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밤꽃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1보. 화학성분 조성-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 Chemical Compositions)

  • 조재선;조규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57-261
    • /
    • 2003
  •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이들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밤꽃에는 sucrose와 maltose가 많은 반면, 밤잎에는 sucrose, glucose, fructose가 가장 많았다. 탄닌은 밤잎에 1.98%, 밤꽃은 0.16%로 밤잎이 12배정도 많았다. 지방산 조성은 밤꽂과 밤잎에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밤꽃의 불포화 지방산은 61.4%, 포화 지방산은 23.1% 였으며, 밤잎은 불포화 지방산이 76.4%, 포화 지방산이 17.1%로 나타나 밤잎이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밤꽃에 ma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의 많은 순이나, 밤잎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밤꽃에는 aspartic acid와 proline이 가장 많았고, 밤잎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밤꽃이 230.33mg/100g 인데 비하여 밤잎은 1,550.36mg/100g로 약 6.7배나 높았다. 무기질은 밤꽃과 밤잎 모두에 K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a, Mg, Fe, Mn, Al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밤꽃과 밤잎 중에ascorbic acid가 각각 5.2 mg/100 g 및 6.4 mg/100 g 함유하고 있었으며, 다른 비타민은 모두 trace로 나타났다.

밤꽃(Castanea Crenata Flos.)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 최창숙;송은승;김장수;강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16-1220
    • /
    • 2003
  • 밤꽃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밤꽃의 수꽃을 수집하여 메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밤꽃 조추출물의 추출수율은 6.26% 였으며, 총 페놀함량은 0.199 mg/mL 인 것으로 나타났다. DPPH법으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밤꽃 추출물이 17.22%로 기존의 항산화제에 비해서는 소거능이 다소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은 밤꽃 추출물이 65.10%로 BHT(95.70%)와 quercetin(93.29%)에 비해 낮았지만, ascorbic acid(30.30%) 보다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Lecithin 산화저해율은 밤꽃 추출물이 51.45%, BHT(67.08%), quercetin(63.46%), ascorbic acid(23.60%), chlorogenic acid(48.76%), tannic acid(50.10%)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밤꽃 추출물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에서 기존 항산화제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시간경과에 따른 활성의 지속성과 50% 이상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있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밤꽃의 휘발성 화합물 특성 (Volatile Component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Flower)

  • 김연순;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01-805
    • /
    • 2003
  • 밤꿀의 밀원이 되는 밤꽃에서 SDE 추출법과 GC-FID 및 GC/MS 분석방법으로 122종의 휘 발성 성분을 분리ㆍ동정하였다. 밤꽃의 휘발성분 조성은 전체 향기성분 중 alcohol류가 36.58%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15종의 hydrocarbon류, 20종의 terpene류와 유도체, 7종의 ketone류,24종의 aldehyde류, 12종의 ester류, 4종의 acid류, 3종의 furan류와 2종의 기타 화합물 순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밤꽃 휘발성분의 주성분은 전 체 peak area의 18.6%을 구성하는 1-phenylethanol과 (E)-geraniol, tricosane, heneicosane, benzyl alcohol, acetophenone, 2-phenylethanol 등으로 방향족 alcohol과 홀수탄소로 구성 된 포화탄화수소들이었다. 밤꽃 추출물의 휘발성분에는 밤꿀의 밀원을 판단할 수 있게끔 하는 marker로써 사용가능성을 지닌 1-phenyl-ethanol과 acetophenone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밤꽃의 특징적인 강한 동물취와 꽃향이 혼합된 형태의 향 특성은 nonanal 등에 기인한다고 판단되었다.

밤꽃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Chestnut Flower(Castanea crenata))

  • 이용수;서권일;심기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9-314
    • /
    • 1997
  • 밤꽃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밤꽃 중의 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꽃에 함유된 총당, 환원당,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개화전 시료에서 10.44, 4.91,. 8.80, 1.42 및 0.87%였으며, 개화 후 시료에서는 각각 11.75, 7.04, 7.71, 2.26 및 0.66%이었다. 밤꽃 물추출물의 갈변도는 개화전의 시료가 개화후의 시료보다 높았으며, flavonoids와 nonflavonoids의 함량은 개화전 시료에서 7.05와 0.52%였고, 개화 후에는 2.08과 0.22%이었다. Sucrose, fructose 및 glucose와 같은 유리당의 함량은 개화전 시료에서 2.90, 0.72 및 0.71%였으며, 개화 후에는 2.65, 2.10 및 2.20%였다. 개화전 밤꽃의 주요 아미노산은 threonine, proline 및 cystine이며, 그 함량은 각각 28. 96, 12.49 및 11.43%이었고, 개화후의 시료에서는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로 그 함량이 각각 16.19와 11.9%이었다.

  • PDF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2보. 항균활성 검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I.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ies-)

  • 김해영;조규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62-267
    • /
    • 2003
  •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항균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를 80% methanol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다. 용매분획별 수율은 밤꽃에서 ethylacetate 1.94%, methanol 4.75% 및 water 7.81%였고, 밤잎은 ethylacetate 2.24%, methanol 5.03% 및 water 8.47%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은 Gram양성 및 음성의 모든 균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ethylacetate 및 water 분획 추출물은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60\;{\mu}g/disc$ 이상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는 control에 비하여 밤꽂과 밤잎 추출물은 모두 낮은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각 추출물은 모두 배양 15시간까지는 현저히 낮은 생육저해를 보이다가 그 후는 약간 높아졌다. 밤꽃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육저해효과를 보인 반면에, water 추출물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생육저해를 보였으며, 밤잎 추출물은 각 추출물에서 거의 비슷한 생육저해를 보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을 B. subtilis에 각각 500 ppm씩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아니한 경우는 전형적인 Bacilli의 형태를 보였지만, methanol 분획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세포의 형태가 일그러지고 손상을 입은 형태를 보였다.

한국산 밤꿀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estnut Honey Produced in Korea)

  • 강귀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84-88
    • /
    • 1998
  • 밤꿀과 밤꽃 향기성분의 연관성을 조사코자 밤꿀은 용매추출과 수증기 증류법을 병행하여, 그리고 밤꽃은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GC-MS에 의해 확인 비교하였다. 밤꽃으로 부터 14종의 방향족 화합물, 13종의 탄화수소류, 7 종의 지방산류, 4종의 테르펜류, 1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7종의 기타 성분 등 64종의 성분이 확인되었고, 밤꿀로 부터는 7종의 방향족화합물, 16종의 탄화수소류, 12종의 지방산류, 1종의 테르펜류, 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3종의 기타 성분 등 41종이 확인되었다. 밤꽃 향기의 주요성분으로는 전체 향기의 49.02%를 차지하고 있는 2-phenyl eth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었고 밤꿀 향기의 특징적인 성분으로는 2-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1-(2-aminophenyl) ethanone 등이었다.

  • PDF

밤꽃 추출물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 Flower Extracts(Castanea crenata))

  • 이용수;서권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4-109
    • /
    • 1999
  • Ethyl acetate, methanol, water extract and their fractions from chestnut flower(Castancea crenata)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Yields of prebloomed chestnut flower extracts were 13.84, 12.90 and 1.82% in methanol, water and ethyl acetate, and those of the postbloomed were 13.12, 11.75 and 1.18%, respectively. Methanol extract from the chestnut flower was fractionated by solvents using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yields of those fractions were 0.16, 0.08, 1.94, 4.75 and 6.91% in the prebloomed, and were 0.90, 0.13, 1.40, 3.42 and 7.18% in the postbloomed. In the solvent extracts of water, ethyl acetate and methanol, methanol extract showed the most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was stronger than other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prebloomed showed 100, 140, 100 and 90ppm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E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fractions from the postbloomed were 140, 140, 100 and 150ppm, respectively. Growth of all the strains was completely inhibited to 30 hours in a 150ppm concentration. E. coli sells treated with ethyl acetate fraction was collapsed severely.

  • PDF

인공재배한 흰돌기망태버섯(Dictyophora echinovolvata)의 형태적 특징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ly Cultivated Dictyophora echinovolvata)

  • 정종천;석순자;장갑열;박정식;김양섭;정봉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3-77
    • /
    • 2002
  • 본 연구는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에 보존된 망태버섯속(Dictyophora sp.)에 대한 인공배양 자실체 및 균사체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였다. 이 버섯의 알과 성숙한 자실체는 대, 치마, 갓, 대주머니로 이루어져 있다. 알은 타원형으로 내피막, 젤라틴층, 외피막으로 싸여 있으며, 표면에는 백색의 침상 균사돌기로 싸여 있다. 성숙한 자실체는 대주머니 안에 젤라틴층이 액화되어 남아 있으며, 포자는 갓 위에 짙은 녹색의 포자층을 형성하고 있다. 치마는 대주머니 위로 길게 내려오고, 그물망의 눈은 다각형이며, 밤꽃 냄새가 난다. 균사체에서 후막포자 모양의 팽대세포(swelling cell)가 확인되었으며, clamp connection도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시균주 KACC 50650은 Dictyophora echinovolvata로 동정되었으며, 한국명으로는 '흰돌기망태버섯'으로 명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