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재안전관리

Search Result 66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Urban Flooding Management (도시침수 상황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Kang, Hoseon;Choi, Changwon;Bae, Cha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패턴 변화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울 강남('12), 부산('13), 울산('16), 인천, 부산('17) 등 대도시 지역에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침수는 하천홍수 피해와는 달리 매우 짧은 시간에 피해가 발생하며, 시설물 파괴보다는 주택, 차량, 상가 침수로 인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도시침수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므로, 상황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도시침수 피해저감을 위한 대책으로 구조적인 대책과 복구사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짧은 시간, 높은 강도의 호우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침수는 이와 같은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사전 대비 대응을 위해서는 예 경보 시스템 등 비구조적인 대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시침수의 실시간 분석 및 모니터링 등 상황관리지원을 위한 도시침수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도시침수 상황관리를 위한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연구를 2014~2016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 AWS 및 RADAR 예측강우 기반의 예 경보, 침수예상도 및 침수위험지역 정보제공, 실시간 강우빈도분석, 다양한 기상정보 제공, SNS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담당자의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하며, 2017년부터는 시범운영을 통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운영 결과를 통해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국화 운영을 위해 전국 읍면동단위의 위험기준 추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2001 가스안전관리 종합대책

  • Korea LPGas Industry Association
    • LP가스
    • /
    • s.73
    • /
    • pp.36-44
    • /
    • 2001
  • 서울시 소방방재본부가 최근 "2001 가스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우리회로 알려왔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Disaster Prevention District in Urban Area (도시지역 내 방재지구 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 Jeong, Woo-Cheol;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81-282
    • /
    • 2022
  • 본 연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방재지구에 대하여 관련 연구 자료 및 통계를 통한 지구지정 현황과 운영제도의 문제를 검토한다. 건축물·인구밀도가 밀집된 지역으로서 시설 개선 등을 통하여 도시지역 내의 재해예방을 위해 지정이 필요한 시가지방재지구는 방재지구지정 의무화제도가 도입된 이후 서울시 등 여러 곳에서 지정되었으나 대부분 폐지되었고, 현재는 전국에서 전라남도에 5개 지구가 지정되어 있다. 지구지정 감소의 원인은 방재지구의 지정 및 관리제도가 현실적이지 못한데 기인한다. 시가지방재지구는 면적에 비해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의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재계획이며, 활성화를 위하여 지원방안 및 인센티브가 포함된 구체적인 관리 운영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 PDF

Effective Safety Management by the Classification of Safety Standard (안전기준 분류에 따른 효과적 안전관리)

  • Lee, Hyun Woo;Lee, Young Ja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3
    • /
    • pp.35-4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atize safety management for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analysis and review of several safety standards currently in force among the statutes and rules regarding various safety accidents. Accordingly, the safety standard systems of Japan, US, and Germany were examined and a KOSAM entity relationship diagram (ERD) was drawn based on the ontology system. The ERD consists of the safety standard scope, safety management statute, safety management standard, safety management subjects, causes of safety accidents, and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 entities. Next, each entity was assigned a code and finally a KOSAM safety management condition search screen was designed based on the ER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an overall improvement in safety standard management and operation through safety standard DB construction and the execu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Collapse Disaster in a Form (거푸집 동바리 붕괴재해 예방대책 에 의한 연구)

  • Ham, Eun-Gu;Heo, Da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1-162
    • /
    • 2023
  • 본 연구는 거푸집 동바리 붕괴재해 예방대책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구조검토, 재료문제, 설치문제, 작업방법 불량 등으로 기존의 가설작업이 서류적으로 형식상의 안전점검 및 구조검토서를 반영한 현장관리로 재해발생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점을 착안해 현장대응 방법을 변경하여 관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 PDF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Collapse Disaster in a Form (거푸집 동바리 붕괴재해 예방대책 에 의한 연구)

  • Ham, Eun-Gu;Heo, Da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13-314
    • /
    • 2022
  • 본 연구는 거푸집 동바리 붕괴재해 예방대책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구조검토, 재료문제, 설치문제, 작업방법 불량 등으로 기존의 가설작업이 서류적으로 형식상의 안전점검 및 구조검토서를 반영한 현장관리로 재해발생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점을 착안해 현장대응 방법을 변경하여 관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