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 유형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19초

여성 농업인 발 유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oot Type of Female Farmers)

  • 정명숙;황경숙
    • 복식
    • /
    • 제62권1호
    • /
    • pp.76-89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farm shoes. 265 Korean female farmers aging between the 40s to the 80s volunteered for this study and we measured 40 items on each foot with the 3D foot scanner.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farmers' feet and non-farmers' feet were analyzed. Farmers' feet were thicker in the instep areas, but had lower arch height than non-farmers' feet. In addition, farmer's feet were tilted to the inside. Next, eight factors were extracted among the 40 measuring items, a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foot shape was analyzed. The important factors were: size of foot length and volume of ankle, malleolus height and size, volume of the front part of ankle, medial & lateral ball width, and vertical size of foot. Third, three clusters according to the foot shapes were categorized by cluster analysis of eight factor scores. Foot type 1 was medium in foot length, big in thickness, large in lateral ball width, small in toe 1 angle, and tilted to the inside. Foot type 2 was long and slim, and big in toe 5 angle. Foot type 3 was short in foot length, medium in volume of the front part of ankle, large in medial ball width, and big in toe 1 angle. Despite its shortness, foot type 3 was thick and showed severe deformation in toe 1. Lastly,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f the foot types in each age group were analyzed. Female farmers of the forties showed high frequency in type 1 and other age groups showed high frequency in type 2. The older female farmers showed higher frequency of type 3.

노년 여성의 발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Elderly Women's Foot Type)

  • 김남순;도월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05-320
    • /
    • 2014
  • This study identifies the foot shapes of elderly women by classifying foot type according to the 3D shape of the foot and 2D sole type analyz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295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f age who live in Gwangju. A foot scanner (K&I Technology $Nexcan^{(R)}$) was used to obtain three-dimensional shapes of feet and a flat bad scanner (HP Scanjet G2410) was used to obtain the two-dimensional shapes of soles. The anthropometric measuring items consisted of 59 items estimated on the right foot of each subject. Data were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actor analysis, ANOVA and cluster analysis using the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To classify the side type of elderly women's feet,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data were analyzed for the 27 measurement items using factor analysis and 6 factors were extracted (inside height and side gradient, ankle thickness, toe height and midfoot size, lateral malleolus height, instep, and heel height and gradient). A cluster analysis resulted in three types: 36.5% belonged to Type 1 (high forefoot and high midfoot), 31.1% belonged to Type 2 (high forefoot and low midfoot), and 32.4% belonged to Type 3 (low forefoot and high midfoot). The distribution was relatively even. For the sole, 8 factors were extracted (ball width and medial foot protrusion, lateral foot protrusion, forefoot and hindfoot length ratio, ball gradient, heel size, toe breadth, lateral ball length, and foot length) and a cluster analysis resulted in three Types (Type H, Type D, and Type A). The largest proportion (42.7%) belonged to Type H, which is the same as the elderly men's case.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육십령-천왕봉 구간) 마루금의 식물사회학적 유형분류 및 군집 특성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Maruguem (the Ridge Line) Area of Mt. Jirisan (Yuksipryeong to Cheonwangbong), the Baekdudaegan)

  • 송주현;김호진;이정은;조현제;박완근;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9-35
    • /
    • 2022
  • 본 연구는 국토의 생태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백두대간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관리방안 수립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식물사회학적 유형분류를 통해 종조성을 파악하고 식생단위별 군집 특성을 파악하였다. 백두대간(육십령-천왕봉 구간) 마루금 주변을 대상으로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373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 결과, 9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정성적 식생유형분류를 정량적 DCA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아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종조성으로 묶인 식생단위 1-5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사스래나무 등 아고산식생 위주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발고도가 높지 않은 마루금에서는 능선 위주의 지형 특성상 소나무, 졸참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평균해발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상나무군락(식생단위 1-5)이 다른 식생단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NMS 결과 및 환경인자와의 상관분석 결과, 식생단위 1, 2, 4, 5와 해발고도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나무군락, 비목군락의 저해발 지역 식생부터 구상나무군락, 가문비나무군과 같은 고해발 지역 식생까지 모두 포함되었고 습윤한 지역의 계곡부 식생이 포함되지 않은 백두대간의 능선 식생을 특성을 나타내었다.

자연발화상에 나타난 단음절 단일간투사의 길이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durational characteristics of monosyllabic interjections in Natural spoken language)

  • 김기호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4년도 제11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 논문집 (SCAS 11권 1호)
    • /
    • pp.95-98
    • /
    • 1994
  • 자연발화상에 포함되어, 음성언어 인식에 장애를 초래하는 간투사의 음성적 특성 중 가장 뚜렷이 구별되는 길이특성얼 분석하여 음성언어 인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간투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음절 단일 간투사에 한정하여, 실제 대화의 녹음자료에서 나타나는 간투사의 빈도수와, 그 길이특성을 신분별, 성별, 간투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또 간투사를 위치에 따라, 음운구초 간투사, 음운구말 간투사로 나누고, 그 길이를 음절 평균, 음운 구초 음절이나 음운구말 음절의 길이와 비교하여 간투사의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이는 단음절 단일 간투사는 어 이며, 간투사 길이 증가율은, 음절평균에 대해서는 그가, 음운구초 평균에 대해서는 응이 가장 큰 증가율을 나타낸다. 전체적을 음운구초 음절길이에 대한 간투사 길이 증가율이 음절평균 길이에 대한 간투사 길이 증가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하위레벨에서 제거할 수 있는 간투사와, 통사적 또는 의미론적 분석이 필요한 상위레벨에서 처리해야할 간투사를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 특성외에 간투사에 대한 다양한 음성적 특성과, 다음절 단일 간투사와, 이중 간투사에 대한 연구가 진척된다면 음성언어 인식에 장애가 되는 간투사의 효과적 배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체질량지수에 따른 발 치수 비교 및 비만 성인 남성의 발 특성 연구 (A Comparison of the Foot Dimensions and Foot Characteristics of Adult Obese Men using Body Mass Index)

  • 김남순;도월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2-6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presen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shoe which is suitable for plus-size men (BMI 25kg/m2 or higher)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foo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assess foot shape in relation to weight gain,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weight groups, according to their BMI indexes. Those in the normal weight group exhibited a smaller value than the overweight or obese weight group in all items.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by type of foot, of the obese men category, 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BMI index groups: members of the type 1 group had a BMI index of 157 (18.4% of total sample), while for type 2 the figure was 213 (25.0% of sample), for type 3 it was 259 (30.4%), and for type 4 it stood at 224 (26.3% of total sample). Those from the type 1 group had thin ankles with narrow toes and flattened sides. Type 2 group members had thick ankles with well-developed outer feet and thick sides. Those within the type 3 group had medium-thick ankles with narrow feet but wide inner feet. Finally, those in the type 4 group had feet with a slanted side, as well as thick ankles, wide feet, and flat sides. Among these categories, the type 3 group members indicated the highest distribution.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종자 발아와 유식물 생장에 있어서의 온도 적응

  • 이호준;김창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501-514
    • /
    • 1993
  • 한반도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종자의 생태학적 형질 변이를 추적하기 위하여, 북위34$^{\circ}$18'~38$^{\circ}$36'사이에 위치한 15재역 (대진, 속초, 강릉, 수락산, 홍천, 광릉, 남한산성, 충주, 예산, 안동, 전주, 달성, 창원, 목포, 완도)을 선정하여 채종한 종자를 재료로, 발아 및 유식물 생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역에 따른 발아 최적 온도는 저위도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25$^{\circ}C$를 최적 온도로 하는 중북부형(대진, 속초, 강릉, 수락산, 홍천, 광릉)과 30$^{\circ}C$가 최적 온도인 중 남부형 (남한산성, 충주, 예산, 안동, 전주), 그리고 35$^{\circ}C$를 최적온도로 하는 남부형(달 성, 창원, 목포, 완도)의 3가지 유형이 식별되었다. 유식물의 신장 생장과 건량 새?에 대한 최적 온도는 모든 지역에서 25$^{\circ}C$로 나타났으나, 온도에 따른 생장 서열에 있어서 는 발아 경향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남부형(달성, 창원, 목포, 완도), 중남부형(남한산 성, 충주, 예산, 안동, 전주) 및 중북부형(대진, 속초, 강릉, 수락산, 홍천, 광릉)의 3가 지 유형이 식별되었다.

  • PDF

스캔법에 의한 노년 여성의 발바닥 유형 분류 (Classification of Sole Types of Elderly Women by Scanning Method)

  • 박재경;남윤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95-60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oot shapes of elderly women by classifying their foot types according to the shapes of sole (plantar view) of foot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subjects were 321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f age. Their right feet were measured indirectly by using .scanner.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consist of 32 items. They were measured during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in 2001.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zing sole of the foot of elderly women, the shapes of sole were classified as W-type (wider width for its length and severe alteration), A-type (similar to W-type but with narrower width), D-type (protruded outside) and H-type (even foot width). Second, the most characteristic sole type in elderly women was W-type. In this type, the width was wider for its length,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protrusion was severe and the toes were gathered at the center. Hopefully, understanding the shapes of sol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ole type will help to develop suitable shoes for elderly women.

입지적(立地的) 특성(特性)을 고려(考慮)한 산촌지역(山村地域)의 유형분류(類型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Classification of Mountain-Village Areas by the Site Characteristics)

  • 손철호;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1호
    • /
    • pp.46-55
    • /
    • 1997
  • 이 연구는 산촌지역이 갖는 다양한 특성 중에서 인문환경적인 측면과 자연환경적인 측면의 변수를 이용하여 산촌지역이 갖는 입지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그러한 특성에 기초해서 산촌지역의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산촌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1990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전국의 읍면지역중 900개 읍면지역을 대상으로 입지적 특성과 관련한 11개 변수를 선정하고 그 특성을 구분지역간에 비교 분석하여 산촌지역의 입지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들 11개 입지적인 변수를 이용하여 입지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전국 읍면지역의 입지유형구분 및 산촌지역의 입지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산촌지역은 인문환경적인 측면 즉, 사업체수, 일반가구수, 인구밀도 등이 다른 구분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낮은 반면에 자연환경적인 측면 즉, 임야율, 경지중 밭비율, 중심도시까지의 거리, 농가율, 자연부락평균해발고 등에서는 다른 구분지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자분석에 의하여 입지적 특성 변수에서 산업경제발달성, 산간성, 접근성의 대표인자를 추출하였고, 추출한 인자를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촌지역의 입지유형은 크게 5개 유형으로 대별되었다.

  • PDF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성격유형과 당뇨병 관련 스트레스에 따른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 (Diabetes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DISC Personality Type and Diabetes-related Distress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 이수진;송미순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229-246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 제2형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당뇨병 관련 스트레스에 따른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제2형 당뇨병이 있는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에 따라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상자 성격유형에 따라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주도형이 안정형과 신중형보다 자기관리 행위 이행수준이 낮았다. 특히, 자기관리 행위 하위영역 중 발 관리 영역에서 성격유형별 차이가 있었는데(p<.001), 주도형이 안정형과 신중형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주도형 성격유형, 경구 혈당강하제를 투약하는 경우, 음주를 하는 경우가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 나타났다(수정된 R2=16%). 따라서 제2형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자기관리 교육 중재 시 성격유형, 경구 혈당강하제 투약 여부, 음주 여부가 고려되어야 하고, 자기관리 행위 이행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도형 성향을 가지고, 경구 혈당강하제 투약을 하며, 음주를 하는 당뇨병 노인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년층과 노년층 여성의 발바닥 유형 분류와 유형별 특성 분석 (Classification of Sole Type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for Young and Elderly Women)

  • 국영지;임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5-82
    • /
    • 2018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differences in sizes and shapes of foot between 20's and 60-70's women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s foot shapes as compared with those of young. The 2D data were 101 elderly and 101 young wome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ot length of the elderly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young, the foot breadth and the heel width were widened, but the toes breadth became smaller and the deformity of the toe 1 and the first metatarsal part appeared. Secondly, in the Foot Index,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roup, the young is more than the elderly in the narrow type, standard type, the elderly women showed more than three times the young in the wide type. Thirdly, in the factor analysis for the foot type classification, 'foot length' factors in both age groups were large. Next, young group were influenced by 'toes breadth', lateral ball breadth' factors, elderly group was influenced by the 'lateral ball breadth', 'medial ball breadth' factors. Lastly, in the cluster analysis of the elderly group, the types of sole were classified as W-Type(20.8%, wide foot and toes, large heel), H-type(20.8%, small toes breadth, heel), D-type(31.7%, long length and wide lateral ball) and A-Type(26.7%, which is found only in the elderly, small length and large toes angl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ho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es of the elderly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