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류수 수질기준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오.폐수 배출시설 방류수의 재이용 가능성 실태조사

  • 민경우;최형일;백계진;정원삼;이대행;김난희;서광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46-349
    • /
    • 2004
  • 광주시 관내 폐수배출시설 방류수 6지점과 대형 건축물 오수 처리시설 방류수 4지점 및 중수 처리 재이용수, 건물 옹벽 지하수 2지점의 수질을 분석하여 중수로써 재이용 가능 여부를 조사한 결과 폐수 배출시설 방류수의 경우 조립금속제품 제조시설, 축전지제조시설 및 타이어제조시설이 대체적으로 중수도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어 현재의 방류수를 그대로 중수로 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오수 처리시설 방류수의 경우 4지점 모두 유기물질은 물론 색도, 탁도 등 대부분의 항목이 중수도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현재의 방류수 자체를 중수로 사용하기는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방류수를 중수로 재이용하고자 한다면 모래 여과조나 활성탄 여과조, 소독시설 등 중수 처리시설을 설치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수처리시설 방류수를 중수 처리하여 재이용 하고 있는 중수의 경우 대부분 중수도의 수질기준을 만족하였으나, 색도와 탁도, 대장균군의 경우 일부 상당히 불안정한 수질을 보였으나 현재 화장실 세정수로 이용하고 있는데 색도 외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형빌딩 옹벽에서 흘러나오는 지하수의 경우 일반세균과 질산성 질소를 제외하고는 모두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현재의 지하수를 그대로 청소용수나 화장실 세정수 등의 중수로 재활용해도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활성탄 여과조와 소독 시설 등의 추가시설을 갖춘다면 먹는 물로도 사용이 가능하리라 보며, 수량적인 측면에서도 1일 발생량이 100~400톤 이상이므로 충분히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of Effluent Water Qualities for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Korea (우리나라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 관리체계 개선방안 고찰 - 미국, 일본, 유럽의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 관리제도를 중심으로 -)

  • Jeong, Donghwan;Choi, Incheol;Cho, Yangseok;Chung, Hyenmi;Kwon, Ohsang;Yu, Soonju;Yeom, Icktae;Son, Daeh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3 no.4
    • /
    • pp.296-314
    • /
    • 2014
  • In recent years, Ministry of Environment (MOE) has been implementing a phased strengthening of the effluent standards for sewage treatment plants. In this regard, a comprehensive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help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such standards by specifying the grounds for standard-setting and investigating the current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clear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standard-setting system for the effluent that is in a closer connection with the environmental criteria and rating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government provides guidelines on the least provisions and requirements for the Publicly Owned Treatment Works (POTWs). Local governments set the same or stricter guidelin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e. In Japan, the sewage treatment plants are subject to both the effluent standards and the discharge acceptable limits to pubic waters under the sewerage law. Specific requirements and limits are set in accordance with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The European Union imposes sewage treatment plants with different provisions for effluent standards, depending on the sensitivity of public waters to eutrophication. The effluent standards for sewage treatment plants are classified by pollutant loads discharged to receiving waters. MOE also needs to introduce systems for setting new parameter standards on a POTW effluent by applying statistical means and treatment efficiencies or optimal treatment techniques, as seen in the cases of the US National Pollutant Discharge Elimination System (NPDES) or the EU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PPC).

Wastewater Reuse: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Paddy (하수재이용에 따른 논에서의 수질 특성 분석)

  • Ko, Jae-Young;Jang, Tae-Il;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58-962
    • /
    • 2006
  •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관개함에 있어서, 관개 유입수 및 논 담수에서의 수질은 작물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하수재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사용함에 있어서 수질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환경부에서 $\ulcorner$하수처리 재이용 수질 권고기준$\lrcorner$을 마련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제시한 하수처리 재이용 수질 권고기준에 제시된 수질기준과 본 시험에 사용된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하수재 처리수의 수질을 비교하여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의 적합성을 판단하였으며,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논에서의 수질 정화효율을 알아보았다. 본 시험을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하수처리장 인근에 시험포장을 설치하였으며,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하수재처리수(여과, 소독, 저류)를 이용하여 논벼 작물 생육시험을 실시하였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과 하수재처리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년간 실시된 논 유입수 및 담수의 수질 모니터링 결과 논에서의 수질 정화 효율은 TN의 경우 $40{\sim}65%$, TP의 경우 $15{\sim}60%$로 나타났다. 이는 배출수를 통한 하천이나 호소로의 유입에 있어서 환경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농작업시 인체에 미치는 보건위생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지표미생물의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하수 재이용에 따른 농업용수 활용에 있어 인체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외 하수고도처리공정 개발현황 및 특징분석

  • 안창진;서인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2a
    • /
    • pp.113-197
    • /
    • 2004
  • 우리나라에서는 수질개선을 위하여 하수처리분야에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총 7조 7,705억원을 투자하였으며,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 측면에서는 1996년 1월 1일부터 총인(T-P)과 총질소(T-N)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수질환경보전법에 명시하여 규제하기 시작하여, 2008년 1월 1일부터 BOD 및 SS 10mg/L, T-N 20mg/L, T-P 2mg/L로 전국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수질개선을 위한 투자액 중 서울 등 대도시의 하수처리시설이나 하수관거 투자액이 절대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상수원수의 뚜렷한 개선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중략)

  • PDF

Study on characteristic of Advanced oxidation process for improvement of dyeing wastewater effluent quality (염색폐수 방류수 수질개선을 위한 고도산화처리에 관한 연구)

  • Lee, Sang-Hun;Park, Jun-Hyung;Shin, Dong-Hoon;Ryu, Se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18-118
    • /
    • 2012
  • 현재 정부는 친환경녹색성장을 모티브로 환경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오염 발생원을 최소화 하고자 현재 가동중인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 고도산화공정을 추가하여 오염 배출량을 최소화 하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독려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환경오염 업종인 섬유/염색 관련업체는 강화되는 환경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공정검토가 불가피한 현실이다. 특히 대구 OO염색공단은 염색업체가 집적되어 있어 난분해성 오염물질과 색도유발물질이 다량 발생되고 있으며, 폐수처리장에서 운영 중인 재래식 폐수처리공정으로는 강화되는 방류수 수질기준을 충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고도산화 공정을 검토하였으며, 그 공정의 최적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고도산화 공정에서 오존산화, Peroxone AOP, Fenton oxidation 공정을 검토하였으며, 강화되는 수질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인자 및 처리효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조건에 따라 COD, T-N, T-P, 색도 등에서 처리효율은 40 ~ 90% 범위로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도출 하였다.

  • PDF

A Study on Impact Assessment for Application of Strengthened Compliance Concentration of Effluent Limit from PSTWs in the Jinwee-stream Watershed (유역하수도에서 강화된 방류수 수질 준수농도 적용을 위한 진위천수계 수질영향 평가)

  • Jeong, Dong-Hwan;Cho, Yangseok;Ahn, Ki-Hong;Ryu, Jichul;Ahn, Kyunghee;Chung, Hyen-Mi;Kwon, Ohs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4 no.5
    • /
    • pp.397-406
    • /
    • 2015
  • The different compliance concentration of effluent limit is applied to effluent discharged from public sewage treatment works(PSTWs) in each watershed on the basis of water quality thereof in accordance with the enforced Watershed Sewer System Maintenance Plan in 2013. It is necessary to set the compliance concentration of effluent limit for PSTWs in watershed sewer system, in order to achieve water quality criteria for regional watersheds or target water quality under TMDL program. Watershed Environmental Agencies establish the Watershed Sewer System Maintenance Plan and set the compliance concentration of effluent limit for PSTWs under the plan. The agencies have a plan to apply strengthened effluent BOD concentration limits for PSTWs in I to IV area grade, respectively. Effluent BOD concentration limits will be strengthened from 5~10 mg/L to 3 mg/L in II~III area grade, from 10 mg/L to 5 mg/L in IV area grade. Uniform application of effluent BOD concentration limits to PSTWs in the watershed sewer system need to be complemented considering type of sewage treatment technology employed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ssessment methodology which analyze for the compliance concentration of effluent limit to affect water quality of discharge watershed using simulation model for the Jinwee-stream watershed.

Suggestions on th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used to integrated water quantity and quality analysis (수량-수질 연계모의를 통한 하수처리장 운영방안 제시)

  • Seo, Jae-Seung;Choi, Si-Jung;Lee, Dong-Ryul;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28-2032
    • /
    • 2009
  • 하천법에서 하천유지유량은 "생활 공업 농업 환경개선 발전 주운 등의 하천수 사용을 고려하여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유량"으로 정의 되어있고,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따라 갈수량을 기본으로 하여 하천의 수질보전, 하천 생태계 보호, 하천경관 보전 등 8가지 항목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2007년1월 환경부 고시에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과 달성기간"을 제정 고시하였고, 하천의 주요지점에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그 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오염물질의 허용량을 제한하는 오염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와 같이 하천 수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하천의 기능을 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량뿐 아니라 적절한 수질이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U.S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한 통합수자원평가모형인 K-WEAPq 모형을 이용하여 만경강 유역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003년의 수질 및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량-수질을 모의하였다. 일별 수량-수질 동시모의를 통해 만경강 유역의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에 따른 하천 수질의 연중 변화를 파악하였고,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수질을 변화시켜 수질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수질에 따라 하천의 수질이 변화됨을 알 수 있고, 하수처리장 방류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하천의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활용하면 하천의 수질 및 유량에 따라 하수처리장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Study of Advanced Treatment of Sewage Wastewater by the Electro Coagulation and Oxidation System (전기응집산화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방안 연구)

  • Lim, Jin-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 /
    • v.19 no.6
    • /
    • pp.556-562
    • /
    • 2018
  • Due to the enforcement of effluent water regulation the advance sewage treatment system is needed to retrofit and remodelling. In this case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he effluent concentrations of TP and there are a lot of system to reduce its concentration. But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have many restrictions to enhance the removal efficiency of TP. In this study the efficient ECO operating condition to improve and retrofit biological sewag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s as follow; 1) The treatment efficiency of BOD, TN and TP at the current density of $15mA/cm^2$ was higher than the treatment efficiency at $5mA/cm^2$ in the electrodes arranged with Al-SUS(Stainless Steel) regardless of the reaction time, The TP concentration was 0.1 mg/L or less. Especially, when the reaction time was maintained at 10 min, the TP concentration was 0.06 mg/L or less irrespective of the current density. 2) The change of TP concentration is not influenced by the change of current density and rather the concentration of treated water changes according to the reaction time. In the case of electro coagulation reaction, a few seconds to several minutes are required. However, the reaction time of electro coagulation and oxidation was studied to be more than 10 minutes. 3) As a result, it has been studied that the economical current density of the electro coagulation oxidation process for TN and TP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is $15mA/cm^2$ or less and the reaction time is 10 minutes.

혐기-호기 고정생물막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 처리

  • 박영식;안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78-180
    • /
    • 2001
  • 본 혐기성 반응기와 호기성 반응기를 사용하여 염색폐수를 처리 할 경우 HRT 24~30시간의 경우 색도는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으나 외관상 색도를 띄며, COD의 경우 배출수 허용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우므로 전처리나 후처리로써 응집. 침전 공정, 오존 및 UV와 같은 고도산화공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