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달장애학생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University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나인정;이미숙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229-248
    • /
    • 2019
  • 연구목적: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사 중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발달장애학생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특수교사 4명으로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은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입학 정보 제공 등 학생을 준비시키기 위한 다양한 역할과 노력을 기울여 왔다. 둘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학부모가 자녀의 대학진학 결정 과정에서 합리적이지 못한 면이 많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이후의 생활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고, 발달장애학생이 진학할 수 있는 학과의 제한으로 일반교사 및 교육청 관계자 등과 협력적인 대학진학 지도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가정, 학교, 국가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인 부모교육의 제공, 발달장애학생의 자립생활과 자기결정능력의 내용을 포함한 대학진학 지도,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입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적인 입학정보시스템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발달장애학생 성교육 실태 및 부모의 요구 분석 (The Analysis of Sexuality Education Status and Parents' Need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차세진;황순영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07-141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성교육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여 발달장애학생 성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발달장애학생 부모 123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성교육 실태와 요구를 가정과 기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 성교육 실태와 요구 분석에 따른 논의 중, 실태에 따른 지원방안은 (1) 적극적이고 선행적인 성교육 제공, (2) 부모의 성 지식 및 인식 점검 및 재교육, (3) 발달단계에 적합한 성교육 내용의 다양화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구에 따른 지원방안은 (1)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를 구분하여 부모교육 제공, (2) 대인관계 및 성적자기결정권 향상에 관한 교육 내용 추가, (3) 증거기반의 성교육 교재 교구 개발, (4) 장애특성을 이해하는 성교육 전문강사 양성 및 배치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 성교육을 지원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은라;최진혁;박재국;김민영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51-85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동시에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 향상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요소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달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의 수행도와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항목으로 '상대방과의 대화를 지속하거나 앞서 언급된 주제를 재언급하여 대화를 구체화하기'와 '그림, 그래프, 도표 및 사진이 나타내는 의미를 수용하고 이해하기'가 도출되었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대인상호작용 기술의 수행도와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발달장애학생의 대인상호작용 증진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대인상호작용의 항목으로 '상황에 적합하고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배려와 존중에 대해 반응하고 표현하기'와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자신과 타인과의 거리를 인식하고 유지하기'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 신장을 위한 실질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되었다.

A Strategies for Using Smartphone as a Social Real Life Too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Park, Sa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55-262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활성화된 사회 환경 속에서 발달장애 학생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회 실생활 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발달장애 학생, 정보사회, 스마트폰 사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주제 관련 선행연구 문헌들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정보사회를 살아가는 발달장애 학생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사회통합 능력 향상 지원 방안을 기술한다. 둘째,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 실생활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기술한다. 셋째,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 실생활 적응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요구 영역을 기술한다. 이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 학생이 정보사회에서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익히고 배워 이용함으로써 주변 사람들과 상호교류하여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직업재활과 사회통합에 도움이 되도록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교육적으로 지원,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Using Robo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209-216
    • /
    • 2019
  •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와 사회적 변화로 미루어 볼 때 일반 학생, 장애 학생 구분 없이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평등한 기회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연구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나,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활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발달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활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기회 확대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과제 집중력이 낮고 단기 기억력이 부족하며 사회성이 다소 떨어지는 특성을 가진 발달 장애 학생들에게 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은 교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동기 유발이 용이하며, 발달 장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개선 및 자기 관리 능력 신장 뿐 아니라 자아 효능감, 자신감 등 정의적인 부분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어린이용 저작시스템의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Kid Authoring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 홍수진;노진이;이정중;백성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A)
    • /
    • pp.134-1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어린이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저작시스템(COSMOS KID)을 발달장애 학생들에게도 활용가능한 저작시스템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발달장애 학생들에게 기존 시스템을 직접 활용하게 해봄으로써 시스템 기능 이해 및 숙련도를 파악 및 분석하여 이에 대한 보완점 및 대안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이 시스템 개선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안하고자 한다. (1) 실험 대상자들의 학습능력 부족으로 인해 최종 프로그램 숙련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2) 발달장애 학생들의 음성표현능력이 매우 낮아서 저작하는 콘텐츠의 스토리를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막처리가 가능한 기능 등의 원활한 인터랙션이 지원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이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대학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식당취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f Convergence Major in Lifelong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on Restaurant Employment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6-14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의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에 대한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세 명의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의 절차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단일대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인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과 및 식품영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식당취업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은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을 비롯한 성인생활적응에 효과적인 콘텐츠라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자기주도학습강화를 위한 통합교육 발달장애학생 대상 모바일컨텐츠 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n Mobile Contents Design Plan of Developmental Disabled Students with Integrated Education for Reinforcing Self-directed Study)

  • 이금지;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1-257
    • /
    • 2010
  • 장애학생의 통합은 다른 학생들과 같은 장소에 함께 있는 것에서 시작하지만 수업에 의미있게 참여하여 질적인 통합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모바일러닝 (Mobile Learning) 컨텐츠 개발을 통해 통합장면의 장애학생이 일반 교과수업에 좀 더 접근하여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모바일러닝의 개념과 장점을 제시하고 둘째,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컨텐츠 설계하여 사회과 교과의 특성과 교육과정 수정, 모바일러닝 학습체제 구성 등 모바일러닝 컨텐츠 개발과 적용에 필요성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 PDF

발달장애학생 여가활동 접근성 확보를 위한 실천과제 : 평생계획 관점에서 학교-지역사회 연계 (Practical Tasks to Secure Accessibility to Leisure Activit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Focusing on school-community connection in the perspective of lifelong planning)

  • 최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07-114
    • /
    • 2018
  • 전환기의 발달장애학생이 여가활용 교과과정을 통해 스스로 여가를 찾고, 즐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지역사회 여가의 자원들을 활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능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가활용의 교과과정과 지역사회 자원의 연결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과정으로서의 여가활용을 지도하는 교사의 여가활용 인식이 전제가 되며, 지역사회 기반의 여가활동 참여시 언급되는 개선점과 중요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발달장애인의 평생계획과 관련한 최근의 연구들은 기존 요소에서 여가활동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총체적인 측면에서의 준비가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여가활동의 중요한 자원으로서 학교 현장에서의 여가활동과 지역사회여가활동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여가활동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코로나19 상황 속 발달 장애 학생의 온라인 학습 실태와 개선방안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Online Class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chungbuk-)

  • 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50-358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발달 장애 학생의 온라인 학습권 실태 분석과 증진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발달 장애 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충북지역 200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와 학부모 6인이 참여한 FGI 자료를 함께 사용하는 혼합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주요 결과로, 가장 시급한 학습보조 제도는 보조인력 지원으로 확인되었고, 재택근무 등으로 자녀를 지원할 수 없는 응답자가 50.5%로 나타났다. FGI 자료 분석결과, '코로나19 온라인 학습 실태', '양육환경을 고려한 비대면 학습환경 개선'의 2가지 범주와 '화상수업 등 교수 방법 다양화', '필요 학습 자원 지원', '상황에 맞는 평가제도 도입', '돌봄 지원 강화', '건강 지원 확대'의 5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 장애 학생 온라인 수업 관련 법적 근거마련 검토, 학습지원 인력 파견 확대, 온라인 학습 환경 증진 대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