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박사교육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Basic Study for the Education Programs of Multi-cultural Family Counselors : Focus Group Interviews of the Multi-cultural Staffs (다문화상담자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다문화 현장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 Kim, Hyuna;Lee, Ja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3
    • /
    • pp.468-4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blems of a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as a support for the families in order to suggest efficient education programs for counselor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used interviews of three focus-groups consisting of 11 experts each other, and then the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by two doctors and one master and investigated by a multi-cultural counselor. As a result, 5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46 definitions were identified. Each five categories wer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effective multi-cultural counseling skill, the qualities of a counselor with multi-cultural attitude and recognition, multi-cultural knowledge factor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t last, implications, practical us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Expert-novice differences of mental representation and problem solving strategy in mechanics problems (물리 문제에 있어서 전문가-초보자 간의 내적표상과 해결방안의 차이)

  • Park, Y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8 no.2
    • /
    • pp.43-52
    • /
    • 1988
  • 과학교육에서의 문제해결력의 강조는 그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인지 심리학에서의 정보처리 모형을 사용한 문제해결과정의 분석이 사용되면서 그 교수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하나의 탐색연구로써 학습자들이 물리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그 문제를 자기나름으로 이해하여 만든 내적표상과 동원한 해결방안이 문제해결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내보려고 한다. 물리전공 박사과정 학생 3명을 전문가로, 고등학생 2명과 대학 1년생 4명, 모두 6명을 초보자로 삼아 역학내용을 다룬 세 문제를 소리내어 푸는 과정을 개인별로 녹음하여 그 문제해결과정들을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사고수준을 알기위해 사고 수준검사가 실시 되었다. 주로 질적 분석을 사용했으나 그 결론을 뒷받침하기위해 비모수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유의수준 . 10)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내적표상은 피험자와 문제에 따라 각각 달랐다. 초보자들은 모두 한가지 표상을 세 문제에 걸쳐 계속 사용한데 반해, 2명의 전문가는 문제에 따라 다른 표상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상의 형태에 따라 문제해결결과가 달랐다. 즉,일-에너지 표상형태를 사용한 피험자가 더 나은 결과를 얻는것으로 나타났다. 2) 문제해결방안에 있어서는 전문가들은 세문제에 걸쳐 계속하여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하였으나 초보자들은 문제에 따라 다른 방안들을 동원하였다.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한 경우가 다른 것들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고 수준검사(하위검사 또는 전체)의 접수와 문제해결과정 변인들-특히 내적표상의 형태, 문제해결방안의 종류, 목표확인 그리고 문제 해결력-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그외 속도와 가속도 개념의 혼동, 마찰력 개념의 부정확 등이 공통적으로 범하는 실수였다. 본 연구가 과학교육 실제에 주는 함의로는 내적표상, 문제해결방안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들 수 있겠으며 이를 위한 세부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n avatar in a virtual world on users' dista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가상현실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한 원격학습이 아바타 사용자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Park, Jung-Hwan;Cheong, Dong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4
    • /
    • pp.1644-16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using users' avatars in virtual reality space on their teaching efficacy belief. There were 9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in a course in doctoral program of education department in J University for the study. The first class of six sessions was face to face class on how to use Second Life and the 14 classes of 3 sessions were done in a classroom of Second Lif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flection notes, interviews, researcher's observations of 5 participants, their experiences of presentation and taking classes in distance education using their own avatars in Second Life had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belief in their future working for distance education using avatars of Second Lif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how some conditions for successful distance education as well as to see the potential of distance education in 3D virtual reality space using avata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mote the future study in distance education field.

Kindergarten teachers' needs for educational practice supervisors :Focusing on field teachers who experienced supervision (교육실습 수퍼바이저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요구 :수퍼바이징을 경험한 현장 교사 중심으로)

  • Park, Ji-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8
    • /
    • pp.5240-5249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upervisors' qualification and roles and to analyze the possible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supervision for the efficient educational practice aid. 6 field teachers who experienced educational practice aid,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from April to May 2015.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5 field career and PhD qualification were needed for supervisors. Also, supervisors were expected to be 'relationship-oriented counselors' who were comfortable and tried to keep secrets. The participants felt the needs for a policy of educational practice aid, supervising and for this, financial matter and clear role description should be solved out.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 Education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창업교육의 매개효과)

  • Yoon, Byeong seon;Kim, Chun Kyu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3
    • /
    • pp.207-221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innovation, risk-taking, and enterprising on entrepreneurship. From 2013 to 2020, 392 papers, which were judged as quantitative research from doctoral and master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28 duplicates of thesis and thesis are excluded. A total of 52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excluding 312 papers that were insufficient to be used as research data because there were no statistical values such a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52 selected papers, the homogeneity of the variables was first verified. As a result of the homogeneity test, the innovativeness, risk-taking, initiativ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l showed great effects on heterogeneity,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analyzed by random effect model. The average effect size analyzed was 0.38 ~ 0.49, and all four variables showed moderate average effect siz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effect size by forest plot, all showed proper results. From the results of funnel plot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ublished errors were confirmed asymmetric. Research data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ws that it cannot represent the whole. It 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parameter. Iinnovation and risk-taking have an impact on entrepreneurship by tak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 parameter. Initiative had an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 business, regardl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 number of studies,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had an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should be changed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at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continuous and field-oriented education.

A Study of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Nursing; Predicting the Future of Nursing Education in the U.S. (계층분석과정의 간호적용에 관한 연구 -미국의 미래 간호교육의 예견-)

  • Han, Kyung-Ah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6 no.1
    • /
    • pp.89-104
    • /
    • 1986
  • 복잡한 사회문제해결에 유용한 접근방법의 하나인 계층분석과정은 수학자인 사티(Saaty)가 개발한 것으로서 이미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계층분석과정을 간호교육과 관련된 문제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 방법이 실제 문제해결을 위한 유용한 접근방법이 될 수 있는가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현대사회문제들은 다양한 관련요소, 그 요소들간이나 다른 문제들과의 복잡한 상호관계, 다수의 의사결정자의 참여, 무한한 대안, 문제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하여 단순한 모델이나 간단한 논리적 혹은 직관적인 판단에 준하여 일시에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문제와 관련된 요소들을 찾아내고 그 요소들을 계층적으로 분석하여 단계적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계층분석과정을 활용함으로써 사회과학분야의 문제해결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문제와 관련된 요소를 규명하고 계층적으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그 문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 분석 및 현상의 흐름을 더 잘 인해하게 된다. 계층분석과정은 1) 계층구조의 설정 2) 구성요소들의 중요도 측정 3) 중요도에 따른 우선 순위의 산정 4) 우선 순위의 일관성 검토과정으로 요약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미국 간호계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온 기본교육제도상의 쟁점(Issue of Entry into Practice)에 대한 문제 해결책이 마련되는지를 시도하였다. 즉, 기본교육 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계층화하고 계층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들의 수평적 관계와 계층간의 수직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간호교육의 미래를 예측해 보았다. 간호교육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요인들의 계층화는 거시적 환경차원(factors), 관련 이해자 집단차원(actors), 이해자 집단의 목표차원(objectives), 목표달성을 위한 정책차원(Policies), 그리고 간호교육제도의 미래를 예견한 시나리오(scenario)로 이루어졌다. 각 계층을 따라 단계적으로 중요도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각 시나리오의 우선순위 중요도(priority weight)를 구하였다. 각 시나리오의 우선순위 중요도를 간호교육과 관련된 4가지 차원들(학생, 교수, 교육기관, 직업)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들에 가중하여 결과를 해석 하였다. 간호교육의 미래에 정치적(55%)과 경제적(25%) 요인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관련자중에서는 병원(38%) 의사(33%) 그리고 정부(23%)의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의외로 간호원 자신들은 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보여졌다. 4개의 시나리오 중에서는 그 우선순위 중요도가 현상유지(33%) 자발적4년제(32%), 강제 4년제(19%), 그리고 2~3년제의 우위(18%)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 시나리오 결과를 요약하면 1) 전체 학생수는 감소하나 양질의 간호학생수는 증가하며 2) 박사학위를 소지한 간호학 교수 및 전체 교수의 수가 증가할 것이다. 3) 전체 간호교육기여의 수는 약간 줄 것이며 그중 4년제 기관이 증가하고 반면에 2~3년제의 기관은 감소할 것이다. 4) 전문간호원이 되기 위한 입학용이도에는 별차이가 없겠으나 간호원들의 보수, 지위 및 자율성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간호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계층분석과정의 적용으로 미국 간호교육계의 가까운 미래를 위와 같이 예견하여 보았으나 이 과정은 예견 뿐 만 아니라 일반적인 의사결정이나 문제 해결의 도구이외에도 복잡한 사회문제의 본질을 분석, 이해함으로써 보다 정화한 정책문제를 규정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applying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and STA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focusing on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중학교 기술·가정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인성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Park, Da On;Yu, Nan Sook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0 no.3
    • /
    • pp.91-109
    • /
    • 2018
  •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plans applying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and STA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focusing on the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t the analysis stage, relevant literature,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from 12 textbooks published by 12 publishers were analyzed. Second, at the design stage, teaching-learning plans, teaching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applying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and STA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were designed to increase the interest degree of the learner and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at the development stage, a total of 8 classes of teaching-learning plan was developed. In the evaluation stage, the primary and secondary validity evaluation procedures were done by Home Economics education professors and Home Economics teachers. Teaching-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feedback from the first validity evaluation. As a result of secondary validity evalu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ing-learning plans and learning activity sheets developed in this research are reasonable and suitable for improving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se teaching materials applying STAD and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will be utilized as a helpful source for curriculum developers and in-service teachers.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Publication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 2003-2012 (한국 영재교육 연구의 현황 및 성과: 2003-2012)

  • Lee, Sang Hee;Choi, Sun Ill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6
    • /
    • pp.881-90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dissertations and research reports,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trends and milestones achieved related to gifted education. The period from 2003 to 2012, from which the data for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llected, marks the ten-year period proposed by the Gifted Education Development Comprehensive Plan II and I.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arch of the keyword "gifted" on Academic Naver and on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Results showed 1,696 articles from 182 academic journals, 138 doctoral dissertations, 1,470 masters' dissertations, and 798 research reports from 75 institutions. For analysis, each article was classified by target of study, kind of giftedness, subject of study, and methods used for the study. Results from this literature review demonstrated that from 2003 to 2012, the articles from the 182 academic journals and the doctoral and masters' dissertations used quantitative research to analyz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gifted in math and science as well as the curriculum and programs of their study. This paper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within the country.

과학영재들의 노벨상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심규철;박종석;박상태;변두원;김여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7-169
    • /
    • 2003
  • 과학영재 교육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영재들의 특성, 과학영재의 판별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학영재들의 과학, 과학자,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등 여러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해야 한다. 과학영재교육의 중요한 점 중 하나는 우리가 교육하는 과학영재들이 성장해서 그들의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는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국가의 발전은 뛰어난 영재들이 기여를 하였으며 그 업적을 통해 국제경쟁 사회를 선도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영재 교육의 성공 기준 중 하나로 노벨상 수상을 기대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노벨상만을 목표로 하는 것은 과학영재교육이 왜곡될 수 있으나, 과학영재교육을 통해서 과학 분야에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로부터 과학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을 것이다. 2002년 노벨 과학상에서 일본은 물리학과 화학 두 분야에서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특히 노벨 화학상을 받은 다나카 고이치는 박사학위도 없는 40대의 평범한 회사원이었다. 그는 일본 과학계를 장악하고 있는 유명 국립대학의 교수도 아니고, 수상 발표 뒤 대부분의 일본 화학자들이 누군지 몰라 당황했을 정도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다. 이러한 사건은 일본인들에게 희망을 안겨주었으며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관심과 투자에 대한 인식에 있어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노벨상 자체가 국가정책의 목표가 될 수는 없지만, 과학자나 국민 개개인들에게 희망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시점에서 우리들은 아주 오랫동안 방관자가 되어 왔다. 이제 여러 과학영재교육기관 등을 통해서 과학영재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한다면 조만간 상황이 바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택한 이유는 첫 번째가 사회 봉사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생활의 안정을 꼽고 있었다. 이외에도 과학적 업적 달성을 위해, 자신의 꿈(이상) 실현을 위해 등의 이유를 들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남자 영재와 여자 영재들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거의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earson $X^2$=2.186, p>0.05). 우수한 능력을 소유한 영재들이 과학관련 분야를 선호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과학 발전은 그리 낙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영재들을 과학 관련 분야로 이끌어 그들이 소유한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일 것이다. 이룰 위해서는 과학 영재들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더욱 높여야 하며 그 능력을 과학관련 분야에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노력이 필요하다.~42.1mg$CO_2$/kg.hr였으며 12$^{\circ}C$에서 2.5~8.2mg$CO_2$/kg.hr로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토마토 호흡속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다.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luco-pyranoside, quercetin 7-O- -glucopyranoside, acacetin 7-O-$\beta$-D-glucuronide and apigenin-6-C-$\beta$

  • PDF

Trends of Doctoral Dissertations of One College of Nursing in Korea (일 간호대학 박사학위논문의 분석을 통한 간호학 연구의 경향)

  • Choe, Myoung-Ae;Hong, Kyung-Ja;Han, Kyung-Ja;Park, Young-Sook;Park, Sung-Ae;Hah, Yang-Sook;Kim, Keum-Soon;Yun, Soon-Nyung;Song, Mi-Soon;Yi, Myung-Sun;Lee, In-Sook;Park, Hyeoun-Ae;ChoiKwon, S-Mi;Chung, Chae-Weon;Park, Yeon-Hwan;Chang, Hee-Ky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
    • v.15 no.1
    • /
    • pp.32-43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 of nursing research by analyzing the doctoral dissertations in one college of nursing in Korea. Method: The areas of research,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ories used in the research were explored in all doctoral dissertations (n=120) published from 1989 to 2006. Result: Mainly "Nursing" has been studied (44.9%) among four meta-paradigms of nursing science. The "client" domain (46.7%) and the "practice" domain (41.7%)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in type of nursing knowledge.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was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40.8%) in quantitative research. Almost all (94.7%) of the qualitative dissertation studies were to explore phenomena in the nursing field. Almost half of the dissertations (43.9%) were an experimental design, 34.7% were a model construction, and 15.8% were a qualitative design. The majority of dissertations (83.3%) were to apply the specific theory and almost half (43.8%) studied borrowed theories from other field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rigorous and various research designs such a longitudinal design, 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this will lead to expanding the body of nursing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