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호시설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2초

지상식 멤브레인 LNG 저장탱크의 방류둑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 of Dike of Above-ground Membrane type LNG Storage Tanks)

  • 이승림;조지환;권부길
    • 한국가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스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5-72
    • /
    • 2003
  • 현행 가스법상 지상식 LNG 저장탱크에 있어서 일정 용량의 저장탱크 주위에는 액상의 가스가 누출된 경우에 그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류둑(Dike)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효과가 있는 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실제로 모든 지상식 LNG 저장탱크에 대해서 별도의 방류둑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예외규정으로 국제기준(international codes and standards)에 의해 설계되는 저장탱크는 심의를 통해 방류둑 기능을 인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LNG 저장탱크는 일반적으로 자국내 법령보다는 국제기준에 의해 건설됨으로써 1차 탱크로부터 일정거리의 둘레에 방류둑이 필요한 단일방호식 저장탱크 이외에 이중방호식, 완전방호식(full-containment) 및 멤브레인식(membrane) 저장탱크의 경우 외부(콘크리트, 강재)탱크가 방류둑 기능을 가지고 있어 별도의 방류둑이 필요없는 구조로 규정하고 있다. 멤브레인 LNG 저장탱크의 경우 프랑스, 일본 및 한국이 설계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최근 프랑스 및 한국에서 별도의 방류둑 없는 지상식 멤브레인 저장탱크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나 양국 모두 자국법의 방류둑 규정에 의해 건설의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지상식 멤브레인 LNG 저장탱크의 방류둑 기능에 대한 각 국의 법령 및 기준을 조사하고, 방류둑 일체형 저장탱크(완전방호식 및 멤브레인 저장탱크)의 형식별 안전성 평가 자료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방류둑 일체형 멤브레인 저장탱크의 국내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유럽, 미국 및 일본에서는 이중벽 LNG 저장탱크의 경우 콘크리트 외부탱크가 방류둑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EN 1473과 제정중인 prEN 265002에서는 멤브레인 저장탱크의 경우 내부 멤브레인 탱크 누출시 단열시스템과 함께 외부 콘크리트 탱크가 액밀성 및 기밀성을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별도의 방류둑이 불필요함을 규정하고 있다. 프랑스 및 일본의 방류둑 일체형 LNG 저장탱크에 대한 위험성 평가 결과를 검토한 결과 멤브레인 저장탱크와 완정방호식 저장탱크는 안전성 차원에서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에서 개발한 지상식 멤브레인 LNG 저장탱크 설계모델에 대한 안전성 제고 및 안전성 평가 등을 통해 객관적인 안전성 근거가 확보된다면 동 탱크의 경우에도 완전방호식 LNG 저장탱크와 같이 외부콘크리트 저장탱크의 방류둑 기능인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콘크리트 두께와 자철광 함량에 따른 방탄 성능 평가 (Evaluation of Ballistic Resistance Performance by Thickness and Proportion of Magnetic Aggregate of Concrete)

  • 임채연;김국주;노정헌;장창수;박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51
    • /
    • 2020
  • 소부대 방호시설의 주된 목적은 적의 모든 무기체계에 대한 완벽한 방호가 아니며, 한국군의 경우, 지근탄에 대한 방호를 적용하고 있다. 특히 소구경 탄자의 경우, KM 80탄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경험적 설계방법과 구조공학적 설계방법 모두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이에 실사격 실험을 수행한 선행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소구경 탄자에 대한 관입저항력 계산식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실험에서는 콘크리트 강도만을 변수로 설정하였고 콘크리트의의 두께, 굵은골재의 종류, 탄자의 편주각, 고강도 콘크리트 등에 대한 변수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두께와 자철광의 함량에 따른 방탄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탄자의 편주각에 의한 오차를 연발사격에 의해 상쇄시킬 수 있다는 것과 자철광의 함량과 콘크리트 두께는 방호성능 향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3) 진단방사선사의 방사선안전관리 및 직업의식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Radiation Safety and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of the Diagnostic Radiotechnologists)

  • 이강우;김경배;김재권
    • 대한방사선협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7-191
    • /
    • 1999
  • 진단방사선사들의 방사선안전관리 및 직업의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8년 5월 현재 전북지역 소재 의료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진단방사선사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 근무실의 방사선 방어시설은 $61.5\%$가 잘되어 있었고, 의료기관별로는 종합병원($71.7\%$)에서 비교적 방어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었다(p<0.01). 2. 방사선사 자신이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방호복을

  • PDF

국회 안전확보를 위한 보안성 강화방안: 참관제도를 중심으로 (Strengthening Safety for National Assembly: Focus on the Public Tour System)

  • 최관;김민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회참관서비스의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안전문제를 억제하고 국회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국회 참관의 정의와 국회 참관의 종류, 참관절차 및 준수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국회참관과 관련된 위해환경과 국내외의 국회와 같은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안전 환경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4장에서 국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국회경비에 특수경비원 활용과 둘째, 참관 관련 보안교육을 제시하였다. 먼저, 특수경비원 활용과 관련하여 특수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달리 담당구역에서 총과 같은 무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국회방호원의 업무를 대체가능하다. 둘째, 공무원 신분의 방호원과 비교하여 외부환경에 탄력적으로 인력운영이 가능하다. 셋째, 법적 측면에서 "경비업법"상 국가중요시설에 해당하므로 특수경비원으로 하여금 국화안전을 확보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 마지막으로 현재 국회안전교육과 단기교육, 무도 및 CS교육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국회프로그램에 '참관 서비스 교육 전문과정'을 추가로 개설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지하 전산센터의 시설보호를 위한 방폭밸브에 미치는 폭압 평가 (Evaluation of Pressure Effects on Blast Valves for Facility Protection of Underground Computing Center)

  • 방승기;신진원;김외득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1-28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two-step simulations to calculate the influence of blast-induced pressures on explosion-protection valve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a protection facility and a tunnel entering the facility. The first step is to calculate the respective overpressure o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unnel when an explosion occurs near the tunnel entrance and exit to approach the protection facility. Secondly, the blast pressures on the explosion-protection valves mounted to walls located near the tunnel inside approaching the protection facility are analyzed with a 0.1 ms time variation us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first-step calcul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erived as a results: (1) The analysis of the entrance tunnel scenario, P1, leads to the maximum overpressure of 47 kPa, approximately a half of the ambient pressure, at the inner entrance due to the effect of blast barrier. For the scenario, P2, the case not blocked by the barrier, the maximum overpressure is 628 kPa, which is relatively high, namely, 5.2 times the ambient pressure. (2) It is observed that the pressure for the entrance tunnel is effectively mitigated because the initial blast pressures are partially offse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geometry of the entrance and a portion of the pressure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원전 사고지역에서 실내대피를 위한 임시대피시설의 거주성 확보방안 (Measures to Secure the Habitability of Temporary Shelter for Shelter in Place in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 김정동;은종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82-596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원전사고 발생 시 임시 대피시설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체르노빌, 후쿠시마, 쓰리마일섬(TMI) 원전사고에 대한 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방사선 비상 대응 계획은 소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내대피 개념은 단순히 주민 대피를 지원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례연구를 통해 INES-5 이상의 사고의 경우, 소개보다 실내대피를 장려하는 것이 사상자 최소화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더 나은 실내대피를 보장하기 위해 아파트를 임시 대피소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며, 아파트가 방사선 방호 기술을 갖추도록 개선사항을 제안한다. 결론: 더 나은 실내대피를 보장하기 위해 아파트를 임시 대피소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며, 차폐, 양압, 밀폐기술을 이용해서 아파트의 성능을 보완하고자 한다.

고속 발사체와 충돌한 시멘트복합체의 보강재 종류에 따른 내충격 특성 연구 (Impac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Cementitious Composites Subjected to High-velocity Projectiles with Reinforcement Types)

  • 석원균;김영선;이예찬;남정수;김규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1-272
    • /
    • 2023
  • 본 연구는 현재 늘어나고 있는 수소 충전소 및 ESS 시설 등에서 예상치 못한 사고로 발생할 수 있는 폭발 위험과 이로 인한 구조물 방호 기술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멘트 복합체의 보강 방법에 따른 내충격 특성을 평가하여 구조물의 방호 설계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가장 기본적 구조재료인 철근콘크리트는 내충격 성능에 미치는 보강효과가 무근 콘크리트에 비해 약 20%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속충격과 같은 빠른 하중에 대해서는 국부적 보강보다는 섬유와 같이 매트릭스 전체를 보강하는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출력 전자기파 방호 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Legal EMP Protection System)

  • 정연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781-790
    • /
    • 2013
  • 현대의 국가 핵심 기반 시설은 국제적으로 위협이 증대되고 있는 고출력 전자기파에 대해 매우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관계 법령에서는 주로 사이버 위협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어, 고출력 전자기파 위협에 대해서는 세부시행 관련 규정이 미흡하여 현실적인 대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 전자기파 관련 제도의 국내, 외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행 관련 법령의 개정 방향과 구체적으로 법령에 담아야 할 내용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 중에서도 현행 "정보통신기반보호법"을 개정하여, 기밀정보의 보호, 산업육성, 연구 개발 지원, 교육 홍보 강화 등을 포함시키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아무튼 본 논문이 우리나라의 효과적인 고출력 전자기파 방호 제도 도입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화장실 이용 피난공간의 방연시스템 제안 및 실규모 실험 (Study on Suggestion of Smoke-proof System Using a Restroom for a Refuge Space)

  • 김정엽;신현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61-66
    • /
    • 2012
  • 고층 건축물의 화장실은 평상시 악취 등의 배출을 위하여 송풍기와 풍도로 구성된 배기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화염과 연기에 대한 방호기능만 추가되면 화재발생시 긴급한 피난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평상시 화장실의 배기용으로 사용하는 송풍시스템을 화재시 급기시스템으로 전환함으로써 기존 화장실의 연기에 대한 방호성능을 확보하는 화장실 방연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상 5층 규모의 연기제어 실험동에 기존 화장실을 이용한 피난공간의 방연시스템에 대한 실규모 실험 시설을 설치하고, 화재발생 조건에 따른 작동성능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도체 판의 자기장 차폐효과 분석: 확산과 슬롯 효과 (Analysis of Low-Frequency Magnetic SE of a Metal Plate: Diffusion and Slot Effects)

  • 박현호;권종화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324-32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확산과 슬롯 효과를 고려한 도체 판의 저주파수 자기장 차폐효과를 수치해석과 해석적인 해를 통해 분석하였다. 도체 판의 전도율이 낮은 경우에는 확산에 의한 투과가 지배적이며, 전도율이 높거나 주파수가 높아지면 표피효과로 인해 확산에 의한 투과는 줄어들고, 슬롯이 있는 경우 슬롯에 의한 투과가 우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고출력 전자파 방호시설의 자기장 차폐설계 및 평가기준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