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재기능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8초

정밀측위.통신용 임펄스 UWB SoC 설계기술

  • 김천수;김재영
    • 정보와 통신
    • /
    • 제25권12호
    • /
    • pp.19-25
    • /
    • 2008
  • 유비쿼터스 홈, 인명 방재, 지능형 로봇 등에 응용하기 위한 IEEE 802.15.4a 시스템은 실내에서 1m 이하의 측위 기능, 수Kbps ${\sim}$ 수Mbps의 통신 기능, 4개 이상의 SOP (Simultaneous Operating Pico-net), 30m이상의 통신거리 및 저전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표준을 수용하는 정밀측위 기능과 통신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임펄스UWB SoC설계, 제작 및 시험기술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운영을 통한 화학사고 감소 기여도 연구 (A Study on the Contribution to reducing Chemical Accident of Joint Inter-agency Chemical Emergency Preparedness Center)

  • 김성범;곽대훈;전정현;정성경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60-366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의 운영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화학사고의 저감에 기여여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합동방재센터의 기능 및 임무와 최근 5년('13~'17)의 화학사고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화학사고('13~'17) 총 469건 중 '15년 113건, '16년 78건, '17년 87건으로 화학사고 저감경향을 보이고 있다.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다량의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산단에 위치하여 사고 발생 시 신속한 현장대응과 수습활동 및 원인조사, 사고예방 교육 훈련, 안전 순찰 등의 기능을 통해 지역밀착형 사고예방 기능 수행으로 화학사고 저감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화학사고 저감요인 중 화학물질관리법('15.1.1) 운영에 따른 안전관리 강화와 화학사고 대비 대응을 임무로 운영되는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14.1 설치 운영)의 역할이 크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연기제어를 위한 통합제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on Control System Development for Smoke Control)

  • 이동명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통권23호
    • /
    • pp.15-2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연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유연성을 주며 방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 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통합제어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 알고리즘 확립과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바탕으로 신뢰성이 확보된 각종 센서와 통합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개별제어 방식에서 통합제어시스템으로 부터 중앙집중식 통합관리를 함으로서 제연시스템을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최적의 제어기능을 얻을 수 있으며, 제연시스템에 유연성을 부과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통합제연시스템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연시스템의 기능성 확보와 성능위주의 제연시스템을 구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한 방재자원 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 이창희;정우영;이창렬;강병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53-163
    • /
    • 2013
  • 최근 국내외적으로 자연 및 인적재난에 의한 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들 재난에 대한 피해는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으나 국가적으로 잘 준비된 예방 및 관리대책 수립에 의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방재자원은 재난 발생 시 투입되는 인력, 물자, 장비, 시설자원을 의미한다. 실제 재난발생 시 이들 자원의 신속하고 적절한 투입은 실제 그 재난을 최소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방재자원의 경우, 적절한 방재자원 동원을 위한 기준이나 분류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못한 상황으로 이로 인한 효과적인 자원관리 및 투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행 국내에서 불규칙적으로 적재, 활용되고 있은 방재자원의 효율적인 동원체계 구축을 위한 초기단계의 연구로서 보다 효율적인 방재자원의 관리 및 운영을 위한 방재자원의 기능별, 역할별 분류를 구축하고 이를 제시 보다 효과적인 방재자원 관리 및 동원시스템을 구축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지하가 시설의 방화대책

  • 정국삼
    • 산업안전기술지
    • /
    • 제1권1호
    • /
    • pp.34-39
    • /
    • 2001
  • 최근에 들어서 지하전철의 건설 확대와 도시 지하차도 및 지하구조물의 건설 수요증가 등 대규모 지하생활 공간의 개발이 추진되고 도시 기능의 집중화로, 공간의 유효 이용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지하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기존 건물의 심층화와 지하 주차장 및 지하가, 지하철역 등의 활용성이 증가하면서 더욱 이들 지하 다중이용 시설의 심도화와 대규모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지하시설의 경우, 안전성과 쾌적성을 부여하기 위한 자연채광, 방재, 환기 기술분야의 설계와 시공 기술 등이 선진국의 경우에 비하여 아직 취약한 실정이어서, 이들 시설 공간에서의 환경악화 현상이 클 뿐만 아니라, 특히 방재상의 문제점으로 화재가 발생시, 인명의 피난과 소화 활동의 곤란성 등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중략)

  • PDF

4절점 준적합 쉘 요소를 이용한 점진기능재료(FGM) 판과 쉘의 구조적 안정 및 진동 연구 (A Study of Structural Stability and Dynamics for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Plates and Shells using a 4-node Quasi-conforming Shell Element)

  • 한성천;이창수;김기동;박원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47-6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단변형률과 회전관성을 고려한 준적합 쉘 요소를 이용한 점진기능재료 판과 쉘의 고유진동수와 좌굴하중을 연구하였다. S 형상 함수를 이용한 세라믹과 금속의체적요소의 변화에 따른 점진기능재료 판과 쉘의 고유치 문제를 연구하였다. 점진기능재료 쉘 요소의 면내 강성, 휨 강성 및 전단 강성의 수식은 등질 요소보다 복잡한 재료의 성질들로 결합되어 있다. 유한요소의 수치적 결과를 검정하기 위해 1차 전단변형 이론에 의한 직사각형 판의 Wavier해를 제시하였다. 적층복합 구조 및 S 형상 점진기능재료 구조의 수치해석해는 Navier의 해로 검증하였으며, S 형상 점진기능재료 구조물의 다양한 예제를 제시하였다. 해석결과는 Navier의 이론해와 아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화재현장에 적합한 소방방재로봇의 개발 방향 탐색 (A Research of the Development Plan for a Highly Adaptable FSR (Fire Safety Robot) in the Scene of the Fire)

  • 김국래;김진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13-118
    • /
    • 2010
  • 소방방재로봇이 2009년 9월부터 대구시 산하 소방서에 배치되어 시범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소방관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설문 등을 통해 각종 문제점들과 기능 개선사항을 분석하여 현장 적응성, 실효성 있는 로봇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보조로봇은 조종 편의성을 높이고, 장애물 통과 및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바퀴 성능을 우선적으로 개선하여야 하며, 필드로봇은 무게의 경량화와 조종 편의성 및 무선통신을 안정화 시켜야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범중인 로봇에 대한 기능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으며, 보조로봇에 대해서는 현장 투입의사가 8.4% 수준으로 미미하였다. 이에 소방방재로봇의 조기 상용화 및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능개선 및 현장에서의 사용 활성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Web 기반 홍수방재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Flood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

  • 여운기;서영민;장경수;지홍기;이순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5-799
    • /
    • 2007
  • 최근 정보통신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Internet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어 수자원 분야에도 정보의 공유와 자료의 통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재해정보를 효율적이고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방재업무에 GIS를 도입하고 있다. Internet을 통한 손쉬운 정보의 취득은 효율적인 재해관리에 매우 중요하며,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표현을 위한 GIS기법 또한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ternet과 GIS를 결합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신속하고 정확한 재해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며, 방재 업무에 활용토록 하여 재해에 의한 주민들의 생명의 위협과 재산피해를 줄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재해관리를 위해서는 계획과 관련된 정보, 재해발생 이력, 대상지역의 각종 정보가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을 빠른시간내에 이해하고 분석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해야한다. Internet GIS는 비상상황에 대비한 계획과 대처 그리고 복구사업에 있어 가장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즉, Internet GIS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효과적이고 지능적으로 분석이 가능하며, 이해하기 쉬운 그래픽 기반의 자료를 보여주므로 방재업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Internet GIS를 방재정보 시스템에 이용할 경우 에 있어 장점, 약점, 기회, 위기에 대한 SWOT분석을 실시하였다. Internet이라는 환경의 장점을 그대로 이어받아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며 적용범위와 사용자층도 넓어지게 된다. 또한 누구나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협력체계 또한 쉽게 구축할 수 있으며 빠른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인터넷에 의존한다는 점에 있어 서버가 자연재해에 노출될 경우 시스템 자체가 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여러명이 동시에 서버에 접속을 하기 때문에 컴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모델링이나 복잡한 분석은 실시하기 어려우며,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대역폭이 확보 되어야 한다. 또한, Internet 환경으로 개발을 해야되기 때문에 데스크탑용 GIS에 비해 개발속도가 느리며 개발 초기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하지만,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모바일과의 연계 등으로 이러한 약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홍수재해 정보를 검색, 처리, 분석, 예경보할 수 있는 홍수방재정보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

  • PDF

도시 수변 완충지역의 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 탄성 (resilient) 관점의 계획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Landscape Plan Strategy of Urban Waterside Space Buffer Zon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Resilient Perspective of Plan -)

  • 양멍;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04-416
    • /
    • 2020
  • 홍수는 도시가 피할 수 없는 자연재해이다. 홍수 재해는 도시의 경제와 안전, 그리고 지속발전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수변 공간에 대한 개발과 건설 과정에서 기본적인 방재시설의 건축을 통해 홍수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고자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더라도 이를 완전히 피할 수는 없으며. 재해 발생 후 도시의 재건 비용은 방재(防災)시설의 건설비용보다 훨씬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최근 몇 년간 도시재건 등에 있어 탄성(resilient)이론은 학계의 광범위한 토론과 주목을 불러일으키며 도시의 문제해결에 관한 주제가 되어왔다. 즉, 탄성의 방재개념을 이론과 경험적 요소를 토대로 어떻게 실천으로 전환시켜야 하는지가 도시방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이다. 본 논문은 도시의 수변(공간) 완충지역(홍수 취약지역)여 관한 이론 문헌과 도시의 실천 사례연구를 통해 탄성 방재이론인 5R 요소를 명확화하고, 이에 따른 상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의 수변완충지역을 중심으로 탄성 방재이론 요소의 도시수변(공간)계획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방재계획수단을 이용해 도시수변토지의 개별 효용과 수변완충지역의 방재기능 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것과 둘째, 수변완충지역이 탄성 방재계획을 통해 방재 측면에서 홍수가 수반하는 문제에 최대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