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실차단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서맥 의존성 완전 방실차단 1례 (A Case of Bradycardia-Dependent Complete Atrioventricular(A-V) Block)

  • 이재익;김영조;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241-245
    • /
    • 1989
  • 저자들은 안정 와위시 완전 방실차단을 보이고, 좌위로 체위변동과 아트로핀 투여로 야기된 빈맥시 1도 방실차단으로 호전된 서맥의존성 방실차단의 예를 경험하였으며, 인공 심박조율기로 효과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진도종 개에서 아트로핀에 의해 발생한 역설적 방실 전도 차단 (Atropine Induced Paradoxical Atrioventricular Conduction Block in a Jindo Dog)

  • 이무현;이승곤;문형선;이준석;이용훈;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22-425
    • /
    • 2007
  • 6개월령 수컷 진도종 개가 교통사고에 의한 골반 골절 교정술을 위하여 내원하였다. 일반적인 수술 전 검사에서 마취와 관련해 위험성 있는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개는 아트로핀으로 전처치하고, 유도마취로 thiopental을 주사하였으며 유지 마취 약물로 isoflurane을 사용하였다. 수술 시작 40분 후 갑자기 서맥이 발생하여 아트로핀(18ug/kg)을 천천히 정맥주사 하였으나 즉시 맥박이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heart rate가 감소하며 방실 전도 차단($2^{nd}$ degree type I)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ephedrin을 즉각적으로 주사하였으며, 투여 7분 후 정상 심박으로 회복되었다. 본 증례는 개에서 고용량 atropine 투여로 드물게 발생하는 역설적 방실전도 차단 임상예이다.

국민학생 및 중학생의 심전도 소견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in School Children)

  • 전진곤;김정란;박재홍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23-27
    • /
    • 1987
  • 저자들은 1986년 5월부터 1987년 4월까지 건강 진단 목적으로 검사한 대구시내 국민학생 및 중학생의 심전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학생은 13,801명으로 남자 7,526명, 여자 6,275명이였다. 심전선도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수는 145명(1.05%)으로 남자 98명, 여자 47명이였다. 심방 및 심실비대는 우심방비대 2명, 좌심방비대 5명, 우심실비대 35명(0.25%) 및 좌심실비대 16명(0.12%)이였다. 이소심박중 심방성 조기수축 12명(0.09%), 심실성 조기수축 8명(0.06%) 및 방실접합부율동 5명(0.04%)이였다. 정도장애 부정맥중 1도방실전도장애 21명(0.15%), 1형 2도방실전도장애 1명, 방실해리 1명, 우각전도차단 36명(0.26%), 좌각전도차단 1명 및 WPW증후군 2명이였다. 비특이적 ST, T변화가 3명이였고, 동성빈맥이 1명이였다.

  • PDF

부분방실중격결손증에 대한 외과적 교정의 장기 결과 (Long-term Results of Surgical Correction for Partial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s -Seventeen-year Experience -)

  • 이정렬;박천수;임홍국;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11-920
    • /
    • 2003
  • 본 연구에서 지난 17년간 경험한 부분방실중격결손증의 외과적 교정술의 장기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4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부분방실중격결손증으로 외과적 교정술을 시행 받은 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사망률, 생존율 및 그 위험인자를 분석하고, 추적관찰 기간중 재수술과 관련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남자 환자가 32명 여자 환자가 61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연령의 중앙값은 68개월(3∼818개월)이었고 평균추적관찰기간은 108$\pm$59.4개월(1∼200개월)이었다. 결과: 조기사망은 4예로 수술 사망률은 4.3%였다. 사망원인은 발작성 폐동맥고혈압증 1예, 저심박출증 1예, 심부전에 의한 심폐기이탈실패 1예, 심실세동 1예였고, 사망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는 없었다. 조기사망한 환자 4명을 제외한 89명의 환자를 추적 관찰하였고, 1예에서 만기사망을 확인하였다. 3년, 5년, 10년, 15년 생존율은 각각 95.7%, 94.3%, 94.3%, 94.3%였다. 수술 직후 63명(67.7%)의 환자에서 좌측 방실판막폐쇄부전이 개선되었고, 14명(15.1%)의 환자에서는 술 전과 같았고, 12명(12.9%)에서는 악화되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8명(9.0%)의 환자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완전 교정술 후 평균 38.6개월(3∼136개월) 후 시행되었다. 3년, 5년, 10년, 15년 무재수술 생존율은 각각 94.0%, 91.4%, 91.4%, 88.2%였다. 재수술의 원인으로는 좌측 방실판막페쇄부전이 7예, 좌심실유출로협착이 2예, 잔존심방중격결손 1예, 좌측 방실판막협착 1예, 우심부전 1예였고, 재수술과 관련하여 좌심실 유출로 협착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위험인자였다(p=0.002). 10명의 환자에서 술 후 부정맥이 발생하였는데, 3명의 환자에서 상심실성 부정맥, 7명의 환자에서는 완전 방실전도차단이 발생하였고, 이 중 6명의 환자에서 영구 인공심박조율기의 삽입이 필요하였다. 걸론: 부분방실중격결손증은 낮은 사망률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재수술의 원인은 좌측 방실판막페쇄부전이 가장 많았다. 방실판막구조물의 기형이 동반된 경우 재수술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또한, 술후 좌심실유출로협착여부가 재수술의 위험인자였으므로 좌측 방실판막 및 좌심실 유출로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좌심실유출로협착은 발생시 대동맥하부의 조직에 대한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나 재발 가능성이 크고, 필요시 수정 Konno수술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방실전도차단은 초기시행단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심장 전도계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와 경험축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경피적 접근을 이용한 영구 박동조절기(pacemaker) 장착을 통한 3도 방실 차단이 있는 비글종 개의 치료 (Permanent Transvenous Cardiac Pacing in a Beagle Dog With a Third Degree Atrioventricular Block)

  • 이승곤;문형선;이무현;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4-418
    • /
    • 2007
  • 2.8살 된 암컷 비글종 개 (체중 11kg)가 운동 불내성과 간헐적인 실신증상을 보여 내원하였다. 청진상 불규칙하게 불규칙한 심장박동과 지속적인 맥박결손이 청진되었다. 심전도상에 3도 방실차단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임상증상 개선을 위하여 경정맥을 통한 영구적인 박동조절기(pacemaker)를 장착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더 이상 실신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주인과 함께 산책을 나갈 수 있을 만큼 임상증상이 개선되었다. 현재까지 박동조절기 장착과 관련된 합병증 없이 잘 생존하고 있다.

A Case of Lyme Disease Complicated with Atrioventricular Block in a 13-year-old Boy

  • Ahn, Bin;Kim, Gi Beom;Lee, Hoan Jong;Choi, Eun Hwa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3호
    • /
    • pp.184-189
    • /
    • 2020
  • 라임병은 진드기를 매개로 하여 보렐리아속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 질환이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 초기에 유주성 홍반이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관찰되며, 신경, 심혈관계 및 관절을 침범하는 증상이 발현할 수 있다. 저자들은 미국 코네티컷주로 여행력이 있는 13세 남자에게서 발현한 라임병을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2016년 여름에 미국에서 숲 체험에 참여하던 중 발열, 두통, 양쪽 무릎 관절통을 호소하여 귀국하였으며, 내원 시 양 하지에 다수의 유주성 홍반이 관찰되었다. 심전도 검사에서 1도 방실 차단이 확인되었다. 간접면역형광항체법과 웨스턴블럿법 검사에서 라임병 특이 IgM 항체가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경구 doxycycline으로 4주간 치료하였으며, 유주성 홍반이 소실되고 심전도가 정상 소견으로 회복되었다. 라임병의 진단에 있어 호발 지역으로의 여행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임병에 의한 심장염은 무증상 방실 전도차단으로 나타날 수 있고 고도 방실 차단으로 진행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하며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통해 회복될 수 있다.

체외 순환을 이용한 감염된 영구 심박동기 도선의 제거 - 2예 보고 - (Extraction of an Infected Permanent Pacemaker Lead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 2 case reports -)

  • 오탁혁;김근직;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86-88
    • /
    • 2010
  • 심박동기는 동기능 부전 증후군에서부터 완전 방실차단까지 서맥의 치료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중재적 치료다. 일반적으로 경정맥을 통한 심내 심박동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감염 및 혈전증, 박동기의 기능부전, 부정맥, 심근천공, 삼첨판 폐쇄부전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심박동기의 감염은 전신감염으로 이행되어 환자 상태가 빠르게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감염으로 의심되면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다. 추나 올가미 등을 이용한 방법등 비수술적인 방법외에도 체외순환을 이용한 적극적인 제거도 환자 상태에 따라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감염된 심박동기를 체외순환을 이용하여 제거한 두 개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불테리어종 개에서 발생한 미약한 심실반응이 있는 심방조동 (Atrial Flutter with Poor Ventricular Response in a Bull Terrier Dog)

  • 이준석;한숙희;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5-439
    • /
    • 2010
  • 6살된 암컷 불테리어종 개 (체중 17 kg)가 운동 불내성과 실신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진단검사를 통해 특발성 심근확장증에 의한 심방조동과 완전 방실차단 증례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심근증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와 dofetilide를 포함한 항부정맥 치료를 통해 11개월간 관리되었다. 하지만 환자는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폐사하였다.

중증 서맥성 전도장애 개에서 피부경유 심박 조절 하에 기관내 스텐트 장착 (Intratracheal Stenting Under the Aid of Transcutaneous Cardiac Pacing in a Dog with Severe Bradycardic Conduction Defect)

  • 이승근;현창백;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00-404
    • /
    • 2008
  • 10살된 암컷 요오크셔테리어(체중 3 kg)가 심한 호흡곤란 청색증, 간헐성 발작 증상으로 진료가 의뢰되었다 신체검사 결과 지속성 맥박결손을 동반한 불규칙 서맥이 부정기적으로 관찰되었다. 심전도 검사에서 고도의 방실차단이, 방사선검사에서 중증 기관허탈이 진단되었다. 피부경유 심박조절 하에 자동확장 기관내 스텐트를 성공적으로 장착할 수 있었다.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이식자의 적응 경험 (Study on Recipients' Experience of Adapting to Permanent Pacemakers)

  • 한순희;강정희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34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develops a substantive theory on the recipients' experience of adapting to a permanent pacemaker. Method : The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3 adults who had received a permanent pacemaker during the previous year. The study addressed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experience of adaptation in people who had received permanent pacemakers?" From October 2016 to March 2017,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ults : The core category indicating the essence of the adaptation experience was shown to be "accepting the pacemaker as part of my body and living in line with it." Conclusions : In nursing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ssist nurses in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s with and developing guidelines or interventions for their clients who have received permanent pacemakers. In the field of nursing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future nurses and other healthcare workers working with permanent pacemaker recip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