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출시험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25초

304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손상 중 발생하는 음향방출신호 분석 (Detection of Acoustic Signal Emitted during Corrosion of 304 Stainless Steel)

  • 우카이거;최찬양;변재원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9-414
    • /
    • 2013
  • 음향방출법을 이용하여 304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손상 과정을 평가하였다. 스테인레스 강의 가속부식시험을 수행하면서 음향방출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양극분극시험에서 공식부식(pitting corrosion)이 발생하는 시점 이후부터 음향방출(AE)신호가 검출되기 시작함을 확인하였다. 부식 실험 후 시편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수의 공식부식이 발생하였음을 검증하였다. 부식 시간의 증가에 따른 AE 누적카운트 증가율과 AE 신호 진폭의 변화는 3단계로 구분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AE 신호 발생 특징을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발생 과정의 단계별 변화와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AE 신호를 이용하여 금속 소재의 부식 손상 정도 및 부식 과정의 평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복합소재 고체 가연물의 화재 시 발생되는 열방출률의 FDS 예측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t Release Rate Predictions of Fire by a Fire Dynamics Simulator for Solid Combustible Materials)

  • 남동군;홍터기;류명호;박설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22-28
    • /
    • 2020
  • 복합소재 고체 가연물의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열방출률을 ISO 9705 룸코너 시험을 통해 측정하였고 Fire dynamics simulator (FDS)에서 제공하는 열방출률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복합소재 고체 가연물로는 PU폼과 PP, 철재로 대부분 구성되어있는 영화관 의자를 선정하였다. FDS에서 제공되는 열방출률 예측방법을 단순모델과 열분해 모델로 구분하고 각각의 모델을 적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전산 해석한 결과, 열분해 모델을 통해 예측된 열방출률과 화재성장율이 단순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ISO 9705 룸 코너 시험을 통해 측정된 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소·멜라민 접착제의 수지 조성에 따른 마루판의 천연무늬단판 접착성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에 대한 연구 (Studies on Adhesion of Fancy Veneer and Formaldehyde Emission of Wood-Based Floorings by Mole Ratios of Urea and Melamine)

  • 강은창;박종영;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65-171
    • /
    • 2002
  • 본 연구는 마루판의 천연무늬단판 접착에 이용되고 있는 요소-멜라민 접착제의 수지조성에 따른 접착성능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요소에 멜라민에 대한 포름알데히드의 몰비 1.0, 1.1, 1.2, 1.4를 기준으로 제조된 접착제로 마루판용 합판과 섬유판에 천연무늬단판을 접착한 목질마루판에 의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화학양론적으로 멜라민-요소와 포름알데히드간의 비율이 적정한 조건에서 반응이 충분히 일어난 경우에 상태접착력, 준내수접착력,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등이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복합마루판의 평면인장강도는 각 몰비에서 14 kgf/cm2를 상회하였으며,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은 1.0몰비에서 9.53 mg/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합판마루판의 평면인장 접착력 시험에서는 1.4몰비에서 14.02 kgf/cm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합판마루판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조사에서도 1.0목비에서 0.26 mg/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질소 화합물 조합에 의해 처리된 목재의 연소성 (Combustion Properties of Wood Treated by Combining Phosphorus-Nitrogen Compounds)

  • 진의;정영진;김시국
    • 공업화학
    • /
    • 제27권1호
    • /
    • pp.39-44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피로인산/암모늄이온, 메틸렌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 메틸렌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암모늄이온의 화학 첨가제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의 연소 특성을 고찰하였다. 15 wt%의 화학 첨가제 수용액으로 각각 리기다 소나무에 3회 붓칠하여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화학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의 최대질량감소율도달시간(PMLR time)은 무처리 시험편에 비교하여 10.5~47.4% 지연되었다. 그리고 최대일산화탄소발생률($CO\;_{peak}$)은 무처리 시험편에 비교하여 32.1~71.4% 증가하였다. 또한 총연기방출률(TSRR)은 화학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이 무처리한 시험편보다 15.6~43.6% 증가하였다. 특히, 단위면적당 연기방출속도(RSR)에 대하여 $PP/4NH_4{^+}$로 처리한 시험편을 제외하고, 무처리 시험편보다 29.4~41.5%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유기성 화학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은 연소억제 작용에 의하여 연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연기방출률이 높았다. 그러나 $PP/4NH_4{^+}$은 무기물 첨가제로서 일부 감연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화학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은 무처리 시험편과 비교하여 연소가스 및 연기발생을 부분적으로 증가시켰다.

전기적-미세역학시험법과 음향방출을 이용한 단일 탄소섬유/탄소나노튜브-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자체-감지능 (Self-Sensing of Single Carbon Fiber/Carbon Nanotube-Epoxy Composites Using Electro-Micromechanical Techniques and Acoustic Emission)

  • 박종만;장정훈;왕작가;권동준;박종규;이우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11-422
    • /
    • 2010
  • 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재료의 미세손상에 대한 자체-감지도와 분산도와 관련되는 특성 연구가 접촉각, 전기-미세역학 시험법 및 음향방출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시편들은 미처리와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에폭시 복합재료와 순수 에폭시로 제조되었다. 상대적인 분산도는 부피 전기저항도와 그 표준편차로 평가하였다. 응력전달을 나타내는 겉보기 탄성율은 미처리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보다 산처리된 경우가 크게 나타났다. 단일 탄소섬유/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재료는 부가한 반복 하중에 대해서 접촉저항도의 변화로 잘 감지되었다 섬유 풀-아웃 시험에서 단일 탄소섬유와 탄소나노튜브-에폭시간의 계면접착강도는 순수 에폭시의 경우보다 작았다. 음향방출과 함께 전기저항측정을 통한 미세파손 감지는, 전도성 있는 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재료에서는 단일 탄소섬유 파손에 대한 단계적인 전기저항도의 증대를 보여 주었으나, 순수 에폭시의 경우는 첫번째 탄소섬유의 파단의 경우 바로 저항이 무한대로 증대함을 보여주었다. 첨가한 탄소나노튜브의 미세계면 손상으로 인하여, 음향방출 발생이 나노복합재료가 순수 에폭시에 비하여 훨씬 증대하였다.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한 샌드위치패널 연소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Combustion-Property of Sandwich Panels using ISO 5660 Cone Calorimeter)

  • 박수영;김대회;임홍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3-41
    • /
    • 2006
  • 국내에서는 현재 샌드위치패널의 화재안전성능 평가를 위하여 KS F 2271(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와 동일한 시험방법을 사용하고 있던 일본에서는 2000년 건축기준법 개정시 ISO 5660-1 시험방법을 내장재의 연소성능시험으로 채택하였다. 그에 따라 국내에서도 KS F 2271 시험방법을 보완하는 건축법 개정고시(안)을 예고하였고, 그 내용은 ISO 5660-1(Cone Calorimeter Method) 시험방법을 도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샌드위치패널의 연소특성을 ISO 5660-1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종의 샌드위치패널과 4종의 심재(단열재)의 착화시간, 최대열방출율, 총 열방출량을 검토하였으며, 시험체별 시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일본과 NBC개정안에서 제시하는 분류기준에 시험결과를 적용하였다.

873~1173 K에서 열처리된 강화흑연강(Compacted Graphite Iron, CGI)의 음향방출 특성 (Acoustic Emission of Heat Treated Compacted Graphite Iron under 873~1173 K)

  • 남기우;안병건;이수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15-421
    • /
    • 2013
  • CGI는 주철보다 큰 강도 또는 작은 무게가 요구되는 응용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최근, 강화흑연강은 디젤 엔진 블록, 터보 하우징 및 배기 매니폴드에 사용된다. 이 논문은 873~1173 K에서 1~24 시간 동안 열화된 CGI340의 기계적 성질의 변화에 따른 음향방출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필심 파괴시험 결과에서, 탁월주파수 및 모재의 속도는 각각 97 kHz와 5,490 m/s이었다. 인장시험에서 모재는 상대적으로 높은 탁월주파수를 얻었다. 그러나 열처리된 재료, 열처리 시간이 길고,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낮은 주파수의 영역에서 얻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나타난다.

미백성분이 포함된 나노입자의 제조와 응용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Wnitening Ingredient Entrapped in Solid Lipid Nanoparticle [SLN])

  • 한성철;김연주;이기영;김동운
    • KSBB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78-186
    • /
    • 2004
  • 복합한방 재료인 옥용산에 대해 UV 흡수능, tyrosinase 저해활성 그리고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미백활성을 검정하고 비교 시험군으로서 비타민C와 함께 Eudragit 이 코팅된 coconut oil을 이용한 SLN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옥용산은 UV 영역에서 흡수능을 가지며 tyrosinase 저해 활성과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된 E-SLN을 T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크기 50∼300 nm인 구형의 양호한 입자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크기분포와 캡슐화 효율 분석을 통해 EUD의 농도가 2.0% (w/v), w/o 비율은 1 : 9, emulsion과 pour solution의 비율은 1 : 10, 그리고 실온에서 제조한 E-SLN의 캡슐화 효율이 가장 높고 크기의 분포가 가장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E-SLN을 이용하여 in vitro 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 E-SLN은 pH와 온도 의존적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E-SLN은 pH와 온도 의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필요가 있는 계에 대한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폐쇄 첩포시험과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공색소침착과 시료도포에 의한 미백효능 판정에 의한 임상시험 결과 옥용산과 비타민C,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E-SLN은 대조군의 경우와 비교하여 미백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기능성화장품에의 응용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전기적-미세역학 시험법과 음향 방출을 이용한 탄소 나노튜브와 나노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료의 비파괴 손상 감지능 (Nondestructive Damage Sensitivity of Carbon Nanotube and Nanofiber/Epoxy Composites using Electro- Micromechanical Technique and Acoustic Emission)

  • 김대식;박종만;김태욱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285-290
    • /
    • 2004
  • 전기적-미세역학 시험법을 이용하여 탄소 나노튜브와 탄소 나노섬유로 강화된 에폭시 복합재료의 비파괴 손상 감지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카본블랙은 탄소 나노튜브 및 탄소 나노섬유와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두 기지 복합재료 시험에서 탄소 섬유의 파단은 전기저항 변화 측정과 함께 음향방출을 이용하여 동시에 감지하였고 탄소나노복합재료 내부에 함침된 탄소 섬유에 대한 응력 감지는 반복 하중 하에서 전기적-pullout 시험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같은 부피 함량에서 섬유파단, 기지재료 변형 및 응력에 대한 감지능은 탄소 나노튜브/에폭시 복합재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카본블랙의 경우가 가장 낮았다. 전기적물성 및 손상 감지능은 탄소나노복합재료의 형상학적인 관찰 결과와 상호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탄소 나노재료의 균일한 분산은 손상 감지능을 높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며, 탄소 나노복합재료에 대한 손상감지는 전기저항측정과 음향 방출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실내 공기질 공정시험방법과 기준의 동시 개정에 따른 실란트 제품의 TVOC 관리수준 평가 (Evaluation of TVOC regulation level of sealant products in accordance with simultaneous revision of testing method and regulation value in the law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 유지호;박준만;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3권2호
    • /
    • pp.138-146
    • /
    • 2010
  • 환경부에서는 오염물질 다량 방출 건축자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의 시행 규칙 일부를 개정하였다. 특히 액상건축 자재인 실란트의 경우 시험방법과 초과기준이 함께 개정되어 기존 관리 수준과 개정 관리 수준의 직접적인 비교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란트의 개정 시험방법의 각 요소들이 오염물질 방출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타당성을 기존 시험방법에 대비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개정된 오염물질 방출 관리기준을 평가하였다. 특히 실란트는 제품마다 완전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의 편차가 커서 시험기간 내에 완전히 경화되지 않는 제품들도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경화시간이 빠른 제품들만 대상으로 개정된 시험방법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개정된 실란트의 관리기준은 기존의 관리기준에 비해 2.5 배 이상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정된 실란트의 시험방법을 모든 실란트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험기간을 연장하거나 실란트 시험편을 빨리 경화시킬 수 있는 시험방법으로 개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