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효속도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3초

Candida parapsilosis에 의한 Xylitol 생산시 균체농도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ll Density on Xylitol Fermentation by Candida parapsilosis)

  • 김상용;윤상현;김정민;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70-973
    • /
    • 1996
  • Candida parapsilosis KFCC-10875를 사용하여 균체농도가 xylose로부터 xylitol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Xylitol 생산속도는 균체농도 20 g/l에서 최대값 2.8 g/l-h를 보여주었으며 비 xylitol 생산속도는 농축된 균제에 의한 산소제한으로 균체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약 20 g/l로 농축된 균체를 사용하여 초기 xylose농도가 xylitol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xylitol 생산속도, 비 xylitol 생산속도 및 xylose에 대한 xylitol의 수율은 xylose의 농도 170 g/l에서 최대값을 보여주었다. 고농도의 균체를 사용하려면 xylose의 배지에서 배양된 균체를 다시 농축하여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효과정 중에 균체를 농축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고농도 균체를 얻기위하여 지수증식기인 배양 초기에는 용존산소의 농노를 충분히 유지시켜 18시간 배양하여 약 20 g/l의 고농도 균체를 얻을 수 있었다. 고농도 균체를 이용하여 xylitol을 생산하기 위하여 용존산소의 농도를 0.7-1.5%로 낮추어 유지하였다. 이때, 기질의 농도는 xylose 농도가 170 g/l 이상에서는 xylitol 생산성이 비교적 크게 감소하므로 xylitol 생산성의 향상을 위하여 고농도의 xylose를 피하는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6시간 배양하여 200 g/l xylose로부터 약 140 g/l의 xylitol을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and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in Jar Fermentation by Fomitopsis pinicola

  • Cha, Wol-Suk;Jilu, Ding;Lee, Choon-Beom;Nam, Hyung-Geun;Lee, Jun-Han;Maeng, Jeung-Moo;Lim, Hwan-He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187-191
    • /
    • 2005
  • 발효기에서의 균사체 생장과 세포외다당류의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 최적 회전속도와 통기량은 각각 200 rpm과 1.5 vvm 었다. 최적 배양 환경하에서 5L발효기(working volume 2 L)에서 배양한 결과 각각 10.21 g/L 와 3.56 g/L의 mycelial growth와 exo- polysaccharide를 얻었다.

  • PDF

Effect of pH on the elaboration of pullulan and the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김정화;;김미령;이지현;김성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380-383
    • /
    • 2000
  • 불완전 곰팡이의 일종인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42023 균주를 이용한 pullulan의 최적조건 및 pH 조절에 따른 pullulan의 생성 그리고 균체형태와 고분자 pullulan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삼각플라스크 내에서 최대의 pullulan 생산은 초기 pH 6.5일때 11.98 g/l의 pullulan을 생산하였고, 회분식 발효에서는 산소 공급속도 0.5 vvm일때 15.16 g/l의 최대의 pullulan생산량을 나타내었다. pH조절에 따른 실험에서는 pH 4.5일때 13.31 g/l의 pullulan 생산량을 보였고, 이때 균체의 형태는 효모형과 균사형태의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분자량 생성면에서는 pH 6.5일때 100만 이상의 고분자가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 PDF

고농도 균체배양에 의한 알콜발효특성 규명 (비성장속도와 당농도, 균체농도, 알콜농도의 함수관계) (Characteristic of Alcohol Fermentation by the Culture of High Cell Density (Functional Relationship among Specific Growth Rate, Sugar Concentration, Cell Concentration and Alcohol Concentration))

  • 허병기;김형철양지원목영일
    • KSBB Journal
    • /
    • 제6권1호
    • /
    • pp.85-90
    • /
    • 1991
  • Experiments of alcohol fermentation of the yeast,K. fragi1is CBS 1555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In these experiments,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sugar which was composed of inulin and fructose as weight ratio of one to one were 30, 50, 75, 100 and 150g/l and the initial densities of the microorganism were less than 0.5g/l, 10g/1 to 15g/1, and 50g/l. The functional relationship among specific growthrates, sugar concentrations, and alcohol concentrations could be expressed by Aiba-shoda equation and the specific growth rate represented the trend that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microorganism. Also, $\mu$max and Ks of Monod's equation could be expressed as the function of initial cell concentration like the following equations. $\mu$max=0.8-0.008X Ks=0.54X+8 In the region that sugar, alcohol and cell concentrations were 10g/1 to 120g/l, 0g/l to 60g/l and 0.5g/l to 50g/l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values and the calculated ones for specific growth rate approached to 40% with respect to experimental values at the worst cases, but in most cases, those were distributed in the range of less than 20%.

  • PDF

Cephalosporium 발효시 균체의 형태학적 측면을 고려한 수학적 모델링 및 유가식 배양에의 응용 (Mathematical Modeling with Cell Morphology and Its Application to Fed-batch Culture in Cephalosporium Fermentation)

  • 김의용;유영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21-535
    • /
    • 1991
  • Cephalosporium 배양시 균체의 형태학적 측면을 고려한 cephalosporin C 생합성에 대한 모델식을 제안하였다. 제한기질로 glucose와 methionine을 고려한 double-substrate 모델을 설정하였는데 여기서 glucose는 균체의 증식 정도를, methionine은 균체의 증식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Cephalosporin C의 생산은 균체의 형태학적 분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편 cephalosporin C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모델식을 유가식 배양에 응용하였다.

  • PDF

SOLAS AIS의 기술적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OLAS AIS)

  • 장동원;조평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54-558
    • /
    • 2002
  • 본 고에서는 2000년 12월에 개최된 국제해사기구(IMO) 제73회 해상안전위원회(MSC)에서 개정 채택된 해상인명안전조약(SOLAS)이 2002년 7월 1일부터 발효되는 일정 선박에서 탑재 의무화된 자동식별장치(AIS)의 기술적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AIS는 선박의 위치, 속도, 진행 방향 정보를 자동적으로 송수신하는 무선설비로, 선박 상호간과 선박과 육상국간에 정보를 교환해서의 충돌을 방지하고 운행 관리 효율성을 높인다. AIS는 국내외 전파관련법규 등에 규제를 받기에 AIS 구현 및 운용을 위해서 관련된 기술적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 PDF

랜드레이스, 요크셔, 듀록 및 교잡종에 대한 도체 및 육질특성 (Characteristics of Carcass and Meat Quality for Landrace, Yorkshire, Duroc and their Crossbreeds)

  • 김진형;박범영;유영모;조수현;황인호;성필남;하경희;이종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01-106
    • /
    • 2006
  • 본 실험은 alcohol 사료 처리에 따른 in vitro 발효 pattern의 변화를 검토하여 alcohol 사료 처리가 반추위내 발효 pattern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자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배합사료를 첨가하는 대조구(control), 배합사료와 1, 3 및 5%의 alcohol 사료(Alcoholic feed; AF)를 첨가하는 처리구를 각각 AF-1구, AF-3구 및 AF-5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배양 12시간 동안 ammonia 농도는 AF-1, AF-5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배양액의 alcohol 농도는 alcohol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았다(p<0.05). 배양 12시간에 TVFA 농도는 AF-1, AF-3 및 AF-5에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p<0.05). 배양 8~12시간 사이에 acetate 비율은 대조구에서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으며, AF-1, AF-3 및 AF-5구에서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pionate 비율은 배양 8~12시간 사이에 AF-1, AF-3 및 AF-5에 비해 대조구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p<0.05). Butyrate 및 valerate 비율은 AF-1, AF-3 및 AF-5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p<0.05). Caproate 비율은 배양 8시간에 AF-1구, AF-3구 및 AF-5구에서 각각 0.05, 0.58 및 0.47M%로 나타났으나,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 alcohol 사료의 처리는 in vitro 반추위액의 ammonia, alcohol 및 휘발성지방산 농도와 pH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실험의 결과에서는 5%의 alcohol 첨가 수준이 여타 alcohol 첨가 수준에 비해 반추위 발효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Alcohol 사료가 In vitro 반추위내 pH, Ammonia, Alcohol 및 Volatile Fatty Acids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coholic Feeds on In vitro Ruminal pH, Ammonia, Alcohol and Volatile Fatty Acids Concentrations)

  • 신종서;박병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91-100
    • /
    • 2006
  • 본 실험은 alcohol 사료 처리에 따른 in vitro 발효 pattern의 변화를 검토하여 alcohol 사료 처리가 반추위내 발효 pattern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자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배합사료를 첨가하는 대조구(control), 배합사료와 1, 3 및 5%의 alcohol 사료(Alcoholic feed; AF)를 첨가하는 처리구를 각각 AF-1구, AF-3구 및 AF-5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배양 12시간 동안 ammonia 농도는 AF-1, AF-5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배양액의 alcohol 농도는 alcohol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았다(p<0.05). 배양 12시간에 TVFA 농도는 AF-1, AF-3 및 AF-5에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p<0.05). 배양 8~12시간 사이에 acetate 비율은 대조구에서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으며, AF-1, AF-3 및 AF-5구에서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pionate 비율은 배양 8~12시간 사이에 AF-1, AF-3 및 AF-5에 비해 대조구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p<0.05). Butyrate 및 valerate 비율은 AF-1, AF-3 및 AF-5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p<0.05). Caproate 비율은 배양 8시간에 AF-1구, AF-3구 및 AF-5구에서 각각 0.05, 0.58 및 0.47M%로 나타났으나,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 alcohol 사료의 처리는 in vitro 반추위액의 ammonia, alcohol 및 휘발성지방산 농도와 pH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실험의 결과에서는 5%의 alcohol 첨가 수준이 여타 alcohol 첨가 수준에 비해 반추위 발효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 첨가에 의한 김치의 발효조절 (Control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Originated from Plants)

  • 서현선;김선화;김진솔;한재준;류지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83-5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들을 탐색한 후, 선별된 식물추출물들의 항균력을 실험실배지(MRSB)에서 규명하였다. 이후, 우수한 항균력을 보인 식물추출물들을 김치에 직접 적용하면서 김치의 발효지연 효과를 확인하였다. 식물추출물 2,117종을 대상으로 agar well diffusion assay를 수행한 결과,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15종의 식물추출물들이 선별되었다. 선별된 15종의 식물추출물의 L. plantarum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한 결과, 자몽종자 추출물(0.0313 mg/mL), 소목열수추출물(0.2500 mg/mL),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1.0 mg/mL)이 L. plantarum에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들 식물추출물들의 김치 발효조절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1, 0.5, 그리고 1.0%)을 개별적으로 김치에 첨가하여 $10^{\circ}C$에 20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pH 변화와 총균 및 젖산균의 개체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저장 5일만에 적숙기에 도달한 반면,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그리고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5와 1.0%)을 첨가한 김치는 적숙기에 도달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총균과 젖산균의 개체수의 변화에서도 관찰되었다. 즉,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그리고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5와 1.0%)을 첨가한 김치는 총균과 젖산균의 개체수가 식물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와 비교하여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들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자몽종자 추출물, 소목추출물,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을 김치에 직접 첨가함으로써 김치의 발효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온살균 절임배추에 Starter 첨가로 인한 김치의 품질 및 기능성 증진 (Addition of Starters in Pasteurized Brined Baechu Cabbage Increased Kimchi Quality and Health Functionality)

  • 한귀정;최혜선;이선미;이은지;박소은;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0-115
    • /
    • 2011
  • $65^{\circ}C$에서 30분간 저온살균법을 이용해 저장성이 증진된 절임배추에 Leu. citreum과 Lab. plantarum을 첨가한 스타터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4주간 발효시켰다. 발효 2주차에 일반김치의 pH가 4.29, 저온살균 한 절임배추로 제조한 김치가 pH 4.38로 발효 속도가 가장 늦었고 스타터 첨가 김치는 pH 4.28~4.31로 일반김치와 큰 차이가 없었다. 총 균수의 경우 일반김치에 비해 저온살균 한 김치에서 낮은 균수를 보였으며 총 Leuconostoc sp.와 Lactobacillus sp. 수의 경우 발효 3주째 저온살균 한 절임배추 김치에 비해 혼합균주를 첨가한 김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김치와 비슷한 균수를 관찰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에서 종합적인 만족도는 스타터 첨가 김치가 일반김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혼합균을 첨가했을 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저온살균 한 절임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일반김치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히 감소했지만, 이 절임배추에 스타터를 첨가한 김치는 일반김치와 유사하였다. in vitro 항암 효과를 각 군별로 비교하였을 때 Leu. citreum과 Lab. plantarum의 혼합균주 첨가 김치가 다른 군별 김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보였다(p<0.05). 혼합균주 첨가 김치의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는 91%를 나타냈으며, Leu. citreum을 첨가한 경우 89%, 일반김치의 경우 86%, Lab. plantarum을 첨가한 경우 80%, 저온살균 한 절임배추로 제조한 김치의 경우 73%의 결과를 보여, 혼합균주 첨가 김치의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다. 저온살균 한 절임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일반김치보다 기능성이 감소되지만 살균효과로 저장성은 증진되며 저온살균을 적용하되 스타터를 이용하면 그 기능성을 더 높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기능이 더 우수한 유산균을 사용한다면 품질과 기능성을 더 높일 가능성도 있다. 결국 이 경우 스타터로 사용하면 이화학적으로 일정한 품질의 김치를 생산할 수 있을 뿐더러 저장성 및 기능성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