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류 수온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Residual Current and Salinity according to Freshwater Discharge in Yeoungsan River Estuary (방류 유무에 따른 영산강 하구역의 시공간적 잔차류 및 염분 변화)

  • Kim, Jong-Wook;Yoon, Byung Il;Song, Jin Il;Lim, Chae Wook;Woo, Seung-Buh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5 no.2
    • /
    • pp.103-111
    • /
    • 2013
  • In this study, fiel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the section about 7 km from sea dike to westward. The observations of along channel current were carried out, an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at 10 stations during one tidal cycle, and sampling interval is 1 hour. The maximum ebb current is about 1.5 m/s at the surface layer but flood current is 0.4 m/s at the bottom layer during discharge period. Residual current during river discharge shows two layer structures which is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estuary system. On the other hand, residual current during a period with no discharge has shown multi-layer structure different from general estuarine systems. The distribution of high salinity can be seen at the bottom layer as the effect of discharge does not reach down to the bottom layer during discharge. As a result, freshwater is not effected at the bottom layer during observation, and mixing of surface layer to bottom layer is reduced by stratification.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Characteristics for Hydraulic and Water Temperature Investigation in Paldang Reservoir (팔당호의 수리 및 수온 조사를 통한 물순환특성 분석)

  • Choi, Hwang Jeong;Cho, Yong-Chul;Yu, Soonju;Song, Yong Sik;Ryu, Ing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1
    • /
    • pp.12-22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water circulation characteristics of Paldang Reservoir by continuous hydraulic and water temperature survey. Due to differences in water temperature and discharge pattern of Ipo Weir and Cheongpyeong Dam, the flow and temperature fluctuations were different in sections of Namhan River and Bukhan River in Paldang Reservoir. At the stratification period,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of Ipo Wei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eongpyeong Dam. Therefore, in the surface layer of the downstream of Bukhan River, relatively high temperature water is located and back water phenomenon occurred, and convergence zone is formed.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Namhan River, low-temperature water was distributed in the middle and lower layers, and the upstream flow appeared to be difficult to mix with the surface layer.

대구, Gadus macrocephalus 종묘생산을 위한 채란, 부화 및 자어사육

  • 이정용;이채성;김완기;박상언;권문경;최수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6-66
    • /
    • 2003
  • 대구는 한대성 어종으로 크기가 1m에 달하는 대형 고급 어종이나 최근 자원량 감소로 인하여 생산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대구 자원 증대를 위한 방류 사업은 1981년부터 국립수산과학원 주도로 실시되어 오다가 현재는 수협과 경남도 등에서 수정란을 연안에 뿌리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방류를 통한 자원 증대 효과는 극히 미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대구 차원의 실질적 증대를 위해서는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되는 종묘생산에 의한 치어의 방류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의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채란, 부화 및 자어사육 결과를 보고한다. 강원연안 대구의 채란은 1월 중순부터 3월 초순까지 가능하였으며, 산란기 암수 GSI는 암컷 33.5, 수컷 13.7이었다. 전장 80.4cm 암컷의 포란수는 363만 개였으며, 복부압박법으로 180만개의 알을 채란할 수 있었다. 채란된 알은 직경 1.08mm의 원형 점착란으로, 습식 인공수정 방법에 의한 수정률은 65%이 었다. 부화는 1시간 이상 세란 후 가두리에서 부화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었으며, 수온 4$^{\circ}C$에서는 10일 후 배체형성 후 폐사하였으나, 7$^{\circ}C$에서는 수정 12일 후 65.0%가 부화하여 가장 양호하였다. 1$0^{\circ}C$에서는 수정 8일 후에 30%의 부화율을 보였으며, 13$^{\circ}C$와 16$^{\circ}C$에서는 각각 4일 및 2일 후 발생이 중지되고 폐사하였다. 부화자어는 전장 4.3mm였으며, 부화 45일째 9.3mm로 성장하였다.

  • PDF

Mixing Zone Analysis on Outfall Plume considering Influent Temperature Variation (수온 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방류관 플룸의 혼합역 분석)

  • 김지연;이중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247-253
    • /
    • 2004
  • As a large scale port development in coastal waters proceeds step by step and populations in the vicinity of port are getting increased, the issue on "how to dispose the treated municipal water and wastewater in harbor" brings peoples′ concern. The submarine outfall system discharges the primary or secondary treated effluent at the coastline or in deep water, or between these two. The effluent, which has a density similar to that of fresh water, rises to the sea surface forming plume or jet, together with entraining the surrounding sea water and becomes very dilute. We intended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dilution of effluent and the behavior of flume under the conditions of the seasonal and spatial temperature variations, which have not been noticeable in designing effective marine outfall system. To predict and analyze the behaviour and dilution characteristics of plume not just with the effluent temperature, but also with the seasonal variation of temperature of surround water and tidal changes, CORMIX(Cornell Mixing Zone Expert System)-GI have been applied. The results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evaluation the mixing zon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d water. We hope to help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outfall system, probable outfall design, protection of water quality, and warm water discharges from a power plant, etc.

  • PDF

A Study on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at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마산ㆍ창원 하수종말 처리장의 해양방류 처리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연구(I))

  • Kang See-Whan;You Sung-Hyup;Oh By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 no.2
    • /
    • pp.60-69
    • /
    • 1999
  • In this paper, we have obtained the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rates of wastewaters discharged from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from both of field measurements and CORMIX model simulations. In the summer of 1998,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was measured at 16 stations in the vicinity of the Masan outfall and the dilution rates were analyzed by salinity deficit method. The transport of the wastefields and their initial dilution rates were calculated by CORMIX model using field data as model input. Both of observed and predicted results are shown In very low dilutions with the range of 32~48 from the field data analysis and 29~43 from the model prediction,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 water quality in the Masan outfall area can be worsening due to the low dilution rates of diswastewaters, especially, when the ambient currents are very weak in a neap tide and ambient water density is highly stratified in summer.

  • PDF

Optimal Water Quality Management due to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최적 수질 관리)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8-358
    • /
    • 2016
  • 본 연구에 앞서 가뭄에 따른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1차원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결과와 연계하여 수질 모형을 구축하여 금강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위 영향에 따른 염도의 역류 모의를 위하여 전자해도와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금강 하굿둑에서 외해 방향으로 약 9km에 이르는 모의 구간을 확장하였으며, 상류단의 진두수위표를 포함한 8개 지천의 유입유량 및 수질, 하구의 조위와 염도, 농공용수 취수시설의 취수량 및 회귀수 수질, 금강 배수갑문 운영, 대상 구간에 인접한 기상대의 기상자료 등을 고려하고 금강 본류를 따라 9개 수질측정소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 구간 내 2015년의 갈수기 유황 분석을 토대로 비선형 회귀분석식을 도출하여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과 함께 수질-유량 관계식을 도출하여 대상 구간의 수온, 염도, 용존산소(DO), BOD, 조류 등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온 분석 결과, 지점에 따라 2015년 유황 대비 평균 수온 1.79~3.83도, 최고 수온 1.74~4.30도 상승할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염도는 2016년 갈수기 동안의 금강 하굿둑 외해 염도는 담수 방류량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평균 53%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어 기수역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갈수기 동안의 금강 하굿둑 내수의 염도는 배수갑문 개방 빈도, 개방 시간, 개방 정도의 감소에 따른 해수 역류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할 것으로 모의되었다. 용존산소는 2016년 갈수기 동안의 용존산소 농도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4~11% 감소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2016년 갈수기 동안의 BOD 농도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30~57%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류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29~67%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유량의 감소에 따른 수온 증가 및 수질 악화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나, 도수에 따른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Investigation of Current Fluctuation at a River (하천에서의 흐름변동 조사)

  • Lee, Hyun-Seok;Kwon, Hyung-Joong;Kim, Young-Sung;Lee, Ge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22-526
    • /
    • 2007
  •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하천의 경년변화를 조사하다 보면, 사주 변동에 따라 하천의 주 흐름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특정 하천의 지정된 구간에서의 흐름변동은 많은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짧은 시간 동안 자연하천에서의 주 흐름 변화를 관찰 하기는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에, 하천에서의 주 흐름 변동에 따른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는 "조정지 댐에서의 수문 조작"이라는 인위적인 방법을 동원함으로서 가능하였다. 모든 조정지 댐에서는 하천 유지를 위한 일정양의 물을 수문을 통하여 방류한다. 대청댐 하류에 있는 조정지 댐에는 폭이 약 10m에 이르는 10개의 수문이 있다. 평상시에는 우안으로부터 5번째에 있는 중앙의 수문을 개방하여 초당 약 18톤의 물을 방류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방류하고자 하는 지점의 수문높이를 조정하여 일정량을 유지한 채, 수문의 위치를 중앙에서 좌안 그리고 우안의 순으로 변경 하였다. 방류 수문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하천에서의 수리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흐름이 안정 될 때까지 충분히 기다린 후, 각각의 경우에서의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현지관측 및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첫째 지형측량, 유량측정 및 수위변동 등을 포함한 정밀현장조사, 둘째 일반적인 모델에 정밀조사 결과를 적용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는 가시화 기법 개발 등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한 모델은 하천에서의 흐름거동을 2차원적으로 해석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프로그램인 SMS (Surface-Water Modeling System)의 RMA2 모형이다. 이모형은 RMA (Resource Management Associates, Inc.)에 의해 처음 개발된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이며 지배방정식은 z방향을 수심 적분한 2차원 천수방정식으로, x와 y방향에 대한 Navier-Stokes 방정식과 연속 방정식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 시 지배인자 파악의 중요성 및 수치계산을 위한 검증자료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한 계산 결과 및 다양한 현장 특성을 고려한 계산 결과를 비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1)최신 장비들의 도입 및 검증과 기존 장비의 활용 범위 확대, (2)기존의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하천 흐름특성의 가시화 실현 등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Estimation of change in primary production of rivers and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 by discharge volume of Paldang Dam (팔당댐 방류량에 의한 한강의 일차생산량 변화와 유기물 기여도 산정)

  • Ui Seok Kim;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8-218
    • /
    • 2023
  • 일차생산은 화학합성 또는 광합성에 의하여 무기탄소가 유기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강은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리지만 수심이 깊어져 부착조류가 서식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대부분의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이다. 선행연구와 비교 결과, 한강 본류의 부영양화가 여름철에 발생하고 있으며 팔당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입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하천 내 1차 생산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는 유기물 근원을 판정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처리대책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본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를 측정하여 당해 유역의 유기물 수지를 추정하여 한강 고유의 특성과 지류에서 기인할 수 있는 부영양화 기여도를 파악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측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한강의 팔당댐 방류구로부터 신곡수중보까지 전 구역 중 총 12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절별 2회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강본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산소소비법을 통해 일차생산력과 유기물 분해속도를 조사하여 내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한강본류로 유입되는 4개의 유입하천에서는 COD를 조사하여 외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여 한강에서 발생하는 총유기물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하류 지점으로 갈수록 일차생산량이 점차 중가하였으며 지천이 유입되는 안양천, 탄천지점에서 유기물분해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이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미생물 활성도가 높아져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여름 조사 전 강우에 의한 팔당댐 방류량 증가로 인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다른계절에 비해 비교적 낮았지만, 호수의 부영양호 기준보다 높게 나타나 부영양한 수체로 판단하였다.

  • PDF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at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II) (마산ㆍ창원 하수종말 처리장의 해양방류 처리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연구(II))

  • Kang See Whan;You Sung-Hyup;Oh Byung-Cheol;Park Kwa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3 no.1
    • /
    • pp.35-44
    • /
    • 2000
  • The winter case of the near-field dilution at the Masan outfalls has been studied by field measurements and CORMIX model simulations. Dilution rates of the wastewater discharge in winter were obtained by a salinity deficit method using the field data observed in the neap tidal period of February, 1999. The observed dilution rates in winter season were found to be very high in the range of 90~130 due to the isopycnal mixing of ambient density compared with the summer range of 30~40 under weak neap tidal currents. The results of CORMIX model simulations also show that the winter dilution rates under a weak ambient current(Ua=6.0ms/s) were increased by 3-fold of the summer dilution rate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wo seasons becomes small by 30% under a strong current(Ua=15.5cm/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dilution and hydrodynamic mixing process of the effluents are more influenced by ambient crossflow condition than by ambient density stratification at the outfalls site.

  • PDF

Water Quality Variation Dynamics between Artificial Reservoir and the Effected Downstream Watershed: the Case Study (인공댐과 그 영향을 받는 하류하천의 수질변동 역동성 : 사례 연구)

  • Han, Jung-Ho;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1 no.3
    • /
    • pp.382-39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oral trends of water chemistry and spatial heterogeneity between the dam site (Daecheong Reservoir, S1) and the downstream (S2$\sim$S4) using water quality dataset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during 2000$\sim$2007. Water quality, based on eight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varied largely depending on the years, sampling sites, and the discharge volume. Conductivity and nutrients (TN and TP)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the downstream (S4) rather than the dam site during the monsoon. Spatial variation increased toward downstream (S4) from Daecheong Reservoir (S1). Also, BOD and COD increased toward downstream. Because of input of nutrient and pollutant nearby S1, lentic ecosystem in monsoon, BOD and COD were slightly increased. whereas relatively decreased in S4, lotic ecosystem in monsoon, by dilution effect of nutrient and pollutant by discharge from upper dam, S1. Spatial variation of SS increased toward downstream (S4) by the side of Daecheong Reservoir (S1). Based on the dataset,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point source tributary streams is required for better water quality of downstream. Monthly characteristics of DO showed the lowest value in the monsoon that tend to increase water temperature. DO was lowest in October at S1 because turbid water, input to the Daecheong Reservoir in the monsoon affect to the postmonsoon period. In contrast, water temperature increased toward summer monsoon,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showed between S1 and S4 environment. Overall,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downstream region have close correlation with discharge amount of Daecheong Reservoir. Thus, those characteristics can explain that discharge control of upper dam mainly affect to the water quality variation in downstream r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