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추도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35초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 증례 보고 -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the Sciatic Nerve in a Patient with Neurofibromatosis - A Case Report -)

  • 송상호;조성우;심창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1
    • /
    • 2000
  • 악성 신경초종은 주로 연부 조직에 발생하는 매우 드문 육종으로 기존의 신경섬유종이나 신경초종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말초신경에서 새로이 발생하기도 하며 방사선 치료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신경섬유종증의 기왕력이 있는 3 9세 남자로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는 대퇴후방의 동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경계가 분명한 $6.5{\times}5{\times}4.5$cm 크기의 종괴는 광학 현미경상 촘촘히 압축된 방추상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신경섬유종증 환자는 이차적으로 악성 신경초종의 발생빈도가 높기 때문에 악성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

  • PDF

대퇴골에 발생한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of the Femur (Nora 병변) - 증례 보고 -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of the Femur (Nora's Lesion) - A Case Report -)

  • 신봉경;조현득;염범우;최종상;김철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8-182
    • /
    • 1999
  • 저자들은 18세 남자 환자의 우측 대퇴골에 발생한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Nora 병변) 1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사선 소견상 비교적 경계가 좋은 석회화 병변이 하부 대퇴골의 피질 표면에 붙어 있었으며 병변은 넓은 기저면을 갖고 있었다. 대퇴골의 변형은 없었고, 병변과 대퇴골간의 골수강의 연결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으로 병변은 연골, 골 및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연골은 세포밀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나, 과염색증이나 다형성세포는 없었다. 불규칙한 골과 연골간의 경계와 연골내 골화를 보였다. 골소주는 불규칙한 형태를 보이고 배경 기질에서 방추형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학적 비정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병변은 일종의 이소성 골화로써 반응성 병변으로 간주되며, 임상적으로나 병리학적으로 골육종이나 연골육종과 같은 악성 병변과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PDF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Robinia pseudoacacia)

  • 천원수;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127-131
    • /
    • 2016
  • 2014년 안동, 문경, 청송의 야산에 있는 아까시나무에서 잎에 검은 반점이 형성되었다. 이 반점은 점차 회갈색 혹은 회색으로 변하며, 병반의 가장자리에는 검은 테두리를 형성한다. 또한 소형 병반에서는 검은 반점뿐만 아니라 노란 halo를 형성하기도 하기도 한다. PDA 배지상에서 균총은 흰색을 띠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렌지색의 분생포자층을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방추형이었으며, 크기는 $8.3-17.2{\times}2.5-4.1{\mu}m$였다. 부착기는 암갈색의 곤봉형으로 크기는 $8.1-12.3{\times}4.1-6.4{\mu}m$였다.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 acutatum과 일치하였다. 아까시나무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 병을 C.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형산강 유역 포항 통합시 근로자들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상 및 초음파검사와 피내반응검사의 정확도 (Evaluation of sonography and skin test in diagnosis of clonorchiasis at the Hyongsan-gang (River) area)

  • 이현경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2호
    • /
    • pp.117-124
    • /
    • 1995
  • 간흡충증의 진단에 흔히 쓰이는 초음파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4년 3월부터 11월까지 유행지역인 형산강 유역 포항 통합시 근로자 609명을 대상으로 피내반응검사. 대변검사. 초음파검사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검사에서 진단적인 소견으로 간내 담관의 확장만을 인정할 경우의 민감도는 21%이었고, 담관주위 에코가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민감도는 52%이었다. 피내반응검사의 민감도는 62%이었다. 피내반응검사 양성이면서 초음파 소견이 하나라도 있는 경우를 진단기준으로 삼으면 민감도는 46%이었다 본 조사에서는 간흡충 혹은 간흡충의 집합체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초음파검사상 방추상이고 약하게 반향을 보이는 담관이나 담낭내의 비음영의 초점이 뚜렷하게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초음파검사의 특이도는 간내 담관의 확장만을 진단적 소견으로 인정할 경우 95%. 담관주의 에코까지 진단적 소견에 포함하면 83%이었다. 피내반응검사의 특이도는 52%이었다. 피내반응검사 양성이면서 초음파 소견이 하나 라도 있는 경우를 진단기준으로 삼으면 특이도는 90%이었다.

  • PDF

선암종의 요소를 갖느느 혼압대세포신경내분비암종-1예 보고- (Combined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with Component of Adenocarcinoma-A case report-)

  • 박종운;이재웅;조태준;김건일;이원용;홍기우;엄광석;전선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79-582
    • /
    • 2005
  • 혼합대세포신경내분비암종은 매우 드문 폐암으로, 조직학적으로 대세포신경내분비암종의 종양세포외에 선암종, 편평세포암종, 거대세포암종 혹은 방추상암종의 구성세포를 포함한다. 저자는 간헐적 흉부 동통을 호소하는 44세 남자환자가 우측 중폐야의폐종양으로 내원하여서 시행한 우측 폐전적 출술과 종격동 림프절 곽청술 후 병리에서 선암종의 요소를 갖는 혼합대세포신경내분비암종이 진단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이다.

기관지에서 기원한 평활근육종 -1예 보고 - (Leiomyosarcoma of the Bronchus -A case report with long-term follow-up -)

  • 김형태;이철주;윤유상;최호;강준규;김정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91-994
    • /
    • 2003
  • 원발성 폐평활근육종(primary pulmonary leiomyosarcoma)은 드문 질환으로 전형적인 X-ray소견이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이 가장 일반적이며 예후는 병소의 크기, 분화도, 전이 등과 관계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5세 여자 환자가 한 달 전부터의 흉부동통과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후 시행한 흉부 X-ray상 좌상엽에 폐결절 소견을 보여 경피적 세침흡입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 방추세포종괴(spindle cell tumor) 소견을 보였고, 좌상엽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수술 후 시행한 조직학적 검사상 기관지에서 기원한 평활근육종으로 나타났으며, 환자는 현재 5년째 특별한 합병증이나 재발 없이 외래에서 추적 중이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estalotia diospyri에 의한 생육중의 단감 잎마름병과 저장중 과일 부패병 (Leaf Blight of Sweet Persimmon Tree in the Field and Fruit Rot in the Storage Caused by Pestalotia diospyri)

  • 권진혁;안광환;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0-133
    • /
    • 2004
  • Pestalotia diospyri에 의한 단감 잎마름병은 감 생육중 잎에 주로 발생하나, 간혹 저장 및 시장 유통중 과실에도 발생을 한다. 병징은 잎에 원형, 다각형 또는 부정형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테두리는 검은색이고 가장자리는 적갈색으로 변한다. 병반 뒷면에 검은색의 소립점 형성된다. 저장 및 시장 유통중 과실에 발생할 경우는 과실 꽃받침 부분에서 흰색의 균사가 형성되며 심할 경우 과실전체에 흰색 균사로 덮인다. 균충의 색깔은 흰색을 띠고 배지표면에 물방울 모양의 검은색의 분생포자퇴를 많이 형성한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도란형 또는 방추형이고, 크기가 $16{\sim}22{\times}6{\sim}8\;{\mu}m$이었다. 부속사는 윗부분에 $2{\sim}3$개가 달려있고 크기는 $9{\sim}18\;{\mu}m$이었다. 균사 생육적온은 $30^{\circ}C$였다.

대퇴골에 발생한 역분화성 방골성 골육종 - 증례보고 - (Dedifferentiated Parosteal Osteosarcoma of the Femur - A Case Report -)

  • 박혜림;박용구;장준동;남은숙;손진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0-75
    • /
    • 1999
  • 57세 여자 환자의 대퇴골 원위부에 발생한 방골성 골육종이 이차적 역분화를 일으킨 예를 치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57세 여자 환자가 1987년 방사선 소견상 대퇴골 방골성 골육종으로 진단되었고, 1992년 절제 생검을 시행한 결과 통상적인 방골성 골육종이었고, 이배수성의 DNA를 나타내었다. 1998년 환자는 병적 골절이 동반된 재발성 종양으로 재입원 하였다. 절제된 종양은 통상적인 방골성 골육종의 부위뿐만 아니라, 고등급의 방추성 세포 육종의 특정을 보이는 역분화 부위가 흔재하여 있었다. 이러한 역분화 부위는 유세포 측정을 이용한 DNA 검사상 이수배수성을 나타내었다. 본 증례를 통하여 모든 방골성 골육종이 저등급 병변은 아니고, 일부의 저등급 병변이 불충분한 절제 후에 고등급의 종양으로 역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폐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 보고 -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the Lung - A case report -)

  • 김대현;김중헌;김범식;박주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1호
    • /
    • pp.786-788
    • /
    • 2007
  • 원발성 폐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매우 드문 종양이다. 12세 남아가 우연히 발견된 폐 종괴를 주소로 입원하였다. 흉부 X-선,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에서 우하엽에 위치하는 $2.5{\times}2.5 cm$크기의 종괴가 관찰되었다. 우측 측방 개흉술을 통해 종괴를 절제하여 냉동 절편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악성 방추형세포 종양으로 진단되었다. 따라서 우하엽 절제술 및 종격동 림프절 청소술을 시행하였고, 최종 조직학적 진단은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이었다. 환자는 수술 후 7일째에 퇴원하였으며, 보조적 항암 약물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유사분열 활성화 단백질 효소가 돼지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MAPK Activity in Porcine Oocytes Maturing InVitro)

  • 이재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124-212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MAPK 저해제인 U0126이 난자성숙과정에서 특히 감수분열, 미세소관 형성 그리고 액틴 필 라먼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APK 단백질은 12시간째에 인산화되기 시작하여, 24시간째에 대부분 인산화 되었고 metaphase II에 이르기 까지 유지되었다. 배포단계(GV)에 있는 난자를 U0126의 $20{\mu}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MAPK의 인산화가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배포의 파열 단계(GVBD)로의 성숙에는 진행하였으나, metaphase I까지는 발달하지 못하였다. 또한 MAPK 저해제로 인해 비정상적인 방추사의 형성을 초래하였다. 난자를 배포의 파열단계(GVBD) 이후에 U0126을 처리하였을 때 극체의 방출은 정상 이였으나 중기 판의 배열과 염색체의 분열은 비정상적 이였다. 결론적으로, 유사분열 활성화 효소단백질인 MAPK의 활성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과정에서 배포단계(GV)의 염색체의 배열과 감수분열의 완성에 중요한 조절 인자임을 이번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