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포 EV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Ethylene Vinyl Acetate / Ethylene-1-Butene Copolymer 블렌드 발포체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thylene Vinyl Acetate/Ethylene-1-Butene Copolymer Blend Based Foam)

  • 차길수;김진태;윤정식;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1호
    • /
    • pp.14-21
    • /
    • 2001
  • 신발 중창용 소재인 ethylene vinyl acetate (EVA) 발포체의 인장강도, 반발탄성, 영구압축줄음율 (compression set)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ethylene-1-butene copolymer (EtBC)를 EVA에 블렌드하여 가교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발포체를 제조한 후 셀의 구조적 특성 및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EVA/EtBC 블렌드에서, EtB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블렌드의 점도 및 가교 밀도는 증가하여 oscillating disk rheometer (ODR)에서 높은 torque 값을 나타내었으며 발포배율은 감소하였다. 발포제 함량의 증가에 따라서 발포배율 및 셀의 크기는 증가하였다. 발포체를 동일 비중에서 비교하였을 경우, EtBC 함량이 증가할수록 EVA/EtBC 발포체의 인장강도, 영구압축줄음율, 반발탄성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해졌다.

  • PDF

Ethylene Vinyl Acetate / 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블렌드의 발포특성 (Foaming Characteristics of Ethylene Vinyl Acetate/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Blend)

  • 허재영;김진태;윤정식;유종선;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2호
    • /
    • pp.106-114
    • /
    • 2000
  • 상온에서의 충격 흡수특성과 compression set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와 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SVIS)를 블렌드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발포제 및 EVA/SVIS 블렌드비가 발포배율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VI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블렌드의 점도는 증가하였고 가교 속도는 감소하였으며, 발포배율은 감소하여 비중은 증가하였다. 발포제 함량 증가, 즉 발포배율 증가에 따른 반발탄성은 변화가 없는 반면에, SVIS 함량 증가에 따라 발포체의 상온에서의 tan ${\delta}$ 값은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반발 탄성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EVA/SVIS 블렌드 발포체에서 SVIS 함량 증가에 따라 가교밀도와 비중이 증가하므로 compression set 값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저온플라즈마 처리조건이 신발 중창용 EVA 발포체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Plasma Treatment Condition on the Peel Strength of EVA Foam for Shoe Mid-sole)

  • 박차철;박찬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4호
    • /
    • pp.296-302
    • /
    • 2000
  • 신발 중창용 EVA 발포체의 수용성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에 대한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포체 표면을 저온 플라즈마 처리하였다. 플라즈마 처리기체 종류, 플라즈마 처리시간, 전극과 시료와의 거리등의 조건에 따른 발포체의 표면형태, 접촉각 및 수성폴리우레탄에 대한 접착력 등을 주사전자현미경, 접촉각 측정기, 인장강도시험기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플라즈마 에칭에 의한 표면 형태의 변화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물로 측정한 발포체의 표면 접촉각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접착력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 PDF

LDPE, EVA 및 발포제 혼합재료의 초미세 발포 공정 적용과 각 인자의 영향성 평가 (Application of a Microcellular Foaming Process of Mixed Materials of LDPE, EVA and Foaming Agent and Estimation of Influence of Each Factor)

  • 박대근;차성운;황윤동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853-858
    • /
    • 2001
  • Generally, mixed materials of LDPE, EVA and foaming agent are manufactured by crosslinking foaming or chemical foaming process. Above materials were used in a microcellular foaming injection molding process. Influence of each factor such as injection type, temperature of barrel, rate of mixed materials and contents of foaming agent was estimated by DOE(Design of Experiments). As a result of experiments, injection type and rate of LDPE, EVA have an influence on foaming rate. This data can be used in field of application of LDPE and EVA.

  • PD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발포체의 발포특성 및 물리적 특성 (Foam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ams)

  • 김진태;손우정;안병현;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1호
    • /
    • pp.52-60
    • /
    • 2001
  • 발포체의 물성은 발포체의 밀도, 사용된 폴리머의 기계적 물성과 열린 셀(open cell) 함량, 셀 크기, 셀 크기 분포, 셀 형태, 격벽의 두께 등을 포함하는 셀 구조에 의존하며 이러한 발포체의 밀도는 사용된 폴리머의 종류와 가교제의 농도, 발포제의 농도 그리고 가공 기술 및가공 조건 같은 다양한 원료물질과 가교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Ethylene vinyl acetate coplymer (EVA) 발포체는 가교 발포체로서 가교속도와 발포제의 분해속도에 의해 발포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라 발포체 물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 온도인 $155^{\circ}C$에서의 시간에 따른 발포제의 분해 속도 차이와 이에 따른 발포특성과 발포체의 물성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발포제 분해 속도가 보다 느린 경우, 발포제 분해속도가 빠른 경우와 비교하여 낮은 밀도를 보여주었으며,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나타내었고 발포체의 셀 크기는 보다 균일하였다.

  • PDF

바이오 기반 폴리머가 포함된 블렌드의 상압 및 가압 발포 연구 (Study of Non Pressure and Pressure Foam of Bio-based Polymer Containing Blend)

  • 한동훈;김영민;이단비;손성호;서건희;김한성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5호
    • /
    • pp.297-302
    • /
    • 2023
  •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발포제를 섞은 레진을 고온, 고압상태에서 발포하는 가압발포 방법과, 압을 주지 않은 고온의 상태에서 발포하는 상압발포 방법이 있다. 발포에 사용되는 고분자들은 상압상태에서 발포를 시키기 위해서는 최적 발포조건에 대한 설계 및 분석이 필요하다. 친환경 바이오 기반 폴리머는 단독으로는 발포가 힘든 문제가 있어 기존의 발포체 제조가 가능한 수지를 혼합하여 발포체를 제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기반 고분자의 함량 변화에 따른 바이오 기반 고분자와 EVA 혼합 발포체의 특성변화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가교도에 따른 최적 발포 조건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발포체의 기계적 특성 분석을 통해서 발포특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바이오 기반 폴리머의 함량이 바이오 기반 폴리머가 포함된 발포체의 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고 상압 및 가압 발포 공정에 따른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바이오 기반 폴리머-EVA 복합 발포체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리비드가 EVA/MWCNT 발포체의 분산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ass beads on dispersion properties of EVA/MWCNT foams)

  • 김태윤;이승현;정일두
    • 접착 및 계면
    • /
    • 제19권2호
    • /
    • pp.68-73
    • /
    • 2018
  • 이 연구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 공중합체 수지를 기본으로 하여 가교제, 발포제의 조성물과 함께 전도성을 가지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notubes, MWCNT), 유리비드(glass beads)를 이용하여 전도성 EVA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양, 혼련시간, 유리비드의 양 및 크기에 따른 전기전도성 및 발포체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양에 따라 전기전도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유리비드의 양에 따라 전기전도성이 증가된 것을 보아 유리비드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리비드를 통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내의 분산성 향상을 통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전도성 발포폼을 성공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포 EVA를 활용한 공동주택 층간 소음저감재 개발 (The study on using EVA (Etylene Vinyl Acetate) foam for floor damping)

  • 이근희;김비석;김경수;송민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24-727
    • /
    • 2002
  • 층간차음재에 대한 관심은 증대하고 있으나 실제로 우리가 층간 차음재를 선택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재료는 기존의 성능이나 가격을 강조하는 제품과 차별화하여 건축적 관점에서 접근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중략)

  • PDF

폐폴리에틸린/폐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블렌드 발포체의 난연 및 발포 특성에 관한 연구 (Flame Retardancy and Foaming Properties of the Waste-Polyethylene(W-PE)/Waste-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W-EVA) Blend Foams)

  • 문성철;조병욱;최재곤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4호
    • /
    • pp.316-32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폐폴리에틸렌 (W-PE)/폐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W-EVA) 블렌드계에 무기계 및 인계 난연제 등을 첨가하여 난연폴리올레핀 발포체를 제조하고, 수지대비 난연제, 특히 무기계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 변화에 따른 발포 및 난연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W-PE/W-EVA 블렌드계의 조성비가 50/50 (w/w)이고, 수지 대비 난연제의 함량이 220phr의 범위 내에서 가교반응을 쉽게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폐고분자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가교 및 발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V-PE 난연 발포체와 비교해 비교적 균일한 독립기포를 갖고, 발포율이 오히려 증가 (100 % 이상)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난연특성 (limiting oxygen index; LOI, heat release rate; HRR, total heat release; THR,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EHC등) 또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난연제의 종류 및 함량이 발포 및 난연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그리고 무기계 난연제의 난연 및 연기발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무기계 난연제 중 수산화알루미늄은 LOI 상승에, 수산화마그네슘은 발포율 상승 및 HRR, COY를 낮추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을 동시에 사용했을 때 상호작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공리적 설계를 이용한 발포제 혼합재료의 MCPs 제품 및 공정 설계 (MCPs Product and Process Design of Mixed Materials Using Axiomatic Design)

  • 이경수;차성운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4-1417
    • /
    • 2003
  • In chemical forming process, mixed materials of LDPE, EVA and forming agent are used. However mechanical properties has been dropping remarkably through this forming process. In this study, Above materials(LDPE, EVA) were used in microcellular foaming injection process. And various effective factors in this process were selected by Axiomatic approach and systematically estimated by DOE(Design of Experiments). As a results, injection type and rate of mixing resins have more influence on forming rate than other fa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