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효방법

Search Result 86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약.탁주 발효과정 중 미생물 균총의 변화)

  • Seo, Mi-Young;Lee, Jong-Kyung;Ahn, Byung-Hak;Cha, Seong-Kwa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1
    • /
    • pp.61-66
    • /
    • 2005
  •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akju and Yakju were manufactured using 2-step-brewing method. To investigate microflora involved in fermentation step, number of microorganisms, pH, titratable acidity, and alcohol contents of Takju and Yakju were measured. In Takju and Yakju, although not significantly, $1.1{\times}10^{8}$ and $2.0{\times}10^{6}\;CFU/mL$ lactic acid bacteria at initial stage of second fermentation decreased to $8.3{\times}10^{6}\;and\;1.0{\times}10^{4}\;CFU/mL$ at the end of second fermentation, respectively. For Takju, micrococci and yeast occupied 80 and 20% at initial stage of second fermentation, whereas bacteria and yeast occupied 35 and 65% at the end of second fermentation, respectively. Yeast occupied 88% throughout the second fermentation of Yakju. The main yeast isolated from both Takju and Yakju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API 20C AUX kit. The yeast strain Candida magnoliae was also detected during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복분자주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 Choi, Han-Seok;Kim, Myung-Kon;Park, Hyo-Suk;Shin, Dong-Hwa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4
    • /
    • pp.574-578
    • /
    • 2005
  • Effects of different yeast strain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fruits alcohol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Bokbusnja fruit must was inocula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224 (Sc-24), wild-type Bokbunja yeast (Bok-3), Saccharomyces coreanus (Yak-7), and Sc-24+Yak-7. Ethanol contents of Sc-24, Bok-3, Yak-7, and Sc-24+Yak-7 were 11.08, 10.62, 10.18, and 10.26%, respectively after 10 days fermentation. Addition of pectinase (500 ppm) increased ethanol content by 0.1-1.5%. Organic acids of Bokbunja wine were citric, malic, shikimic, formic, and oxalic acids. Citric and malic acid contents remarkably decreased, whereas that of acid increased by fermentation. Total acidity of Bokbunja wine was dependent on citric acid content. Sc-24, Yak-7, and Bok-3+ pectinase were more efficient for improvement of wine-color, although color values of Bokbunja win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early stage of fermentation. Sc-24 and Bok-3+500 ppm of pectinase, and 8-10 days of fermentation could enhance quality of Bokbunja wine.

Effect of Ensilage of Rye Treated with Formic Acid and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개미산과 유산균제 첨가 베일 사일리지의 발효 차이가 반추위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Jayeon;Bharanidharan, Rajaraman;Bang, Geumhwi;Jeong, Soonwoo;Park, Seol Hwa;Oh, Young Kyoon;Kim, Jong Geun;Kim, Kyou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40 no.4
    • /
    • pp.244-250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lage additives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rye silage. Rye was harvested at ripening stage and treated with different additives in quadruplicate following: without additive (control), with either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 (LAB), formic acid (FA), or Ca-formate (Ca-FA). Overall, ensiling characteristics of FA and Ca-FA silages contained 4-fold more (P<0.05) butyrate and 2-fold more (P<0.05) NH3-N concentration (% total nitrogen) than those of control and LAB silages. Cows fed LAB silage showed a diurnal trend with the highest values of propionate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at 1, 2 and 3 hr after feeding. In contrast, FA and Ca-FA silage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butyrate significantly (P<0.05) at all sampling times compared to control and LAB silage. In conclusion, Forage rye treated with FA or Ca-FA showed differen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uring ensilage and in the rumen compared to LAB sila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whether differen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rumen between LAB and FA silages had effect on partitioning of nutrients between milk production and body tissue.

빵 효모의 생산과 발현 전망 - 효모의 연구동향

  • 최용남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9 no.4
    • /
    • pp.39-43
    • /
    • 1993
  • 최초의 압착 빵효모는 1781년경에 Holland에서 Dutch process로 생산되었으며, 이때에 원료에 대한 4-6%의 압착효모만을 생산하였다. 1846년 비엔나에서 효모발효중에 생성된 거품을 계속하여 수집하여 효모를 회수하는 방법인 Vienna process가 Mautner에 의해 개발되었다. 압착효모 생산 수율은 약 14%로 증가되었고, 알코올은 30%이었다. 1879년 Marquardt가 맥주용 당액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발효한 결과를 발표한 후, 빵효모제조에도 공기공급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압착효모의 생산수율은 50-60%로 높아졌으나, Ethanol의 생산 수율은 20%로 떨어지게 되었다. 그후 1919년 Sak(덴마크)와 Hayduck(독일)은 동시에 incremental-feeding과 fed-batch process의 기초가 된 zulauf 방법을 개발하여 발표하였고, 같은 시기에 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식량부족은 원료인 곡류를 당밀로 대체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제조기술의 계속적인 발달과 원료의 수율은 이론수율에 도달하게 되었고, 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양조산업과 분리, 독립되어 빵효모공업이 발전되었다.

  • PDF

새로운 항생물질 탐색시 방선균의 발효과정

  • 김성욱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8 no.3
    • /
    • pp.53-62
    • /
    • 1992
  • 최근들어 새로운 항생물질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 동향은 크게 세가지로 대별된다. 첫째는 Streptomyces 속을 제외한 희귀 방선균류를 분리하거나 해양 미생물과 버섯류 및 곰팡이를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항생 물질의 발견 가능성을 증대시키려는 것과 둘째는 기존의 무작위 탐색방법을 탈피하고 보다 선택적이고 특이적인 목표 지향적인 탐색(target directed screening)을 통해 선별적인 탐색을 행하고 셋째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hybrid 항생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여러 시도로 나눌수 있다. 한편 방선균의 가장 중요한 경제적인 측면은 항생물질 생산이라고 일컬어지고 있으나 방선균은 항생물질 이외에도 다른 상업적인 제품의 공급원이 되고 있으며, 어떤 방선균들은 한 종류 이상의 항생물질을 생산하기 때문에 새로운 발효기술을 응용하면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는데 매우 커다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산균의 분자 생물학적 육종

  • Kim, Wang-Ju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7 no.2
    • /
    • pp.13-15
    • /
    • 1994
  • 유산균은 발효유, 치즈, 발효 sausage 및 채소의 생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과거 15~6년간 이들 유산균에 대한 경제적 중요성은 매우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산균의 유전학과 plasmidbiology를 이해함으로써 이들 균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 육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유산균에서 잘 기능을 하는 cloning vector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transduction, conjugation, transformation, electroporation 등의 외부 유전자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보다 개발된 유산균이 육종되어 왔다. 이 총설은 산업적으로 유용가치가 높은 유산균의 육종에 관한 최신동향 및 앞으로의 전망 등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PDF

전통.대륙.나라 - 김치는 우리 조상님들이 개발한 걸작품이다

  • Jo, Jae-Seon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1 no.2
    • /
    • pp.5-10
    • /
    • 2008
  •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발효식품 김치는 언제, 누가 만들게 되었을까? 원시 농경시대에 들어서서 농작물 재배가 어려운 겨울을 보내야 하는 지역에서는 겨울을 나기 위해 각종 식품 재료들을 저장하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아마도 여러 저장 방법 중 소금에 절이는 염장법을 주로 이용하였을 것이다. 채소류를 염장하여 저장하는 동안 젖산균의 발효작용에 의해서 젖산을 비롯한 각종 유기산이 생성되어 상큼한 맛이 나고 저장성이 증진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러한 기술로 김치를 만든 것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 오늘날의 김치류이다.

  • PDF

천일염(국산ㆍ중국산)과 정제염으로 담근 새우젓의 이화학적 특성

  • 김미리;오상희
    • Proceedings of the EASDL Conference
    • /
    • 2003.04a
    • /
    • pp.86-86
    • /
    • 2003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염장식품인 새우젓은 새우와 소금만을 원료로 하여 제조하는데, 전통적으로 새우젓 제조시에는 천일염을 사용해 왔으나, 최근 수입산 소금의 유입이 급증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금의 종류가 새우젓 숙성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천일염(국산, 중국산)과 정제염으로 재래식방법인 염도 27% 새우젓을 제조한 후 2$0^{\circ}C$ 항온기에서 180일간 숙성 및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use foodwaste ferment as a bulking agent in livestock waste composting (음식물쓰레기의 발효생산물을 가축분뇨 퇴비화에서 수분조절제로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Kim, Sung-Bum;Choi, Hoon-Gun;Kim, Quy-Youn;Lee, Seoung-Ki;Song, Young-Il;Kim,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2 no.1
    • /
    • pp.58-6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use fermented foodwaste as a bulking agent in livestock waste and foodwaste composting. Aerobic composting device was added to the following sample : Foodwaste + Sawdust, Livestock feces+Sawdust, Foodwaste + Ferment, Livestock feces + Ferment. Temperature, pH, OM/N ratio, moisture, heavy metals, and microbes were measured in process of aerobic compo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The composting period is determined in 16~24day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OM/N ratio. 2. The salinity contents in compost of livestock waste and foodwaste ferment is about 0.5%, which can be solved the problems of salinity contents in foodwaste composting. 3. The proper ratio of livestock waste composting is 40% of cow feces to 60% of foodwaste ferment. 4. Processing expense of aerobic composting of foodwaste and sawdust is 40 won/kg composting expense of foodwaste and ferment is 30 won/kg. Fermented product composting can cut down the expense of bulking agent than ot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