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효물

검색결과 1,403건 처리시간 0.029초

쌀젖산발효물과 대두단백젖산발효물의 혼합에 의한 라이소거트의 개발과 특성 (Risogurt, a Mixture of Lactic Acid Fermented Rice and Soybean Protein: Development and Properties)

  • 목철균;한진숙;김영진;김남수;권대영;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45-749
    • /
    • 1991
  • 대두단백젖산발효물과 쌀젖산발효물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쌀젖산발효물은 색택, 향미가 우수하였고 대두단백 젖산발효물은 영양과 물성이 우수하였다. 쌀젖산발효물과 대두단백 젖산발효물 각각의 우수한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들을 혼합하였고 이혼합물을 라이소거트라 명명하였다. 라이소거트는 대두젖산발효물 보다 향, 맛, 색택, 종합적기호도가 월등하였으며, 영영 및 유변학적 특성면에서 쌀젖산발효물 보다 우수하였다. 라이소거트의 적정혼합비율은 쌀젖산발효물: 대두단백젖산발효물 75:25 이었다.

  • PDF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물 개발 (Development of an apple/pear pomace fermented with Lentinus edodes Mycelia)

  • 김진경;조승화;김은지;정도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86-294
    • /
    • 2019
  • 본 연구는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사과, 배 부산물의 기능성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사과/배 부산물 분말 농도 30% 및 미강, 대두박의 영양성분을 비율별로 첨가하고 Lentinula edodes KCCM 12339를 접종하여 온도 $24^{\circ}C$, 습도 80%에서 발효하였다.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 발효물의 효소활성은 전분분해 및 단백분해활성은 발효전과 발효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cellulase 및 pectinase 활성에서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사과/배 부산물 발효물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가수분해 작용에 균사체가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 발효물의 생리활성은 DPPH radical 소거능, SOD-like activity, total polyphenol, ABTS radical 소거능, 베타글루칸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사과/배부산물 보다 사과/배부산물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물이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Raw 264.7(대식세포)cell 배양 중 LPS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시켜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NO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발효하지 않은 사과/배 부산물보다 사과/배 부산물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물이 더 낮은 생성량을 보여 발효물 처리 시 염증유발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과/배 부산물의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를 통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천연 기능성 물질소재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유효성분에 대한 균사체 발효 최적화 조건의 구체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fir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thermophilus LFG를 배양한 산양유 발효물에서 분리된 다당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Exopolysaccharide Produced in Goat Milk Yogurt Cultured with Streptococcus thermophilus LFG Isolated from Kefir)

  • 임영순;이시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3-150
    • /
    • 2009
  • Kefir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Str. thermophilus LFG를 이용하여 산양유 발효유를 제조하고, 이의 다당체를 이용하기 위하여 발효조건 및 다당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온도에 따른 Str. thermophilus LFG로 제조한 발효물의 CEPS 생산성은 저온$(30-35^{\circ}C)$에서 보다 고온$(40-45^{\circ}C)$배양에서 높았으며, 점도는 우유발효물이 산양유 발효물 비하여 다소 높았지만, CEPS의 생성량은 우유 발효물(4.06-4.46g/L)에서 보다 산양유 발효물(4.74-5.30g/L)에서의 생산성이 높았다. 당류에 따른 CEPS생성량은 무첨가구에 비하여 glucose 3% 첨가구가 14-21%, sucrose 3% 첨가구가 4-16%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fructose 3%의 경우는 첨가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유 발효물 및 산양유 발효물로부터 분리한 상등백과 CEPS의 전자공여능을 확인한 결과 우유 발효물의 상등액과 CEPS가 산양유 발효물의 상등액과 CEPS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나타내었다. 우유 및 산양유 발효물로부터 CEPS를 각각 분리하여 아미노산의 조성을 비교 분석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산양유에서 분리한 CEPS에서 비교적 높은 아미노산 함량을 보였다. 산양유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crude exopolysaccharide(CEPS)의 탄수화물함량은 37%, 단백질 함량은 63%이었으며, 구성 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 56.45%, galactose 42.35%, fucose 0.27%(w/w)와 amino sugars로는 galactosamine 1.37%, glucosamine 1.09%를 함유하였다.

블루베리 유산균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저장안정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y of blueberry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96-8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블루베리의 식품 산업에서의 이용 증대를 목적으로 블루베리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 및 저장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72시간에서 가장 높은 5.96 log CFU/mL를 나타내었으며, pH 및 산도는 각각 발효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 및 증가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및 cyanidin-3-glucoside(C3G) 함량은 발효 72시간에서 각각 100 g 당 31.52 mg 및 5.41 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생균수, 총 안토시아닌 및 C3G 함량을 고려하여 72시간을 최적 발효 구간으로 선정하였다. 블루베리 발효물의 L값 및 a값은 발효 후 감소하고, b값 및 ${\Delta}E$값은 증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g당 2.21 g 및 0.91 g으로 발효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DPPH 및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블루베리 발효물에서 각각 30.74% 및 52.76%를 나타내어 무발효물 보다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FRAP에서도 $256.42 {\mu}M$을 나타내어 블루베리 발효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블루베리 발효물의 저장안정성은 총 안토시아닌 및 C3G 함량의 감소율로 확인하였는데, 42일 경과 후 48.03% 및 38.71% 감소하여 무발효물에 비해 우수하였다. 따라서, 블루베리 발효물은 유용물질 증가로 인한 안정성 향상을 통해 식품가공 산업에서의 활용증진이 기대된다.

Lactobacillus brevis를 활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산양삼의 발효물에 대한 특성 연구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 and Mountain Ginseng Fermented by Lactobacillus Brevis)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69-3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L. brevis SM61을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산양삼 분말을 L. brevis SM61을 이용하여 48시간동안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L. brevis SM61을 사용한 발효물에 대해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L. brevis SM61을 사용한 발효물에 대해 발효 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발효 초기에는 약 $1.49{\mu}g/mL$ 비해 48시간 이후 약 $5.09{\mu}g/m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항산화능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이 약 60%였으나, L. brevis SM61을 이용한 발효물이 약 98%로 높아졌다. 항균 활성의 경우 L. brevis SM61을 이용한 발효물에서만 항균 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신규 L. brevis SM61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발효물은 식용 곤충의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해당 유산균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용 곤충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Mulberry by Lactic Acid Bacteria)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2-2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식품산업에서의 다양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8.31 log CFU/mL를 나타낸 다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이 감소하였으며, pH 및 산도 또한 각각 발효 24시간에서 유의적인 감소(pH 3.90) 및 증가(0.15%)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 및 a값이 오디 발효 후 감소하고 b값 및 ${\Delta}E$값은 증가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오디 발효물에서 100 g당 171.40 mg으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안토시아닌 조성에서도 cyanidin-3-glucoside 및 cyanidin-3-rutinoside가 각각 100 g당 61.39 mg 및 85.45 mg으로 증가하였다. 오디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g당 10.75 g 및 5.02 g으로 발효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ORAC 또한 발효물에서 $292.94{\mu}M/g$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DPPH 및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오디 발효물에서 각각 17.40~58.21%, 32.63~87.34%로 무발효물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에서도 오디 발효물의 활성이 $37.03{\sim}762.13{\mu}M$ 및 0.12~0.74를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페놀성 화합물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한 오디 유산균 발효물을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초균에 의한 탈지대두 Grits(Defatted Soybean Grits) 발효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fatted Soybean Grits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NUC1)

  • 김현정;이성규;지영주;황보미향;이은주;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79-1484
    • /
    • 2008
  • 증자한 탈지대두 grits에 B. subtilis NUCI을 2% 접종하여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하여 DSG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DSG 발효물 및 DSG의 단백질 함량은 $57.2{\sim}61.0%$로 청국장보다 높았으며, 지질은 함유하지 않았다. 그리고 DSG에서는 protease 및 $\alpha$-amylase의 활성이 없었으며, 점질물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DSG 발효물은 청국장보다 더 큰 protease 활성, $\alpha$-amylase 활성, tyrosine 함량, 점질물 함량을 보였다. 또한 DSG 발효물은 DSG보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phenylalanine, tyrosine, glutamic acid 등이 주된 유리아미노산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isoflavone 함량도 DSG 발효물이 DSG보다 1.6배 더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냄새 및 맛에 대한 기호도의 경우 DSG 발효물이 청국장보다 높은 값을 보여 DSG 발효물의 기호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합적인 기호도는 청국장이 DSG 발효물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에탄올 투여 랫드에서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on Hepatotoxicity in Ethanol-Induced Rats)

  • 유근형;이선엽;양현모;함영안;이수응;채승완;이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31-1438
    • /
    • 2015
  •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곰취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에탄올 동물모델에서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간 무게의 경우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청 중 GGT(${\gamma}$-glutamyl 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 측정 결과 대조군에서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100, 200, 400 mg/kg BW) 및 발효물(4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GGT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곰취 열수 추출물(200, 400 mg/kg BW) 및 발효물(100, 200, 4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ST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LT 및 LDH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정상식이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물 투여군(200, 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HDL(high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정상식이군과 대조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물 투여군(200, 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중성지방의 경우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대조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곰취 열수 추출물(400 mg/kg BW) 및 발효물(200, 400 mg/kg BW)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 비율 및 동맥경화지수를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 내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물 투여군(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간 조직 내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 측정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 MDA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을 투여한 모든 농도에서 MDA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간문맥에 염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지방증 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취 열수추출 발효물의 투여가 혈청 GGT, AST, ALT 및 LDH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 조직 내 SOD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 반응을 억제시킴으로써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양식장 배출물 발효물의 어류 사료 첨가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with fermented product from sewage in land-based seawater fish farm on haematological factor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강주찬;지정훈;송승엽;문상욱;강지웅;이영돈;김세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6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양식어류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를 대상으로 육상수조식 양식장 배출물 발효물의 어류 사료 첨가에 따른 혈액학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젖산균 및 효모를 사용하여 발효한 양식장 배출물의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발효물을 0.1, 0.5, 1.0 및 5.0% 농도로 8주간 투여하였다. 투여 4주째 및 8주째에 각 투여 구간별로 혈액학적 항목을 중심으로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배출물 발효농도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분석시기에 따른 적혈구수, 혈색소 농도 및 혈색소 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주요 혈청 무기 및 유기성분은 배출 발효물 농도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혈청 효소학적 조사에서는 조사시기별로 변동은 나타났지만, 동일 조사시기에서 각 구간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육상 양식장 유래의 배출물 발효산물에 대한 다양한 방면의 연구가 진행되어야겠다.

오미자 유산균 발효물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 이정희;김종임;최화정;이정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5-371
    • /
    • 2014
  • 새로운 주름개선제 성분을 찾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세포독성, 콜라겐 생합성, matrix metalloproteinase-I (MMP-1) 및 elastase 저해활성에 대한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된 오미자 발효액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오미자 추출물은 L. rhamnosus으로 $37^{\circ}C$에서 1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물의 세포독성은 cytopathic effect reduction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콜라겐 생합성에 대한 발효물의 영향은 procollagen type-IC peptide EIA kit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I(MMP-1)에 대한 발효물의 영향은 Matrix Metalloproteinase-1 Biotrack activity Assay Kit에 의해 평가하였다. Elastase inhibition assay는 기질로써 N-Suc-$(Ala)_3$-nitroanilide을 사용하여 기질 반응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로써 오미자 발효물은 사람 피부 섬유아 세포에 대해 $100{\mu}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오미자 발효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켰으며, MMP-1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05). Elastase inhibition assay에서 오미자 발효물의 $IC_{50}$$36.4{\mu}g/mL$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오미자 발효물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피부의 주름개선을 위해 사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