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효미생물

Search Result 1,58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Kluyveromyces fragilis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의 젖산발효중 아미노산 대사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Kluyveromyces fragilis on the Metabolism of Amino Acids in Soymilk)

  • 류인덕;박정길;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7-292
    • /
    • 1988
  • 두유를 L. acidophilus와 K. fragilis로 혼합발효시 균의 생육과 젖산발효에 미치는 아미노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두균주가 어떠한 상호작용으로 두유 중의 유리아미노산들과 대두단백질을 이용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유를 L. acidophilus와 K. fragilis로 혼합발효시 K. fragilis는 두유중의 유리아미노산들을 이용하여 생육하나 부족한 것은 L. acidophilus에 의해 대두단백질이 가수분해되어 생성되는 여러 종류의 유리아미노산들 중 젖산균이 생육인자로 이용하지 않아 발효액에 축적되는 Leu., Phe., Lys., Arg., Glu., Asp., Ala. 등의 유리 아미노산들 특히 Leu., Phe., Lys.을 이용함으로써 K. fragilis의 생육이 촉진된다고 생각되었다. 이와 같은 두균의 아미노산 대사의 상호작용과 당대사의 상호작용(2)을 함께 고려할 경우 두유를 L. acidophilus와 K. fragilis로 혼합발효할 때 두균사이에는 공생관계 (symbiotic relationship)가 성립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두유를 두균으로 혼합발효하는 것이 L. acidophilus만으로 단독발효하는 것보다 젖산생성량이 많고 젖산생성속도가 바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김치발효에 미치는 온도 및 식염농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 민태익;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43-450
    • /
    • 1984
  • 온도와 식염농도를 달리하여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생화학적 및 미생물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김치의 적숙시기는 발효온도와 식염농도에 따라 달랐다. 김치발효는 저온, 고식염농도에서 보다, 고온 저식염 농도에서 더 빨리 진행되었고 김치의 비휘발성 유기산에 대한 휘발성 유기산의 비는 김치 적숙시기에 최대로 되었다가 김치가 시어지면서 감소되었다. 식염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 하여 숙성시킨 김치에서 Leu. mesenteroids, Lac. brevis, Lac. plantarum, Ped. cerevisiae, St. faecalis 및 산생성이 낮은 Lactobacilli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주 미생물은 Leu. mesenteroides이며, Lac. plantarum은 김치의 숙성보다는 산패와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 생균수는 발효초기에 급증하여 적숙기간에 최대로 되었다가, 그 이후 서서히 감소되었고, 호기성 세균과 사상균수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계속 감소하였고, 효모는 $10^{\circ}C$ 전후의 온도와 고 식염농도에서 그 수가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되었다.

  • PDF

유산균(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 함유 액비의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on Growth in Creeping Bentgrass)

  • 김영선;함선규;김택수;정현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5-196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이 함유된 발효 액비가 크리핑벤드그래스 잔디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복합비료(21-17-17)를 처리한 대조구(CF), 복합비료를 처리한후 미생물발효액비 500배액을 처리한 T500, 300배액을 처리한 T300, 100배액을 처리한 T100, 그리고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 발효액비만을 처리한 L500 등 6개 처리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수행하였다. 잔디생육조사는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량, T/R 율 및 뿌리길이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 조사결과, T500 T300 T100 $\geq$ CF > L500 > NF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처리구는 T300로 조사되었다. 2.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량 비교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포함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3% 증가하였으며, 지하부는 T300에서 25% 증가하였다.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처리한 L500은 무처리구인 NF보다는 지상부 88%, 지하부 44% 씩 각각 증가하였다. 3. 잔디의 T/R율을 비교한 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처리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7% 높았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시비한 처리구인 L500이 무처리구인 NF보다 약 39% 높게 조사되었다. 4. 뿌리길이 조사결과, 복합비료처리구에서는 1차 2차 조사에서는 CF보다 T500, T300, T100에서 평균 $7{\sim}8%$ 더 높고, 3차 조사에서는 CF와 비슷하게 조사되었고, 복합비료가 시비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NF와 L500 처리구의 뿌리길이를 비교할 때 NF보다 L500에서 약 $22{\sim}66%$ 높게 조사되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유산균과 효모균이 함유된 발효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뿌리길이, 지하부와 지상부 생육 및 잔디의 T/R 율을 향상시켰고, 잔디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이 가장 좋은 처리구는 T300이었다.

미생물제제 이용 처리 발효돈분액비 시용이 수수교잡종 (Sorghum bicolor L. Moench)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Pig Slurry Treated with Probiotics on the Productivity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orghum bicolor L. Moench))

  • 박남건;고서봉;고문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5-42
    • /
    • 2002
  • 본 시험은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발효돈분 액비를 질소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재비시 사용하였을 때 생육, 생산성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3처리(화학비료 시용구, 일반발효돈분비액비 시용구, 미생물제제 이용 발효돈분액비 시용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제주지역에서 수행하였다. 파종후 생육초기에는 초장이 일반발효돈분액비 시용구가 화학비료 시용구에 비하여 다소 길었으나. 수확시에는 처리간 차이없이 비슷하였다. ha당 총 건물수량은 41.848~15.421kg으로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수수교잡종의 CP, NDF, ADF 및 무기물 함량도 처리간 큰 차이없이 비슷한 경향이였다. 시험후 토양의 pH는 5.35~5.63으로 비슷하여 유의적인 차니는 보이지 않았으나 유효인산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가 발효돈분액비 시용구들에 비해 높았다(P<0.05). 치환성 양이온 중 K는 미생물제제 이용 발효돈분액비를 시용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p<0.05), 2차 수확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말 분변을 이용한 주스박의 in vitro 발효 특성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ice Pomaces Using Equine Fecal Inoculum)

  • 황원욱;김겸헌;임정호;우제훈;박남건;김수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2-331
    • /
    • 2017
  • 본 연구는 바실러스, 효모 그리고 유산균으로 발효한 다양한 주스박들과 말 분변을 첨가한 in vitro 발효 시험을 통해 pH, 건물 분해율, 암모니아성 질소, 가스 발생량, 휘발성 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주스박 첨가에 따른 발효액의 pH의 범위는 6.4~7.1로 미생물 발효에 의한 소화가 정상적으로 나타났다. 48시간 후 발효액에서 $10^9CFU/m{\ell}$ 정도 미생물이 증식함에 따라 사용한 주스박들이 장내 미생물에 의한 소화작용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물 분해율은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증가하여 48시간째에 사과박 39.19%, 포도박 38.22%, 당근박 37.02%, 감귤박 36.2% 그리고 혼합박 34.35%로 나타났다.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배양 12시간까지는 전 처리구에서 $1.5mg/100m{\ell}$의 수준이었으며 배양 24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가스 발생량은 혼합박이 가장 낮았으며,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총 VFA는 배양 24시간부터 증가하여 48시간에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발효 주스박은 말 in vitro 소화과정에서 적정 pH를 유지하면서 건물 분해가 진행되었고 말의 맹장과 대장에서 섬유소 분해 미생물의 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치즈를 첨가한 김치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Supplemented with Cheese.)

  • 배인휴;최성희;최희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5-419
    • /
    • 2002
  • 본 연구는 배추김치 제조시 김치의 단백질원인 젓갈 대신 치즈를 첨가하였을 때 김치의 발효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젓갈이 첨가된 대조구와 치즈가 첨가된 김치 모두 담근 후 2일까지 빠른 속도로 미생물이 증식되었으나, 담근 후 3일부터는 치즈 첨가 김치가 대조군 김치에 비하여 높은 생균수를 보였으며, 치즈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욱 더 높았다 pH는 대조구와 치즈 첨가 김치 모두 담근 후 하루동안 일시적으로 약간 상승하다가 2일째부터 급격히 저하되어 3일째에는 pH4.33-4.18로 가장 맛있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김치의 pH 범위를 보였으며, 치즈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발효속도는 대체로 치즈 첨가량이 많을수록 빨랐으며 특히 발효 3일 이후에는 7% 치즈 첨가군이 발효속도가 가장 빨랐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치즈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수분이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담근 후 3일 된 김치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젓갈을 넣은 대조구 김치보다 치즈를 3%, 5% 첨가한 김치가 외관, 향미, 질감, 맛 등 관능에서 대체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았다

유산발효에 의한 발효한약의 기능분석 (Functionality Analysis of Korean Medicine Fermented by Lactobacillus Strains)

  • 강동희;김현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9-2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풍, 고혈압, 동맥경화, 염증성 피부질환에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질환들에서 연구되어 있는 방풍통성산을 선정하여 4가지 약재를 가미한 후 기존의 기능성 물질과 Lactobacillus 균주에 의해 생성되거나 증가된 기능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약을 이용한 복합배양은 공시균주의 수 및 접종시기를 달리하여 여러 조합으로 수행하였다. 전자공여능 및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 측정을 통해 한약의 항산화 활성은 각각 31.7%와 36.3%로 나타났으며, 복합배양을 통해 발효된 한약의 항산화 활성은 각각 77% 이상, 42% 이상으로 나타나 한약보다 항산화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항균 활성은 한약의 경우 모든 시험균주에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복합배양 된 한약의 경우에는 B. subtilis PCI 219, P. aeruginosa KCTC 2004, S. aureus subsp. aureus KCTC 1916에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여드름을 유발시키는 P. acnes KCTC 3314에 항균 활성을 보였다. RBL-2H3 세포주에서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한약은 60%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발효한약은 57%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발효한약은 알레르기 억제 효과와 함께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의 증가로 인하여 알레르기 개선, 피부노화 및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피부질환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의 Bacteria 군집 분석 및 발효과정 중 Bacilli 포자 형성 규명 (Bacterial Community Monitoring of Commercial Kimchi Produced in Korea and China with Evidence of Bacilli Spore Formation during Fermentation)

  • 안두현;김혜림;정도원;;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1-130
    • /
    • 2014
  • Bacteria 군집 차이를 이용한 신속한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 원산지 판별 가능성의 검토를 위하여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T-RFLP 분석은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유산균의 빠르고, 재현성 있는 검출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종(species) 수준에서의 미생물 확인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bacteria의 검출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RFLP를 적용한 발효과정 중의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에 존재하는 bacteria 군집 천이 분석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고, Bacillus 속이 발효 후기까지 검출되었다. 또한 Bacillus 속은 발효 후기에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RCM201425의 만니톨 생산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Cost-effective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RCM201425)

  • 하광수;신수진;정성엽;양호연;임수아;허주희;양희종;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61-87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 있는 생물학적 만니톨 고생산을 위해 선별균주의 만니톨 생산 최적화 배지조성을 RSM 방법을 이용하여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김치로부터 분리된 10균주의 만니톨 생산량과 과당으로부터 만니톨 전환율 분석을 통하여 SRCM201425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균주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과 당 발효 분석을 통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하였다. Plackett-Burman design (PBD)을 이용하여 만니톨 생산에 영향을 주는 배지 인자를 선별하기 위해 총 11개의 탄소원, 질소원, 무기원소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fructose와 sucrose, peptone을 선정하였다. 만니톨 생산을 위한 선별된 각 변수의 최적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central composite design (CCD)과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CCD를 통해 만니톨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최적 농도는 fructose 38.68 g/l, sucrose 30 g/l, peptone 39.67 g/l으로 예측되었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실험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MRS 배지에서의 생산량의 약 20배의 만니톨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100 g/l의 fructose가 포함된 MRS 배지 대비 97.46%의 만니톨을 생산하면서, 산업화시 기존 배지 대비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만니톨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최적화를 확립하였으며, 만니톨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비용의 촉매환원 방법을 대체할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추김치와 배추김치 발효양상 (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 안순철;김태강;이헌주;오윤정;이정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4-238
    • /
    • 2001
  • 배추김치와 부추김치의 발효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20^{\circ}C$$10^{\circ}C$로 나누어 발효과정 중의 총 균수, 젖산균 수, pH 및 총 당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한 배추김치의 경우 총 균수와 Leuconastoc속과 Lactobacillus속 젖산균 모두 발효 초기인 2일째에 최대에 도달하다가 그 이후에는 점점 감소하였다. 그러나 $2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Leucanostoc속은 발효 3일째에 최대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였지만 Lactobacillus속은 발효 15일 이후까지 그 균수가 유지되었다. $10^{\circ}C$에서 발효한 경우에는 배추김치, 부추김치 모두 $20^{\circ}C$에서 발효한 경우보다 Leuconostoc속과 Lactobacillus 속의 균수가 서서히 중가하다가 감소하였다. pH 변화는 배추김치 경우에는 3일 후에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부근에 도달한 후 발효 5일째에 3.5 까지 낮아져 그 후에도 계속 유지되었으나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발효 10일째까지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10^{\circ}C$의 경우 배추김치는 6일 후 pH 4.2 정도였으나 부추김치는 24일 후에도 pH 4.2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발효 기간에 따른 총 환원당의 함량은 배추김치와 부추김치 모두에서 발효초기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1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감소정도가 매우 완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추김치가 배추김치보다 젖산균의 종식이 더디어 배추김치에 비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됨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