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과후 학교 시스템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나이스 방과후학교 시스템의 효과분석 (An Effectiveness Analysis of Elementary NEIS After-school System)

  • 한재동;김갑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89-98
    • /
    • 2013
  • 2011년부터 방과후 학교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나이스 방과후학교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 운영중인 나이스 방과후 시스템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방과후 학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정착할 필요가 있다. 2012학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관내 11개 교육지원청 소속의 273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273명에게 설문을 의뢰하여 116명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나이스 방과후학교 시스템의 효과 분석에서는 업무처리시간(M=3.92)에 대해 가장 불만이 높았고, 다음으로 서류감축(M=3.82), 업무의 효율성(M=3.81), 업무의 정확성(M=3.76) 순으로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방과후학교 수학교육에 대한 수학교사들의 인식 (A survey on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 of after-school mathematics education)

  • 도종훈;박윤범;박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3-1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행 방과후학교 수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요구, 문제점 인식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무엇보다 교사들이 만족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특히, 교육과학기술부, 지역 교육청, 혹은 수학교육 관련 교육 및 연구 기관 등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고,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전문성을 갖춘 외부강사의 확충 방안 및 방과후학교 수학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웹기반 사이버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Cyber Education System)

  • 하태현;백현기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0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647-655
    • /
    • 2000
  • 이 연구는 학교 교사가 직접 System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교교육과 방과후 교육을 연계시키고 현장 교육 중심의 사이버교육이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했다. 현재 많은 가정에 고속의 전용선이 설치됨으로써 각 가정에서도 ON-Line 교육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가상학교, 가상수업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시스템의 설계에 치중하여,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일선 학교에 구체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이 제시하는 가상수업의 구성요소 중 공통적인 것을 선택하고 학교 현장에서 수학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직접 이 사이트를 실험적으로 운영하게 함으로써 실제교육 현장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업과 관련된 주제로 토론을 하거나, 학습자료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고, 다른 지역의 개인이나 학급과 편리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고 개인 상담을 할 수 있는 메일기능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 PDF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교육복지정책 발전방안 (Development Plan of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f Low Income Group)

  • 문아람;이윤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33-344
    • /
    • 2018
  • 저소득층 아동 소년을 위한 대표적인 교육복지정책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드림스타트, 방과후학교 등 세 가지 교육복지정책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보다 내실 있고 효율적인 교육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 교육복지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각 부처에서 분절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을 총괄할 통합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담당인력의 전문성 향상과 민간 인력의 고용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각 기관과 전문가 간 연계와 협의를 통해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을 고양해야 한다. 넷째, 새로운 서비스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방과 후 학습지도를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방안 (A Study on e-Mentoring system Design for Guiding Learning After School)

  • 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03-311
    • /
    • 2007
  • 대량생산 체제를 기초로 한 교수 학습은 물질적 풍요를 가져오는데 기여했지만, 전인적 인간계발이라는 교육본연의 목표를 상실하고 자연과 타인을 자기욕구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간주하는 파괴적인 인간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적 교육방법으로 인지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에서도 학습자를 지원하는 멘토링(mentoring)이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면대면 멘토링이 가지는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전자멘토링(e-mentoring)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방과 후 학교 운영의 일환으로 예비교사가 멘토로서 참여하고 중등학교 학생들이 멘티가 되는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링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 방향을 설정하고 필수 기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된 전자멘토링 설계방안은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 증진에 관심있는 실천가들에게 새로운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며, 이 설계방안을 토대로 시스템 개발과 그것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실증적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 PDF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Perception by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eaching & Learning Support System of the school of Rural Areas in Korea)

  • 오동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3-204
    • /
    • 2012
  • 이 연구는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원학교 110개교의 교사와 학생들로 학교별로 5명의 교사와 2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2일부터 2011년 12월 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초, 중학생 1280명과 교사 188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았다. 전원학교의 프로그램 중에서 '전자칠판과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이러닝' 을 가장 선호하였다. 그러나 학교에서 태블릿 PC와 FASTEL 시스템의 활용이 '매일'이나 '주3-4회'가 40%이하로 활용도가 매우 낮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님들이 자주 FASTEL을 활용하는 것을 90%이상의 학생들이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FASTEL시스템을 선생님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바라고 있으며 무선으로 사용하는 전원학교 이러닝 교실 수업에 흥미 있고 효과적이며 편리하다고 보고 있었다. 둘째, 전원학교 이러닝 교실과 FASTEL 시스템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학생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원학교 프로그램 선호도에서 교사들은 '다양한 방과후 학교' 를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첨단 이러닝' 보다 더 선호하고 있었다. 그러나 FASTEL 시스템이 학생들의 학습에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73.8%의 교사들이 효과적인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FASTEL 시스템의 활용도에 있어서 학생들은 '매일'이나 '주3-4회'가 35%내외인 반면에서 교사들은 60%내외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높여 학생들의 인식과의 격차를 줄여야 할 것이다. 태블릿 PC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무선 인터넷 속도가 느리고 태블릿 PC 사용이 불편함을 선택하였다. 그럼에도 이러닝교실의 인프라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넷째, 교사들은 FASTEL 시스템이 타 이러닝시스템보다 학생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특징에 대하여 인식(41.7%)하고 있으나 무선인터넷 기반(23%)과 편리한 수업도구(16%)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FASTEL 시스템 사용에 가장 불편한 것으로 이러닝 교실의 무선 인터넷 끊김 현상과 콘텐츠 부족 순으로 들었다. 따라서 시급히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무선인터넷 속도의 개선과 다양한 콘텐츠 추가 지원, 편리한 수업도구 추가지원 순으로 선택하였다.

혼합형 종합재능기록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Blended General Talent Recording System)

  • 안병상;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37-649
    • /
    • 2010
  • 지금 학교에서는 소품종 다량 생산이라는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학생 개개인의 재능을 진단하고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학생 개별 재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개별 재능 진단 육성에 도움을 주고자 혼합형 종합재능기록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교사와 학부모는 관찰, 검사지, 수상기록 분석, 방과후 활동 분석 등의 방법으로 학생 개별 재능을 파악하였고 학생은 다중지능검사를 통하여 자신의 재능을 파악하였다. 본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교사는 개별 아동의 재능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학부모 또한 학생 개별 재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활동으로 다중지능이 육성되었다.

  • PDF

시스템사고를 통한 사교육비경감정책 평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Policy for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based on Systems Thinking: Focusing on Roh and Lee Governments)

  • 백우정;최종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5-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olicies for reducing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Roh Mu Hyun and Lee Myeong Bak Government using Causal Loop analysi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educational achievers receive more private tutoring than lowers and children who have rich parents have better chance to take private tutoring than the others. It reflects the social characteristics which emphasize the academic abili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wo governments implemented educational policies to control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s balancing loops ;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providing after school programs and EBS KSAT teaching and improving the entrance exam of university. Third, they overlooked the unintended feedback loops coming from 1) incongruity between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shadow education 2) wrong perception of sub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education and shadow education 3) side effect of the policy increasing the weight of student record 4) problems of diversifying high schools 5) dilemma of easing the burden of testing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conclusion is that policies of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ve failed because two governments don't consider unintended Feedback Loops in the process of making education policies. So we have to make policies based on Systems Thinking and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should not be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public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