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달장애청소년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4초

애착장애의 치료 (ATTACHMENT-BASED INTERVENTION)

  • 노경선;이소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23-131
    • /
    • 2004
  • 주 양육자와 어린자녀사이에 발생한 여러 애착의 문제들을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치료한 네가지의 방법을 검토하였다. 첫째, 부모의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방안. 둘째, 부모의 내적표상 및 작동모델(Parent's Representation과 Internal Working Model)을 변화시키는 방법. 셋째, 사회적인 지지를 증진시키는 방법. 넷째,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Well-being을 도와주는 방법과 Project STEEP(Steps Toward Effective and Enjoyable Parenting)를 기술하였다. 이러한 리뷰를 통하여 주 양육자의 정서적 반응에 민감성과 반응성이 애착의 발달과 치료의 중요한 요인임을 알게 되었다. 향후 애착문제의 치료시 하기 사항을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참가자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유연성. 둘째, 참가자 주위의 중요한 사람들을 참여 시킬 것. 셋째, 각 개인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것. 넷째, 가능한 어렸을때 빨리 치료할 것. 다섯째, 장시간에 걸쳐 집중적으로 철저히 치료할 것.

  • PDF

정신 지체와 간질을 동반한 20 환(Ring) 염색체 증후군 1례 (A Case of Ring Chromosome 20 with Mental Retardation and Epilepsy)

  • 정연경;이경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108-111
    • /
    • 2005
  • 20 환 염색체는 경한 외관상 기형, 정신 지체, 행동 장애, 난치성 간질을 동반하는 드문 염색체 이상 증후군이다. 저자들은 본원 소아과에 언어 발달 지연과 성장 발육 부전을 주소로 내원한 18개월 된 환자에서 말초혈액 염색체 및 FISH 검사를 통해 20 환 염색체 증후군으로 판명하였고 특징적인 난치성 간질 발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운동발달 장애 (Motor delay : cerebral palsy)

  • 박호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0호
    • /
    • pp.1019-1025
    • /
    • 2006
  • Motor delay, when present, is usually the first concern brought by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Cerebral palsy that is the most common motor delay, is a nonspecific, descriptive term pertaining to disordered motor function that is evident in early infancy and is characterized by changes in muscle tone, muscle weakness, involuntary movements, ataxia, or a combination of these abnormalities. A wide range of causative disorders and risk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for cerebral palsy, and broadly classified into 5 groups; perinatal brain injury, brain injury related to prematurity, developmental abnormalities, prenatal risk factors, and postnatal brain injury. Delay in attaining developmental milestones is the most distinctive presenting complai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detailed history and thorough physical and neurologic examinations are crucial in the diagnostic process. The clinician should be cautious about diagnostic pronouncement unless the findings are unequivocal. Several serial examinations and history review are necessary. Al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hould undergo a neuroimaging study, preferably MRI, because an abnormality is documented on head MRI(89%) and CT(77%). The high incidence rates for mental retardation, epilepsy, ophthalmologic defects,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and hearing impairment make it imperative that al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 screened for mental retardation, ophthalmologic and hearing impairments, and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nutrition, growth, and swallowing also should be closely monitored.

인터넷 유해정보 실태 및 중등학생에 대한 교육적 보호방안 연구 (A Study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Current State on Harmfu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Educational Plan)

  • 한건우;이재운;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11
    • /
    • 2006
  • 정보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유해정보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이 정신적, 인성적 발달에 심각한 장애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유해정보에 대한 중등학생들의 실태를 분석하고, 중등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종 문헌과 사전 연구물들을 종합하여 유해정보의 현황을 분석하고 유해정보의 정의와 유형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설문조사 보고서의 비교분석을 통해 유해정보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교육적 보호방안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적 보호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적 방안은 정보통신윤리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stello 증후군 3례 (Costello syndrome: three sporadic cases)

  • 김지윤;김미정;송은송;조영국;최영륜;마재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1024-1029
    • /
    • 2007
  • Costello 증후군은 특징적 얼굴 형태(coarse face), 발달 장애, 지능 저하, 성장 지연, 신경학적 이상, 심근증, 피부 병변, 수유 장애, 상대적 대두증, 소관절의 과신전, 고형종 발생 증가 등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증후군으로 1977년 Costello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이후 전세계적으로 약 100례 이상이 보고되었다. 최근 Costello 증후군은 HRAS 유전자 내의 glycine 12 또는 13 codon을 침범하는 de novo mut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특징적인 얼굴 형태와 지능 저하, 대두증, 손과 발의 과도한 주름, 비후성 심근증과 심방성 빈맥으로 특징지어지는 Costello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 3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Smith-Magenis 증후군 2예 (Two cases of Smith-Magenis syndrome)

  • 정성관;박규희;신혜경;은소희;은백린;유기환;홍영숙;이주원;배숙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701-704
    • /
    • 2009
  • Smith-Magenis 증후군(SMS)은 17번 염색체에서 유전물질을 향유한 곳이 일부 떨어져 나가면서 생기는 질환으로, 신체, 발달 및 행동상의 특징적 이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출생빈도는 출생아 25,000명 중에 한 명 꼴로 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분자유전학적 진단 기술의 발달로 이 질환의 환자수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다양한 임상증상과 더불어 수면장애, 경련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적절한 언어, 행동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SMS 환아 2예를 진단하고 치료하고 있는 경험이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Rorschach반응 및 모래놀이치료 내용 비교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IN RORSCHACH RESPONSE AND SANDPLAY BETWEEN ADHD AND NORMAL CHILDREN)

  • 조선미;최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1호
    • /
    • pp.51-59
    • /
    • 2006
  • 목 적 : 본 연구는 ADHD 아동 집단의 로샤반응 특성을 알아보고 정상 아동 집단군과 비교하여 군집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투사적인 심리치료 기법 중 하나인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난 특성들을 이들 집단 간에 비교한 후 로샤 뿐 아니라 모래놀이치료 작품에서의 차이점을 밝혀 보고자 한다. 방 법 : ADHD 아동 집단은 정서 문제와 inattention type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가 있는 아동들로 제한한 10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상 아동 집단은 같은 연령대로 지능을 통제한 아동군 유치원생 및 초등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로샤 반응들은 Exner 종합체계(1993)에 따라 실시, 채점되었고 분석되었다. 검사를 하고 난 후 모래놀이작품을 만들었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기위해 t 검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ADHD 아동군은 로샤 반응 시간이 빠르고 반응에 대한 기억의 실패가 빈번하였다. 또한, 발달질이나 형태질에서 평범하고 일반적인 특성이 부족했으며 정상 아동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3r+(2)/R, X-%, Xu%, (2), AG, Afr, SCZI, Wsum 6, FD, Zd, Blends, a와 같은 지표들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모래놀이작품에서도 작품 제작 시간과 전체 완구 수, 탈 것 종류, 통합성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로샤에서 나타난 반응 수나 반응 시간의 차이와 흡사하며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완구를 심사숙고하는 성향이 없이 나열하여 전체적으로 통합되고 조직화되는 부분이 매우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논 의 : ADHD 아동 집단이 로샤에서 반응 시간이 빨랐던 것과 흡사하게 모래놀이작품의 제작시간도 유의하게 빨랐다. 이는 ADHD 아동집단이 외부 자극이나 과제에 대한 mental effort의 기여도가 부족하고 즉흥성이 높은 것을 반영한다.

  • PDF

유아자폐증(幼兒自閉症)의 혈장(血奬) $Dopamine-{\beta}-Hydroxylase$의 활성도(活性度)의 개체발생적(個體發生的)인 특성(特性)과 정신병리(精神病理)와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CORRELATION BETWEEN ONTOGENESIS OF PLASMA $DOPAMINE-{\beta}-HYDROXYLASE$ ACTIVITY AND PSYCHOPATHOLOGY IN INFANTILE AUTISM)

  • 조수철;서유헌;김헌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76-86
    • /
    • 1991
  • 유아자폐증의 생화학적인 원인중의 일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형적 유아자폐증 37명, 비전형 유아자폐증 26명, 대조군 23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장 DBH활성도를 측정하고, DBH 활성도와 연령 또는 정신병리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장 DBH 활성도는 전형적 유아자폐증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으며, 전반적 발달 장애군(전형적 유아자폐증+비전형 유아자폐증)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뚜렷이 높았다. 2) 혈장 DBH 활성도의 연령에 따른 변화는 비전형 유아자폐증군과 대조군에서는 연령이 증가됨에 뚜렷이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전형적 유아자폐증군에서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3) 혈정 DBH 활성도와 정신병리간의 상관관계는 의미있는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유아자폐증의 생화학적인 원인중의 일부로서 Catecholamine계가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으며, 이는 DBH의 개체발생적인 과정에서의 장애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약물치료가 운동협응력에 미치는 효과: 개방연구 (Effect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n Motor Coordination: Open Label Study)

  • 박기정;권국주;이세정;임연신;정유숙;김효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4호
    • /
    • pp.244-251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on motor coordination, using the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Questionnaire (DCDQ).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pril 2015 to November 2016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Asan Medical Center and were treated for 3 months with methylphenidate or atomoxetine. The illness severity at baseline and 3 months were scored using the ADHD Rating Scale (ARS),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CGI-S) and/or Clinical Global Impression-Improvement Scale (CGI-I). A total of 39 children with ADHD (age $8.0{\pm}1.4years$, 36 boys) completed the Advanced Test of Attention (ATA) and their parents completed the DCDQ at baseline and 3 months. The paired t-test, mixed between-within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The CGI-S (p<0.001), ARS (p<0.001), and fine motor/hand writing (p=0.005) on the DCDQ were significantly changed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Whe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ose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n=23) and those who probably did not (n=16), the control during movement, fine motor/hand writing and general coordination scores on the DCDQ showed the main effects for group (p<0.001, p<0.001 and p<0.001, respectively). The fine motor/hand writing on the DCDQ h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ime [F(1,37)=7.31, p=0.010, ${\eta}^2=0.405$]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was also significant [F(1,37)=4.63, p=0.038, ${\eta}^2=0.111$]. The baseline visual commission error on the ATA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the DCDQ total scores (r=0.330, p=0.040). Conclusion: Our results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ADHD improves not only the core symptoms of ADHD, but also the motor coordin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ADHD on the motor coordination.

자폐증 아동에 있어서 Carbamazepine의 치료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CARBAMAZEPINE IN AUTISTIC CHILDREN)

  • 홍강의;최진숙;신민섭;황용승;안윤옥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87-96
    • /
    • 1991
  • 자폐증의 임상증상 완화에 대한 Carbamazepine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약으로 대조한 이중맹(placebo controlled double blind)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아동은 1989년 10월부터 1991년 11월까지 서울대학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DSM-III-R의 전반적 발달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면서, 부모가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남아로 하였다. 또한 다른 내과적 혹은 정신과적 질환력을 갖지 않으며, 연구 시작전 적어도 2개월이상의 약물복용이 없는 기간을 갖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군의 Cabamazepine치료군과 위약군으로 할당을 무작위적 할당표에 의해 할당하였는데, 각각 12명, 11명이 해당되었다. 연구 대상 아동의 상태를 모르는(blind) 2명의 평가자에 의하여, 기초관찰 기간과 12주의 약물치료 기간후에 측정한 검사도구의 측정값의 변화와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보았다. 두 검사자간의 신뢰도는 .4875-.6613이었다. 기초 관찰기간시 두군사이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및 검사도구의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 치료 기간 종결시 측정한 검사도구의 값과 기초 관찰기간의 값을 비교한 결과, Autism Behavior Checklist상 전체 점수의 유의한 차이(P<.05), 즉 Carbamazepine치료군이 위약군보다 자폐증 증상의 완화정도가 큰 소견을 보였다. Vineland Social Maturation Scale에서는 두군 모두에서 약물 치료 기간동안 사회성숙도상의 발달이 유의한 정도(P<.005)로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