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응유동

Search Result 9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Flow Field across Multiple Fluid Sphere in the Low Kundsen Number Regime (저 누드센 영역에서의 복합 유체구의 유동장)

  • 정창훈;이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97-398
    • /
    • 2003
  • 대기 중 분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여과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는 섬유 여과기, 입자상 여과기, 액적에 의한 습식 세정기 그리고 기포를 이용한 분진 제거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여과 원리를 이용한 집진 설비를 설계하는데 있어, 액적 또는 기포 주위의 유동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포집구의 크기가 작아지고 화학적으로 반응성을 갖는 고온의 함진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및 저압에서 운영되는 경우에 누드센수(Knudsen number)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데 이러한 영역을 저 누드센 영역(low Kundsen number regime)이라고 한다(Lee et al., 1978). (중략)

  • PDF

Numerical Analysis of Turbulent Reacting Flow in the Pulverized Coal Combustor (미분탄 연소로내 난류 반응유동장의 수치해석적 연구)

  • 나혜령;이진욱;윤용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05a
    • /
    • pp.57-62
    • /
    • 1998
  • 미분탄 연소로는 산업현장, 특히 화력발전플랜트에서 널리 사용되는 설비로서 국내외의 많은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소로내의 난류유동장과 연소현상 등에 대한 이해 및 이를 설계에 응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연소로내의 복사열전달 특성의 이해를 통한 연소로 크기 결정 및 수순환 해석, 화로출구온도 계산에 의한 대류전열부 설계 등에 적용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중략)

  • PDF

CFD를 이용한 흡수탑 내 유동 균일효과 연구

  • 이춘만;이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6-106
    • /
    • 2004
  • 보일러에서 연소된 후 배출된 가스는 탈황목적으로 설치된 흡수탑 내에 유입되어 Slurry Spray Nozzle에서 분사된 Limestone Slurry에 의해 배기가스중의 SO$_2$를 흡수한 다음 반응조로 떨어지게 되지만 분사된 액적의 일부는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같은 유동 방향으로 미세한 Mist의 형태로 배기가스와 함께 흡수탑의 Outlet Duct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 Mist(액적크기 40 $\mu\textrm{m}$이하)에는 고형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보통 Chloride농도가 높아 탈황설비 후단 (duct, GGH, Stack)에 plugging, 부식 등의 문제를 유발하므로 Spray Header상부에서 Mist Eliminator를 설치하여 Mist를 제거하도록 한다.(중략)

  • PDF

The Operation of a Hot Gas Desulfurization Process with Gasifier (고온건식탈황과 가스화로의 연계실험)

  • 조성호;윤용승;류청걸;박태준;한문희;이창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97-502
    • /
    • 2003
  • 청정석탄이용기술개발의(CCT : Clean Coal Technology) 일환으로 차세대 발전방식으로 유력시되고 있는 기술인 석탄가스화발전기술(IGCC), 석탄가스화 연료전지(IGFC)등에서 고온건식탈황은 필수요소기술이다. 고온건식탈황기술의 핵심기술은 탈황제개발고 공정기술개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탈황제개발은 국내고유 탈황제개발 연구가 진행 중에 있고 유동층과 고속유동층에 적합한 탈황제를 kg단위로 성형하여 공정개발에서 반응특성 실험을 하였다.(중략)

  • PDF

초임계 난류연소 모델링

  • Park, Tae-Seon
    • Journal of the KSME
    • /
    • v.56 no.9
    • /
    • pp.32-37
    • /
    • 2016
  • 초임계 유체의 고유한 물리적 특성변화와 난류유동을 결합하여 성능을 높이는 데 활용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시스템 중의 하나는 연소기이다. 이때 연료와 산화제의 연소반응은 저압조건과 다른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연소모델에 의해서는 정확한 분석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초임계 압력조건에 대한 연소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연소모델이 필요하고 이러한 연소과정이 난류유동조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 많은 연구가 초임계 난류연소모델 개발에 집중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특히 액체로켓엔진 관련 초임계 연소모델 개발 분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Reaction Characteristics of Desulfurization Sorbents for Warm Syngas Cleanup (석탄 합성가스 정제용 탈황제의 흡수/재생 온도 변화에 따른 황흡수 특성)

  • Baek, Jeom-In;Ryu, Jungho;Lee, Joong Beom;Eom, Tae-Hyoung;Lee, Kisun;Wi, Yong-Ho;Ryu, Chong K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7.1-107.1
    • /
    • 2010
  • 고체 흡수제를 이용한 석탄합성가스 중의 황제거 기술은 습식 스크러빙 방식에 비해 고온에서 운전가능하므로 석탄가스화복합발전의 효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고체탈황제는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유동층 반응기를 순환하면서 흡수탑에서는 합성가스 중의 $H_2S$로부터 황을 흡수하고 재생탑에서는 공기 중의 산소와 흡수된 황이 반응하여 $SO_2$를 배출하고 재생된다. 따라서 고체 황 흡수제는 유동층 공정에 응용가능한 물성과 함께 높은 황흡수능과 빠른 반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개발된 고체 탈황제가 가졌던 소성시 수축 현상, 낮은 내마모도 등을 개선하기 위해 지지체 조성을 변경하여 개발한 분무성형 탈황제의 흡수 재생 온도에 따른 황흡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H_2S$ 1 vol. %를 함유한 모사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흡수온도 450, $500^{\circ}C$, 재생온도 500, 550, 600, $650^{\circ}C$에서 황 흡수능을 열중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개발된 흡수제는 유동층 공정 적용에 적합한 훌륭한 물성(형상, 밀도, 강도 등)과 함께 $500^{\circ}C$ 흡수와 $650^{\circ}C$ 재생을 기준으로 10 wt% 이상의 높은 황흡수능을 보여주었다. 흡수온도 변화는 황 흡수능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재생온도가 $600^{\circ}C$ 이하인 경우 황흡수능이 5 wt% 이하로 크게 떨어져 재생온도를 $650^{\circ}C$ 이상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Measurement of Carbon Nanotube Agglomerates Size and Shape in Dilute Phase of a Fluidized Bed (유동층 반응기 희박상 내 탄소나노튜브 응집체의 크기 및 형상 측정)

  • Kim, Sung Wo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5 no.5
    • /
    • pp.646-651
    • /
    • 2017
  • Size and shape of carbon nanotube (CNT) agglomerates in the dilute phase of a bubbling fluidized bed ($0.15m\;i.d{\times}2.6m\;high$) have been determined by the laser sheet technique. Axial solid holdup distribution of the CNT particles showed S curve with dense phase and dilute phase in bubbling fluidization regime. Heywood diameter and Feret diameter of the CNT agglomerates in the dilute phase of bubbling fluidized bed increased with increasing gas velocity. The CNT particle number in the agglomera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gas velocity. Aspect ratio increased and circularity, roundness and solid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gas velocity. A possible mechanism of agglomerates forma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Single-molecule Alkylation of Isoparaffin Using Peroxide Initiator for Making Synthetic Lubricant (합성 윤활유 제조를 위한 퍼옥사이드계 개시제를 이용한 이소파라핀의 단독 알킬레이션)

  • Khadka, Roshan;Lee, Sang-Woo;Kim, Yong-Woon;Ryu, Jae-Wook;Yim, Jin-Heong
    • Polymer(Korea)
    • /
    • v.38 no.4
    • /
    • pp.496-501
    • /
    • 2014
  • Polyalphaolefin (PAO) is a synthetic lubricant that is superior to mineral-based lubricants in terms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ow pour point (PP), and high viscosity index (VI). This paper first reports a novel preparation route for a synthetic lubricant via alkylation of isoparaffins using a peroxide initiator without olefin. Alkylation of three kinds of isoparaffins such as i-$C_{16}$, i-$C_{18}$, and i-$C_{23}$ as well as alkylation of i-$C_{18}$ with 2-pentene using di-tert butyl peroxide initiator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to confirm alkylation reaction from isoparaffins themselves i.e; Single-molecule alkylation. Various properties of each alkylates (VI and PP) were investigated as a synthetic lubricant. Single-molecule alkylation made from i-$C_{16}$ a,nd i-$C_{18}$ showed ultra high VI (>140) and low PP (< $-30^{\circ}C$).

A Sudden Increase in Combustion Pressure of Gas Generator of Ducted Rocket by Thermal Choking (열 질식에 의한 덕티드 로켓 가스 발생기의 연소 압력 상승)

  • Kim, Doyeong;Shin, Kyung-Hoon;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8
    • /
    • pp.684-691
    • /
    • 2015
  • A sudden increase in combustion pressure is observed in the ducted rocket combustion test equipped with pipe shaped and converging nozzle exhaust tub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hysical mechanism of abrupt change in combustion pressure using thermal choking in the exhaust tube. Results confirmed that the thermal choking of the flow inside the exhaust tube was responsible for the sudden increase in combustion pressure. Also, high pressure exponent of solid propellants is critical sensitive to the occurrence of thermal choking exhaust pipe. Additionally, numerical simulation showed that the sudden increase in combustion pressure was less possible in diverging pipe because thermal choking is more reluctant to occur.

Enhanced Diffusion i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Using Pulsating Flow (연료전지 내에서의 왕복유동을 이용한 확산증대 효과에 대한 연구)

  • Hwang, Yong-Sheen;Choi, Jong-Won;Lee, Dae-Young;Kim, Min-Soo;Lee, Dea-Heung;Kim, Seo-Young;Cho, Sung-Ho;Cha, Suk-W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2
    • /
    • pp.185-189
    • /
    • 2010
  • This study considered the feasibility of controlling the air concentration by oscillating flow in fuel cell channels. The fuel cell stack performance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air concentration. If the air concentration is lower than 2.5 times the stoichiometric of the inlet air, the fuel cell stack performance seriously deteriorates because of air starvation. In this respect, optimizing the air concentration is crucially important to maximizing the fuel cell stack performance. In this work, the effects of oscillating actuation were studied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two non-dimensional key parameters related to the frequency and oscillating amplitude. This paper presents how those parameters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t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