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밭경지 비점오염 제어기법들 중 초생대에 대한 성공적 연구사례 및 적용사례에 대한 자료가 상당히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초생대를 적용한 밭경지 비점오염저감에 대한 기술개발 및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생대의 현장설치 및 모니터링을 통해 초생대의 비점오염부하 저감효과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우리나라 밭경지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초생대 현장 실험을 위한 시험포는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 농생대 부속농장 밭경지 $1,500m^2$ (455평)를 선정하였다. 시험포는 1개의 대조구와 6개의 처리구로 구성하였으며, 각 시험구의 크기는 길이 12m ${\times}$ 폭 4m (초생대 길이 2m ${\times}$ 폭 4m 포함)로 하였다. 초생대 조성을 위한 초종선정은 초생대 조성이 용이하고 관리효율성이 높은 초종으로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우리나라 기후와 토양특성에 적합하며 초생대 기능에 부합한 것으로 선정하였다. 초생대 시험포장에 재배할 작물은 우리나라 대표 밭작물인 콩으로 선정하였으며, 작물재배를 위한 퇴비, 비료, 제초제 등은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시용하였다. 초생대 비점오염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험포장에 플륨, 수위계, 강우계 등으로 구성된 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하였으며, 플륨의 수위-유량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2회의 인공강우와 1회의 자연강우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 조성이 유출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강우의 경우 초생대 설치에 따라 유출률의 범위가 14.5~95.8% 정도로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자연강우에서도 6.1~11.3% 정도의 유출률 감소를 보였다. 초생대 시험구별 유출률에 차이를 나타낸 이유는 현장실험시의 시험구별 지면조건과 초생대 초종별 특성(초장, 경경, 밀도 등)의 차이에 기인한 결과로 사료되었다. 비점오염저감효과 측면에서는 기존 밭농사 방식을 그대로 채택한 대조구에 비해 초생대 시험구에서 TS의 경우 15.6~90.3%, T-P의 경우 49.9~87.8%, T-N의 경우 6.7~91.1%의 저감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초생대 기법이 우리나라 밭경지 비점오염부하를 저감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mulation of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유역 밭경지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 Lee, Seul Gi;Jang, Jeong Ryeol;Choi, Kyung S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6
    • /
    • pp.535-542
    • /
    • 2018
  • The study was intended to simulate the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through VFSMOD-W model application. The model was calibrated by using the field data an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desig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uplands characteristics in Saemangeum watershe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considered various size and slope of uplands including 1 ha, 5 ha, 10 ha of field size with width-length ratio of 1 : 1 having 7% and 15% of slopes under the daily rainfall of 50 mm, 100 mm, 150 mm, and 200 mm in order to mimic the different fields conditions. The effluent reduction ranged from 2.9~13.5% and 2.9~12.1% for runoff, and 33.8~97.0% and 27.1~85.9% for sediment under the field's slope of 7% and 15%, respectively. The VFS reduction effects showed different degree of influence from field size, slope, rainfall amounts. Based on the simulated results, the sediment contribu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expected to be reduced in the condition of VFS constructed 10% of fields in outlet of less than 10 ha of uplands having less than 15% of the slope.

Analysis of the agricultural area conversion of paddy to field based on reservoir irrigation region (저수지 수혜구역단위 논 전작화 패턴 분석)

  • Park, Jin Seok;Jang, Seong Ju;Hong, Rok Gi;Hong, Joo Pyo;Song, I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7-467
    • /
    • 2021
  • 기존 저수지 농업용수는 주로 논의 벼재배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논 지역 타작물 재배 지원 등의 정책으로 논에서 밭으로 전작화가 증가함에 따라 농업용수의 효율적 분배를 위한 논의 전작화 패턴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포털의 2019년 팜맵을 활용하여 최신 경지 현황을 파악하고, 환경부의 2007년, 2019년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전작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구축된 팜맵과 토지피복지도는 환경부 토지피복분류 기준 농업지역 중분류로 일치시켜 분석에 활용되었다. 논, 밭, 시설재배지 등의 농경지 이용 현황 및 전작화 추이는 전국 단위, 권역 단위로 분석되었고, 주요 시도와의 공간적 거리를 전작화 영향인자로 설정하여 DUP(Degree of Urban Proximity) 등의 지표로 그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경지 중 논, 밭의 면적과 증감 추이를 ACR(Area Change Rate) 등의 지표로 전작화 규모를 파악하였고, LPI(Largest Patch Index), LSI(Landscape Shape Index) 등의 지표로 개별/집단화 전작의 패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로 제시된 저수지 수혜 구역별 논의 전작화 패턴은 논 벼재배와 농업용수 수요 특성이 상이한 밭작물에 안정적 용수공급 체계 구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election of Appropiate Plant Species of VFS (Vegetative Filter Strip) for Reducing NPS Pollution of Uplands (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초생대 적정 초종 선정)

  • Choi, Kyung-Sook;Jang, Jeong-Ry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973-983
    • /
    • 2014
  •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lant species of VFS (vegetative fiter strips) and the assessment of VFS effects for reducing NPS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uplands. The experimental field was constructed with 1 control and 6 treated plots in the upland area of $1,500m^2$ with 5% slope which is located in Gunwi-gun, Gyeongbuk province. Six vegetation including Chufa, Common crabgrass, Barnyard grass, Turf grass, Tall fescue, Kenturky bluegrass, were applied to install VFS systems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June 2011 to Dec.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6.1~77.8% in runoff and 15.6~90.3% in TS, 49.9~96.6% in T-P, and 6.7~91.1% in T-N were reduced from the VFS treated plots. Generally high reduction effects were observed from TS, T-P, T-N, and SS, while BOD, TOC, and $NO_3^-$ showed low reductions. The best vegetation type was Turf grass showing higher reduction effects of NPS pollutions and having relatively easier maintenance efforts compared to other vegetations selec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VFS technique found to be an effective management practice for reducing agricultural NPS pollutions in Korean upland conditions. Further study needs to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field experiments with long term monitoring in order to develop a design manual of VFS system for practical applications.

Tentative Suitability Criteria for the Consolidation of Cultivated Upland in Korea (밭 경지정리(耕地整理) 적합지역(適合地域) 선정기준(選定基準) 시안(試案))

  • Jung, Yeun-Tae;Son, Il-Soo;Yun, Eul-Soo;Sonn, Yeon-Gyu;No, Young-Pal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9 no.2
    • /
    • pp.81-85
    • /
    • 1996
  • Tentative consolidation criteria, a kind of land suitability classification, was established for cultivated upland soils. The criteria were composed of systematically quantified individual soil properties such as physiography(relief), slope, available soil depth etc., and local features such as soil complexity, mapping unit separation, width/length ratio etc. The criteria was applied to upland soils in granite area, and sedimentary rock area. It was clear that the comparison of local features among candidated areas, and classification of suitability classes for land consolidation of upland soils was satisfactory for selection. The status of the areas classified to "Well suitable" were distributed on alluvial plains or less dissected rollings with lower complexity of soils occurred and extended acreage in each mapping unit. On the other hand, the areas classified as "Unsuitable" were distributed on the elongated narrow valleys with quite divided mapping units by paddy fields on the valley bottom.

  • PDF

Natural Environmant Assessment for Vegetation Restoration in Naksan Seoul (낙산지역의 식생복원을 위한 자연환경평가)

  • 김혜주;이옥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61-270
    • /
    • 1999
  • 낙산복원사업 대상지의 생태계 회복을 위한 계획수립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부지 내 식생조사를 통해 자연환경을 평가하였다 현존식생도 녹지자연도 및 Hemeroby 등급을 통해 자연성을 평가한 결과 많은 면적이 산림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인공화된 지역이었다.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 중 산림의 형태를 유지한 지역은 아까시나무군락을 유지하고 있었고 기타 지역은 휴경지, 논.밭 잡초군락이며 동시에 ruderal 식물군락으로 판명되었다. 성과주변에 식재한 수목은 총 67종 1,243개체였으며 그중 자생종이 27종(40.3%) 544개체(43.8%)였고 도입종과 귀화종 재배종이 각각 17%, 8.8%, 15.4%로 나타났다. 생활형 분석에서는 1,2년생 초본식물이 47%를 차지하였고 귀화율은 24.1%로 나타나 매우 불안정하고 교란된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밭농사 - 특화작목 선택해 위험 줄이도록

  • 배성호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6 no.1
    • /
    • pp.75-79
    • /
    • 1985
  • 우리나라의 밭면적은 851천ha로서 전체 경지면적의 40$\%$에 달하고 있으나 경사지(傾斜地)가 많고 유형별(類型別)로도 숙전비율(熟田比率)이 41.8$\%$밖에 되지 않아 비옥도가 낮은 형편이다. 밭의 이용률은 ''83년에 130.9$\%$로서 일본이나 대만등에 비하여 매우 낮은 편이고 그나마 밭에서의 식량작물재배가 절반 이상 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70년대 중반이후 지속적인 고도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식품소비도 고급화 내지 다양화(多樣化)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오늘날 우리 농촌은 자급자족적 영농형태(自給自足的營農形態)에서 소득증대를 위한 상품생산적영농형태(商品生産的營農形態)로의 전환기에 와 있음을 감안할 때 밭농사에서의 전작목 선정 및 합리적인 각부체계 도입은 소득증대에 지름길이 될것임은 자명하다 할것이다.

  • PDF

Analyzing the Economic Relevance of Climate Variables in the Agriculture of Gangwon-do (기후변수가 강원도의 농업에 미친 경제적 효과 분석)

  • Jeong, Jun-Ho;Kim, Kwang-Ba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2
    • /
    • pp.192-205
    • /
    • 2012
  • This study estimates how much climate variables affect the land price and acreage of rice paddy and dry farm field in agriculture with the case of Gangwon-do in Korea. To this end, we capitalize upon the Ricardian approach based upon the panel data on climate, soil and geography, farmland prices and acreage, other economic and social variables for 11 municipal units comprising Gangwon-do during the period of 1992-2010.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temperature variable has negative economic impacts on the price and acreage of rice paddy and dry farm field, confirming that the temperature variable is much significant than that of precipitation in global warming. On the other hand, the other determinants of farmland price and acreage are different with the type of farmland in Gangwon-do.

  • PDF

농경방식 바꾸도록 북한을 지원하자

  • Bu, Gyeong-Sae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7 s.350
    • /
    • pp.26-28
    • /
    • 1998
  • 식량부족에 따른 북한의 기아현상을 심각하다. 우리는 우선 긴급한 식량을 북한에 원조해 주어야 하겠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그들이 식량자급을 할 수 있도록 농업경영방식의 개선을 설득하고 협조하는 일이다. 현재 북한의 경지면적은 논과 밭의 비율만 다를 뿐 남한과 비슷하다. 북한의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북한에게 부족한 비료와 농약, 농기계 부속품 등의 우선 지원문제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