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향성식물

Search Result 22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Medicinal Resources Herb Plants used Through the Ages in Korea (방향성(芳香性) 전통(傳統) 약용식물자원(藥用資源植物)의 개발(開發)과 이용(利用))

  • Byun, Jae-My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7 no.1
    • /
    • pp.193-20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edicinal resources herb plants that using through the ages in Korea among the spontaneous and naturalized flavor or frangrant plants and to discuss some way of utilizations of their products to promote human health. Another goal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d systematically synthesize those materials connected with fragrant medicinal plants to serve useful informations on this problems for following research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In Korea, many species of fragrant plants were used for medicinal purpose through the ages. And most of the everyday`s common drugs in Korea's traditional medicine were contained fragrant resources plants as major medicinal material. Therefore, We can find that mast of the fragrant resources plants are very excellent material for traditional medicinal use. At the same time, we should reveal to fragrant material's activity for human health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omatherapy in the future.

  • PDF

코로나 19 시대의 화장품분야 천연소재 개발방향

  • 정의수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4
    • /
    • 2021
  • 전 세계는 covid 19의 pandemic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화장품 분야의 trend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covid 19의 예방으로 마스크는 생활필수품이 되었고, 행정적으로도 사무공간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마스크 착용은 필수 불가결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얼굴 피부의 장벽기능(barrier function)의 와해로 인하여 피부가 예민해지고 크고 작은 피부의 trouble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선택에 있어 피부 진정과 피부에 자극완화(anti-irritation) 및 안전성(safety)에 대한 것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Covid 19 이전의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의 트렌드는 국내의 기능성화장품 범주에 있는 미백 관련, 주름관련, 자외선 차단관련, 염모관련, 육모 탈모 관련, 여드름관련, 피부장벽관련, 튼살 관련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과 화장품 용도외의 고기능성 부여를 위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용 제품의 개발이 중요한 시기였다.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이다. 그러나 최근 Covid 19의 상황에 따라 화장품 업계는 포스트 코로나의 트렌드로 피부 장벽기능 강화, 피부노화 억제, 식물성, 자극완화, 비건, 안전성 확보에 대한 다양한 천연 소재의 연구와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2020년 Covid 19의 상황에 따른 화장품 분야의 천연 신소재 및 화장품 개발 방향에 대하여 자원 식물의 활용성 및 개발 동향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한다.

  • PDF

Plant leaf Classification Using Orientation Feature Descriptions (방향성 특징 기술자를 이용한 식물 잎 인식)

  • Gang, Su Myung;Yoon, Sang Min;Lee, Joon Ja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7 no.3
    • /
    • pp.300-311
    • /
    • 2014
  • According to fast change of the environment, the structured study of the ecosystem by analyzing the plant leaves are needed. Expecially, the methodology that searches and classifies the leaves from captured from the smart device have received numerous concerns in the field of computer science and ec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 a plant leaf classification technique using shape descriptor by combining Scale Invarinat Feature Transform (SIFT) and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OG) from the image segmented from the background via Graphcut algorithm. The shape descriptor is coded in the field of Locality-constrained Linear Coding to optimize the meaningful features from a high degree of freedom. It is connected to Support Vector Machines (SVM) for efficient classific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approach is very efficient to classify the leaves which have similar color, and shape.

A Study on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of Generic Color Name for Utilization of Dye Plant Resource and Cultural Succession (염료식물 자원활용 및 문화계승을 위한 관용색명의 표준화 필요성 연구)

  • Youngju Kim;Min-Im Cho;Seulgi Lee;Chung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48-48
    • /
    • 2023
  • 지역의 역사성을 지니고 발전한 전통색은 지역 문화와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전통색은 일반적으로 관용색명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세계인의 공용어가 아니므로 우리의 천연염색을 국내외 일반인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색명(KS-계열색, RGB, CMYK)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염료재로 활용된 염료식물은 393종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료식물의 자원 활용과 그 보전적 가치를 알리고자 염료식물을 언급한 고문서 및 현대자료를 바탕으로 사용 부위, 매염제의 종류, 염색 시 발현 색상의 관용색명을 조사하였고, 이를 국가표준색상환에 대입하여 표준화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염료식물 393종 중 관용색명을 가진 염료식물은 312종이었고, 관용색명의 정보가 없는 식물은 81종으로 나타났다. 염료식물의 사용 부위 정보를 가진 식물은 187종이었고, 이용부위는 식물체 전체(전초), 뿌리, 줄기(껍질), 줄기(심재), 나뭇가지, 잎, 열매(껍질), 꽃이었다. 염료식물에 활용되는 매염재는 15가지(천연 6종, 화학 9종)로 나타났다. 관용색명을 가진 염료식물 312종에서 조사된 540개 관용색명을 표준화 시키기 위하여 국가표준색상환에 대입한 결과, 표준화된 색명(KS계통색명, RGB, CMYK)을 갖는 식물은 127종, 관용색명은 있지만 표준화된 색명을 확인할 수 없는 식물은 185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염료식물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관용색명의 정보가 없는 염료식물에 대한 표준화된 색명을 찾아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올해 방역행정의 이모저모

  • 조태호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4 no.1
    • /
    • pp.10-16
    • /
    • 1983
  • 농수산부는 올해 식물방역행정의 기본방향을 $\triangle$종합방제를 정착화하여 발병요인을 극소화하고 $\triangle$병충해 발생 상습지를 지속적으로 개선 관리하며 $\triangle$종자소독 및 못자리 입제농약을 적극 사용하고 $\triangle$본답초기에 침투성 살충제를 살포하는 동시 $\triangle$조기정밀예찰과 예찰정보 발표로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triangle$공동방제단의 활성화와 기동화에 노력하는 한편 $\triangle$마을단위 농약현장공급의 정착화를 유도하기로 했다. 농수산부는 또 $\triangle$농약관리제도 개선으로 농민 민원을 해소하고 $\triangle$농민의 경각심을 제고시키기 위해 안전사용에 대한 지도 계몽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 PDF

Effect of Backwater Pressure and Restoration by Mattress (사면 Mattress에 의한 배수압변화와 식생복원)

  • Park Hee Yoon;Bae Sang Soo;Jee Hong 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83-1387
    • /
    • 2005
  • 사면의 식생이 초기에는 강우에 의해서 표면흐름, 지하수위 증가, 지표수의 침윤에 의해서 성장이 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생에 의한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 하는 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즉, 사면의 식생을 복우언시켜 식물근(뿌리)에 의해서 사면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서는 사면의 위치, 고도 및 방향 등에 따라 적응할 수 있는 식물의 선택과 성장에 충분한 수분을 보습할 수 있는 구조의 사면계획과 구조물 설치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절$\cdot$성토면에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식생을 복원하는 방법으로 Mattress Gabion을 제안하였다. 정형화되고 유연성 있는 다공성 Mattress 구조를 통한 식생의 복원은 사면의 안정과 환경친화적인 목적을 모두 만족할 수 있었다. 특히, Gabion 근고공이 설치된 이후에 공극이 큰 Mattress 구조물을 중심으로 식물의 뿌리를 지반에 직접 연결하거나, 식생 활착이 어려운 암반 절취 사면에서도 Mattress 옹벽을 통해서 식물이 양질의 흙에 직접 활착할 수 있도록 설계한 사면 Mattress의 경우는 사면의 안정성 증대와 아울러 지하수의 표면흐름과 투수 및 침윤에 의한 식물의 성장피해를 최소화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식생에 의해서 Mattress Gabion 옹벽이 내구성과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