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암

Search Result 1,77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신생랫드를 이용한 다장기 발암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I

  • 한범석;김대중;안병우;이국경;한익수;배종희;임창형
    • Environmental Mutagens and Carcinogens
    • /
    • v.11 no.2
    • /
    • pp.118-133
    • /
    • 1991
  • 신생랫드를 이용한 다장기 발암모델의 전암단계 병변에서 간장의 GST-P 활성도와 발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phenobarbital (PB)의 발암촉진효과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신생랫드를 150마리 3군으로 나누어 diethylnitrosamine (DEN : 100mg/kg,i,p.), N-me-thyl-N-nitrosourea (MNU : 20mg/kg,i,p.), N-bis(2-hydroxypropyl)nirtosamine(DHPN : 0.1% D. W)을 각각 0, 3, 6 주에 투여하였다. 또한 PB (0.5% in basal diet)를 7주부터 계속 투여하여 8, 12, 20주에 경시적인 부검을 실시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Human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between Two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국내 두 폐금속 광산의 중금속오염 인체위해성평가 비교)

  • Lim, Tae-Yong;Lee, Sang-Woo;Park, Mi Jeong;Lee, Sang-Hwan;Kim, Soon-O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11
    • /
    • pp.619-63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methodology of human risk assessment specialized to domestic mine areas and to quantify the human risk of heavy metal (As, Cd, Cu, Pb, and Zn) contamination around two abandoned metal mines. To attain the goals, we established a relevant exposure scenario, including 7 exposure pathways and extracted a variety of exposure fac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habita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 areas. Finally, carcinogenic and non-carcinogenic risks were compared between two areas, exposure pathways, heavy metal contaminants, and receptors. The total excess carcinogenic risks of two mine areas of concern were calculated to be larger than the acceptable carcinogenic risk ($1{\times}10^{-6}$), indicating those two areas are not safe for carcinogenic hazard. In addition, the hazard indices of two areas were computed to be higher than unit risk (1), suggesting that the areas of concern have non-carcinogenic risk. Ingestion of crop and intake of groundwater were evaluated to be main exposure pathways contributing to carcinogenic and non-carcinogenic risks within the areas. Also, the results show that carcinogenic and non-carcinogenic hazards were mostly attributed to As and As, Cd, and Pb, respectively.

Biological active components in cigarette mainstream smoke (담배연기 중 생물학적 활성 성분)

  • Shin, Han-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 /
    • v.32 no.1
    • /
    • pp.41-54
    • /
    • 2010
  • 담배 주류연은 수천가지 종류의 다양한 형태의 화학물질로 구성되어있고, 이들 화학물질의 대부분은 극히 미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reen and Rodgman, 1996). 담배연기 속에서 발암물질로서는 poly cyclic aromatic hydrycarbon (PAHs) 류인 B(a)P를 최초로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69종의 화합물이 담배연기중의 발암물질로서 알려졌으며, 여기에는 9종의 PAHs 그리고 4종의 aromatic amine, nitrosoamines 및 aldehydes 그리고 다른 무기 및 유기 화합물들을 포함된다. 또한 담배 주류연에는 여러 화학물질들에 의해 유발된 생물학적 독성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성분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담배연기 중에 존재하는 항 발암성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들의 작용 메카니즘은 발암성 물질 또는 발암성 물질의 대사산물들과 반응을 하거나, 불활성화 시키거나, 세포 구성 물질들과의 반응에서 서로 경쟁하거나, 또는 발암성의 흡수를 간섭함으로서 발암성 효과를 없애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러 연구자들은 담배연기 응축물에서 종양 성장의 억제 작용을 하는 성분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주장 하고 있다.(Hoffmann and Griffin, 1958; Fall et al., 1964; Homburger and Tregier, 1965). 담배 연기 중에는 발암성을 나타내는 성분들과 함께 항 발암성 및 항 돌연변이성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다양한 생물학적 평가 연구들에 의해 증명되었다(Slaga and DiGivanni, 1984; Fay et al., 1984; Green and Rodgman, 1996).

발암물질의 조기검색법 개발 및 Chemoprevention에 관한 연구

  • 이병무;윤여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193-193
    • /
    • 1994
  • 발암물질의 조기검색법 개발 및 chemoprevention연구의 일환으로 발암물질과 DNA 및 단백질의 공유결합체인 발암물질-DNA 및 -단백질 adduct를 연구하였다. 발암물질(예, 밴조피렌)-단백질 adduct에 관한 연구에서는 시료(단백질)에 soluble protease를 이용하는 간편하고 손쉬운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분석법을 확립했다. 발암물질(예,벤조피렌,아플라톡신 B1) -DNA 및 -단백질 adduct를 이용한 발암성 조기검색법의 개발을 Ames test 및 염색체이상시험과 비교 연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새로이 개발한 DNA 및 Protein-adduct형성 시험법은 저농도에서 고농도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용량-반응 관계를 나타냈으며 Ames test 및 Chromosomal test에서 일어날 수 있는 false positive나 false negative의 결과를 나타낼 우려가 없었다. 벤조피렌-DNA adduct를 이용한 chemoprevention 연구에서는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 E,C 및 $\beta$-carotene을 시험한 결과 용량의존적으로 벤조피렌-DNA adduct 형성을 억제하였다.

  • PDF

Nitroarenes, Recently Recognized Air Pollutants (대기환경중의 Nitroarene)

  • 유영식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15 no.1
    • /
    • pp.1-9
    • /
    • 1989
  • 환경인자가 인체의 발암에 크게 기여하며, 대기오염도 흡연인자와 더불어 폐암발생의 주요인자로 주목되고 있다. 발암성 시험은 mouse, rat 등의 소동물을 이용하는 in vivo 시험법이 원칙이나,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in vitro 생물시험법이 현재 발암물질의 screening 수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B.N.Ames에 의해 개발된 Salmonella균 변이주를 이용하는 방법은, 간편성, 신속성에 뛰어나고,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발암성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최근 10여년간에 걸쳐, 수많은 화학물질 또는 대기오염물질과 같은 복합오염물질의 변이원성 및 발암성의 screening test로서 널리 응용되어 왔다.

  • PDF

Molecular Basis of Organospecific Carcinogensis by Chemical Carcinogens-Study with Breast Cancer Specific Carcinogens: DMBA as an Indirect-Acting carcinogen and NMU as a Direct-Acting cancinogen. (화학적 발암원의 조직 특이성 암유발기전 - DMBA와 NMU의 선택적 유암 발생기전을 중심으로 )

  • 박종영;김승원;박상철
    • Environmental Mutagens and Carcinogens
    • /
    • v.9 no.1
    • /
    • pp.1-12
    • /
    • 1989
  • To study the selective organospecific carcinogenesis by the specific chemical carcinogens, the breast cancer induction model by oral administration of 7, 12-dimethylbenzanthracene (DMBA) or by intravenous injection of N-methylni-trosourea (NMU) on female rats was analyzed. In the present experiment, we compared the effexts of ages on the chemical mammary carcinogenesis by studying the metabolic system of the carcinogenic activation, detoxification or DNA damage and repair. The breast tumor incid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 rats of 50 days old than in those of one year old rats. As an index of organospecific DNA damage or repair, the in vivo covalent binding index(CBI) of the specific organs by the specific chemical carcinogens was monitored. And for the analysis of carcinogenic activation, the quantity of cytochrome P450`s was determined with the respective type-specific monoclonal antibody, while the detoxication capacity was deduced by the activity monitoring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nd peroxidase. The skin tissues of the mammary region had the highest CBI with both of DMBA and NMU at 50 days of age. And there were contrasting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carcinogenic activation and detoxication system: that is, the content of T.C.D.D.-inducible cytochrome P450 was high, while the activities of GST and peroxidase was low in the mammary skin tissues at tumor prevalent age. These results led us to conclude that the molecular organospecific carcinogenesis, as illustrated with mammary carcinoge-nesis by DMBA and NMU, is operated probably through the differential capacity of the target tissues in the high carcinogenic activation, low detoxication and the low DNA repair function.

  • PDF

Science Technology - 발암물질에 대한 불편한 진실

  • Choe, Won-Seok
    • TTA Journal
    • /
    • s.126
    • /
    • pp.22-23
    • /
    • 2009
  • 마음에 맞는 사람들과 우리나라의 아름다움 속으로 떠나는 여행이 얼마나 즐거운지를 알려주는 리얼리티 쇼 <1박2일>. <1박2일>은 좋은 경치를 보여주는 것 못지않게 먹는 즐거움이 얼마나 큰 것인지도 잘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이승기가 만든 '비어치킨'과 같은 특별한 메뉴를 보면서 시청자들도 강호동처럼 군침을 흘리게 된다. 그릴 위에서 지글지글 익어가는 고기는 야외에서 즐길 수 있는 큰 기쁨 중 하나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이렇게 숯불에 구어지는 바비큐를 발암물질 덩어리라고 찝찝하게 여기는 사람도 간혹 있다. 숯에서 나는 연기와 불에 탄 고기에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발암물질 때문에 바비큐를 멀리해야 하는 것일까7

  • PDF

Galangin의 유전독성 억제효과

  • 허문영;정규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53-53
    • /
    • 1992
  • galangin은 1차 발암물질인 MNNG, EMS, 2차 발암물질인 B(a)P 및 DMBA에 의해 유도된 소핵생성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ADM에 대해서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S-9 mixture 존재하 benzo(a)pyrene에 의한 자매염색분체교환 빈도에 대해서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radiomimetic agent인 BLM 유도 염색체 이상에 대해서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galangin은 DNA alkylation이나 adduct를 형성하는 발암물질에 대하여 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보아 DNA alkylation 및 DNA adduct를 형성을 차단하거나 방향족 탄화수소의 대사 활성화를 방해하여 특정 발암물질들의 염색체 손상작용을 억제해주는 Anticlastogen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파푸아뉴기니아산 열대 식물의 항변이원성 연구

  • 장일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26-126
    • /
    • 1993
  • 암을 유발시키는 원인은 생물, 물리, 화학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근자에 들어 산업후에 따르는 환경오염의 증가는 화학적 원인에 의한 발암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인자의 발암 기전 중 많은 부분이 유전자에 상해를 일으킴으로써 암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항암실험을 수행하였던 파푸아뉴기니아산 열대식물 13과 23종 부위별 36시료에 대하여 항변이원성 검색실험을 통하여 유전독성을 가진 화학적 요인에 의한 발암 가능성에 대한 예방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발암에 대한 예방약물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