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효미생물

검색결과 1,583건 처리시간 0.028초

김치의 숙성 및 발효중 오염지표미생물과 유산균의 변화-제1보 (Changes of Index Microorganisms and Lactic Acid Bacteria of Korean Fermented Vegetables (Kimchi) during the Ripening and Fermentation-Part 1)

  • 김종규;윤준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9-85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index microorganisms and lactic acid bacteria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vegetables (kimchi) during the ripening and fermentation period. A type of kimchi, baechoo-kimchi, was prepared and stored at $10^{\circ}C$ for 8 days. The numbers of the total aerobic bacteria, psychrotrophil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in the kimchi and also in raw materials of the kimchi (Chinese cabbage, green onion, ginger, garlic, and red pepper) were counted using appropriate media. The highest number of aerobic bacteria was detected from ginger, then red pepper, then garlic, then Chinese cabbage, and lowest number from green onion. The highest number of psychrotrophilic bacteria was detected from red pepper, then Chinese cabbage, then garlic, then ginger, and the lowest number from green onion. Coliforms and E. coli were not detected from all of the raw materials of kimchi. Total aerob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of the kimchi showed gradually increasing during ripening and fermentation. The number of psychrotrophilic bacteria showed a similar level in the kimchi. Coliform bacteria were detected at the 3rd, 4th, and 5th day of the kimchi fermentation period, although they were not detected from the raw materials of the kimchi. However, the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the kimchi after 6 days. E.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kimchi samples. The pH value of the kimchi gradually decreased, and acidity increased over fermentation perio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was contamination of coliform bacteria during the process of kimchi preparation, and lactic acid bacteria proliferated in the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hibited the growth of coliforms. Mo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each raw materials of kimchi.

Bacillus megaterium SFO41에 의한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 및 최적 배양 조건 (Study on the Production and the Culture Condition of Cholesterol Oxidase from Bacillus megterium SFO41)

  • 김관필;이창호;우철주;박희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3-409
    • /
    • 2001
  •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침채류 및 젓갈류)으로부터 cholesterol oxidase 생산성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분리된 균주들로부터 여러 단계의 균주 선멸시험을 통하여 cholesterol oxidase 생산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SF041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Bacillus megaterium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되어 분리균을 Bacillus megaterium SFO41로 명명하였다.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최적 배지 조성은 2.0% glucose, 0.5% yeast extact, 0.03% $MgSO_4\;7H_2O,\;0.02%\;K_2HPO_4,\;0.2%\;NH_4NO_3$, 0.2% cholesterol로 판명되었으며, 배영 조건은 $30^{\circ}C$, 초기 pH 7.0, 진탕 속도는 150 rpm에서 24시간 배양 시 효소 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2.37 U).

  • PDF

PVDF 여과막 생물막 반응기를 이용한 혐기 세균 복합체의 고온 수소생산 (Thermophilic Hydrogen Production from Microbial Consortia Using PVDF Membrane Bioreactor)

  • 오유관;이동렬;김미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23-229
    • /
    • 2007
  • 여과막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60^{\circ}C$에서 혐기 세균 복합체가 포도당으로부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연구하였다. 여과막 생물반응기는 연속교반 탱크반응기와 외부에 장착된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중공사막 여과장치로 구성되었다. 접종슬러지는 하수처리장 소화 슬러지조에서 얻었고, 포자형성 수소생산 미생물을 얻기 위해 $90^{\circ}C$에서 20분 간 열처리하였다. 16S rRNA PCR-DGGE(polymer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분석을 통해 열처리 전후의 미생물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 후 DGGE 밴드의 수는 감소하였고, 주요 밴드는 Clostridium perfringens와 유사한 염기서열을 나타내었다. 운전 기간 동안 바이오가스 내 수소함량은 60%(v/v)를 유지하였고, 메탄은 검출되지 않았다. 연속교반 탱크반응기를 여과막 없이 수력학적 체류 4시간에서 운전하였을 때 공급된 포도당의 95.0%가 제거되었고, 이때 균체농도 및 수소생산속도는 각각 1.35 g cell/L 및 7.4 L $H_2$/L/day이었다. 동일한 체류시간에서 PVDF중공사막 여과장치를 장착하여 연속교반 탱크반응기를 운전하였을 때, 균체농도는 1.62 g cel/L로 증가하였고 높은 포도당 제거율(99.5%) 및 수소생산속도(8.8 L $H_2$/L/day)가 관찰되었다. 40 nm 및 100 nm의 공극크기를 가진 여과막은 균체농도 및 수소생산 측면에서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여과막 생물반응기는 여과막의 반복적인 세척을 통해 30일 이상 안정적으로 운전될 수 있었다.

자연발효 과정에서 인디고에 환원력을 지닌 미생물 커뮤니티 분석과 농화배양 (Analysis and Enrichment of Microbial Community Showing Reducing Ability toward indigo in the Natural Fermentation of Indigo-Plant)

  • 최은실;이은빈;최형안;손경희;김근중;신윤숙
    • KSBB Journal
    • /
    • 제28권5호
    • /
    • pp.295-302
    • /
    • 2013
  • Indigo is utilized in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textile dyeing, cosmetics, printing and medicinal products and its reduced form, leuco-indigo, is mainly used in these process. Chemical reducing agent (sodium dithionite, sodium sulfide, etc.) is preferred to use for the formation of leucoindigo in industry. In traditional indigo fermentation process, microorganisms can participate in the reduction of indigo and thus it has been known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noxious byproducts. However, in fermentation method using microorganisms it is difficult to standardize large scale production process due to low yield and reproducibility.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the indigo reduction process using microbial flora which was isolated from naturally fermented indigo vat or deduced by metagenomic approach. From the results of library analyses of PCR-amplified 16S rRNA genes from the traditional indigo fermentation vat sample (metagenome), it was confirmed that Alkalibacteriums (71%) was distinctly dominant in population. Some strains were identified after confirming that they become pure culture in nutrient media modified slightly. Four strains were separated in this process and each strain showed obvious reducing ability toward indigo in dyeing test.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zed results will provide important data for standardizing the natural fermentation of indigo and investigating the mechanism of indigo reduction.

가자미 식해로부터 콜레스테를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olesterol Degradation Bacteria from Korea Traditional Salt Fermented Flat Fish)

  • 김관필;이창호;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2-101
    • /
    • 2001
  • 전통 발효 식품인 가자미 식 해로부터 cholesterol oxidase 생산성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분리된 균주들로 부터 여러 단계의 균주 선별시험을 통하여 cholesterol oxidate 생산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SFF34의 배양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세포벽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Bacillus sp.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되어 분리균을 Bacillus sp. SFF34로 명명하였다. Cholesterol oxidase의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최적 배지 조성은 2.0% glucose, 0.5% yeast extract, 0.03% MgSO$_4$.7$H_2O$, 0.02% $K_2$HPO$_4$, 0.2% NH$_4$NO$_3$, 0.2% Cholesterol로 판명되었으며, 배양 조건은 3$0^{\circ}C$, 초기 pH 7.0, 진탕속도는 150rpm에서 24시간 배양시효소 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2.42 U/ml).

  • PDF

미생물 발효 영지버섯 추출액의 다당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lysaccharide of Ganoderma lucidium Extract by Microorganism Fermentation)

  • 황유연;정명수;김혜자;이기남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506-1512
    • /
    • 200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otale yield, the content of soluble polysaccharide and the others of FEW extract from the yeast fermentated Ganoderma lucidium by supersonic method, the yeast strain was inoculated after pretreatment and subsequently followed fermentation and supersonic extract. The main construction of the extract method is composed of the main glucose and together with the xylose, fucose, galactose and mannose. Results show that because of the generated lactic acid and ethanol, pH value of extract decreases and the safety as well as the preservation is improved. The extract yield, the total soluble polysaccharide, SOD-like activity, cytotoxic effect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cancer cell line are much higher in FE method than RE method, especially FEW3 extracts fermented during 24hrs. It is concluded that yeast fermentation makes the extract yield increase because of the cell disintegration, the useful ingredients of the germ body, the metabolic products, the insoluble ingredients due to the generation of ethanol, and the cell fragmentation caused by the supersonic waves vibration. Content of generated ethanol, total soluble polysaccharide and extract yield all in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time from 24 to 72 hours and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 is at $27^{\circ}C$ for 72 hours. The bitter taste and smell of the Ganoderma lucidium extract is diminished, fragrant-bitter taste and smell is generated so that the whole functional quality is improved.

Methylomonas mnosa에 의한 Exopolysaccharide의 유가식 및 연속 생산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in Fed-batch and Continuous Culture by Methylomonas mucosa)

  • 장호남;권선훈심상준
    • KSBB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64-171
    • /
    • 1993
  • Methylomonas mucosa를 이용하여 세포외 다당류의 생산을 알아보았다. 본 미생물은 성장을 위해 메탄올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세포외 다당류를 생산한다. 효과적인 발효 공정 시스템의 개발올 위해 회 분식, 유가식, 연속식 배양을 수행하여 각각의 당류 에 대한 생산성을 알아보았다. 플라스크 배양에서 메탄올이 약 1 % (v/v) 이상에서 다당류의 생산과 세포의 성장은 저해되었다. 1% (v/v)에서 최대 비성장속도를 나타내었고 C/N 비율이 높을수록 다당류의 생산은 많았다. 다당류의 생산에 $Mg^{2+}$ 이온 농도가 크게 영향을 줌을 확인할 수있었다. 유가식 배양에서는 다당류의 농도가 회분식에 비 해 4배 이상 높았으나 수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연속주입을 통한 유가식 배양은 간헐적 주업방법보다 생산성이 높았다. 이는 간헐적 주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메탄올에 의한 제한이나 저해가 없었기 때 문으로 보여진다. 연속조엽은 산소 제한을 피하기 위해 순수산소를 공급하였다. 희석률이 O.21h-1까지 증가하여도 수융 과 생산성은 증가하였다. 생산된 다당류 용액의 점도는 다당류의 증가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초고온 호기성 퇴비화 공정의 복합 악취 및 악취 물질 평가 (Evaluation of Complex Odor and Odorous Compounds in a Pilot-Scale Ultra Thermophilic Aerobic Composting Process)

  • 박세용;정대혁;유의상;김문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33-39
    • /
    • 2009
  • 본 연구는 정읍시에서 배출되는 하수 슬러지, 축산 분뇨, 음식물 쓰레기를 대상으로 Pilot Scale($100m^3$) 초고온 호기성 퇴비화 공정에서의 복합 악취 및 12개 지정 악취물질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대상 물질은 종균과 혼합하였고 1차 50일, 2차 60일 기간동안 운전하였다. 호기성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1차, 2차 퇴비화공정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약 $90{\sim}95^{\circ}C$가 되었다. 악취 분석을 위한 시료는 1차의 경우 퇴비상부에서, 2차의 경우 Pilot Plant 경계지점에서 채취하였다. 지정 악취 물질 12개 항목의 기기 분석에서 악취의 주요 원인으로는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디메틸다이설파이드, 트리메틸아민이었다. 초기 복합악취의 농도는 퇴비화 공정이 끝난 후의 농도보다 높았지만 규제기준을 넘지 않았다. 초고온 호기성 퇴비화 공정에서는 적절한 교반시점과 발효 온도가 악취 발생의 중요한 인자라고 판단된다.

  • PDF

깍두기의 발효숙성 온도가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Sensory,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akdugi)

  • 김성단;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00-806
    • /
    • 1997
  • Effect of temperature on Kakdugi during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sensory,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up to 57 days. The diced(2.5$\times$2.5$\times$2.5cm) Chinese radishes(Ra-phanus sativus L.) with other ingredients were fermented under the different temperatures. Kakdugi were stored at 4$^{\circ}C$ after keeping at 2$0^{\circ}C$ for 12 hours(treatment E) from initial fermentation to the end at each temperature on preparation. The pH was decreased to the range of 4.14~4.29 in the initial of pH 5.8, and total acidity was increased 2~4 times more than that of in the initial period (0.24%). And the changes of treatment A, B, and C were nearly constant up to 57 days in the range of 0.80~0.88% (pH 4.1). The changes of vitamin C showed sigmoidal curve, increasing significantly in the palatable period after decreasing gradually in the initial period. The content of vitamin C in treatment E was rapidly decreased, but that of treatment C was kept high content up to 57days.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remarkably increased in palatable period and was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The scores of aroma, taste, overall acceptability in sensory evalu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was high in order of treatment E, C, D, B and A. The scores of sensory evaluation treatment D and E during fermentation was rapidly decreased, however, treatment A, B and C were maintained. Chang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sensory properties, among treatment A, B and C which kept a good quality up to 57 days, had high scores of sensory evaluation, abundant vitamin C in the palatable period. The result showed that Kakdugi fermented at 4$^{\circ}C$ after keeping at 2$0^{\circ}C$ for 36 hours had better taste and quality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 PDF

오적골(烏賊骨) 첨가가 김치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piae os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ong Fermentation)

  • 이미정;김한수;이승철;박우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2-596
    • /
    • 2000
  • 오적골을 0.5%, 1.0%, 1.5% 첨가한 김치를 만들어 1$0^{\circ}C$에 보관하면서 속성이 진행되는 동안 의 품질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H, 적정산도, 환원당 함량, 총균수, 유산균수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오적골을 첨가한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pH의 저하가 늦어지고, 저정산도의 증가가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해 오적골을 첨가한 시험구의 환 원당 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발효 기간 중 오적골 첨가 김치에서는 유기산의 생성이 활발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생성된 우기산은 김치중에 있는 유리 아미노산 등의 완층작용이나 오적골 등에서 용출된 칼슘의 중화작용으로 인하여 pH 저하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랍ㄴ적 으로 김치의 숙성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인 pH 및 적정산도의 결과로 보아 오적골을 첨가한 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5일 내지 15일 이상 속성 기간이 늘어나는 효과를 가지는 보인다. 오적골을 첨가한 \ulcorner치의 총균수와 우산균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난 것은 오적골이 김 치의 숙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이 생욱하는데 적당한 조건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된 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김치 마쇄액의 붉은 정도는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