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박리발생

검색결과 621건 처리시간 0.024초

등이축인장 모드 변형시 알루미늄 포일 접착강판의 박리한계 예측 (Delamination Limit of Aluminum Foil-Laminated Sheet During Stretch Forming)

  • 이찬주;손영기;이정민;이선봉;변상덕;김병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4호
    • /
    • pp.413-420
    • /
    • 2012
  • 알루미늄 포일 접착강판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포일을 드로잉용 GI 강판 위에 접착시킨 강판이다. 알루미늄 포일의 박리현상은 알루미늄 포일 강판의 주된 성형불량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전제품의 외관에 활용되는 알루미늄 포일 접착강판의 박리한계를 규명하였다. 알루미늄 포일 접착강판의 박리는 알루미늄 포일과 강판의 접착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알루미늄 접착강판의 박리와 접착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CZM 을 활용하여 알루미늄 포일 접착강판의 계면접착력에 따른 알루미늄 포일 박리변형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박리발생의 주원인은 강판의 변형 중 접착계면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에 의해 박리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알루미늄 포일 접착강판의 계면접착력을 측정하여 강판의 등이축인장모드인 스트레치 변형에 따른 박리가 발생하는 한계변형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알루미늄 포일 접착강판의 박리 한계는 에릭슨 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박리를 고려한 지하박스구조물의 화재하중해석 I : 박리해석 (Fire Loading Analysis of Underground Box Structure with Considering of Concrete Spalling I : Spalling Analysis)

  • 이계희;최익창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77-48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전력구나 공동구와 같은 지하 콘크리트박스구조물의 화재발생시 온도분포와 박리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온도장은 터널화재에 사용하는 화재곡선을 기본으로 하고 화재시 내부공간에 대한 열유체해석을 수행하여 온도분포를 결정하였다. 박리거동은 탈수화도를 따라 콘크리트의 온도가 기준값에 도달하였을때 발생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때 박리가 일어난 요소를 제거하고 경계조건과 요소망을 재생성하여 해석을 반복수행하였다. 3개의 화재 시나리오에 따라 해석을 수행하였고, 해석결과는 각 시나리오별로 타당한 박리거동을 보여주었다. 각 시나리오에 따른 구조물의 내하력은 본 논문의 2편에서 산정되었다.

공동효과에 의한 NACA0018의 공력특성변화 연구

  • 박온유;이예린;김왕현;정현석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5회(2016년)
    • /
    • pp.571-575
    • /
    • 2016
  • 두꺼운 에어포일은 받음각이 클 때 역압력 구배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날개의 중앙부 후방에서 유동박리(Flow separation)와 와류 진동(Vortex shedding)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항공기가 이 착륙할 때 받음각이 커짐에 따라 유동박리에 의한 실속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지연 시켜 실속각을 크게 하면 안전성이나 효율 면에서 유리하다. 이를 위해 날개에 Hole을 만들어 와류를 잡아 유동의 박리를 지연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DISON_CFD 시스템의 2D_Incomp_P 솔버를 사용하여 NACA0018 에어포일의 윗면에 다른 위치의 Hole이 있을 때와 크기가 다른 Hole이 있을 때의 실속각이 가장 커지는 경우를 찾아보았다. Hole의 위치와 반지름 크기를 변화시켰을 때 각각의 최대 양력 계수를 비교하여 실속각의 증가와 Streamline을 그려 유동박리가 지연됨을 확인하였다.

  • PDF

관상 동맥 우회술 중 발생한 대동맥 박리증 -1예 보고- (Aortic Dissection during th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 case report-)

  • 박지권;양주민;김영학;강정호;정원상;김경수;신진호;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0호
    • /
    • pp.865-867
    • /
    • 2004
  • 관상 동맥 우회술 중 발생되는 수술 중 대동맥 박리증은 매우 드물며 높은 유병률 및 사망률을 가진 치명적인 질환이다. 이 질환의 예후는 신속한 진단 및 응급 처치에 좌우된다. 72세 여자 환자에서 관상 동맥 우회술 중 발생한 수술 중 급성 대동맥 박리증에 대해 인조 혈관을 이용한 상행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과팽창 노즐에서 발생하는 충격파 박리 패턴의 천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al Shock Separation Patterns in an Over-Expanded Nozzle)

  • 이종성;;김희동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15
    • /
    • 2010
  • 과팽창 로켓노즐에서 발생하는 충격파 박리패턴의 천이 유동장을 예측하기 위해 축대칭 수치해석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정상, 압축성 N-S 방정식에 k-$\omega$ SST 난류모델을 적용하여, 유한 체적법으로 계산하였다. 종래의 실험적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계산된 결과와 정성적으로 잘 일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RSS에서 FSS로 천이할 때 가장 큰 횡력이 발생하며, 이는 비점성 제트 코어 영역에서 발생하는 Vortex ring의 발달로 기인됨을 예측하였다. 또한 엔진 시동과정과 정지과정에서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잘 모사하였다.

보일러 부산 애쉬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박리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Anti-Stripping Performance in Asphalt Concrete using Byproduct Ash produced from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 김유석;김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319-325
    • /
    • 2018
  • 최근 집중호우, 잦은 강설 등 이상기후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포트홀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포트홀은 교통사고와 직결되는 파손형태로 인명피해, 차량 및 도로시설물 파손 등의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포트홀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박리방지제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소석회를 박리방지제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가동시 발생하는 보일러 부산 애쉬를 박리방지제로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보일러 부산 애쉬를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중량의 1~3% 혼합한 결과 TSR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품질변동을 감안하여 골재, 혼합물 등 다양한 조건의 보일러 부산 애쉬를 검토하였으며 실험결과 TSR 평균 0.87, 동적수침 후 피복률 60% 이상으로 안정적으로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보일러 부산 애쉬는 안정적으로 박리방지제 성능을 발현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포트홀 발생 저감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스테인레스강 육성용접경계부의 수소취화 거동과 박리균열 (Disbonding in aspect of the behavior of hydrogen embrittlement)

  • 이영호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8권1호
    • /
    • pp.2-11
    • /
    • 1990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용접육성한 강판의 박리균열의 원인에 대하여 강중의 수소거동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강중의 수소온도 분포를 추정하는데는 확산 방정식을 기초로하여 수치해석이 유력하며 그 기초적사항에 대해 제문헌을 인용하여 설명했으며, 또 시험편에 대하여 계산과 실험치의 결과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이들로부터 박리균열의 발생에 대한 미시적 임계조건을 도출하여, 이들이 한정된 실험의 범위내이지만 실증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박리균열의 원인의 하나인 잔류응력에 대해서는 아직 불명한 점이 많으나, 냉각속도에 따라 변화하며 그것이 수소농도라고 하는 관점에서 미시적 임계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전신적 스테로이드 사용 중 발생한 열공성 망막박리 1례 (A Case of Rhe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during Systemic Corticosteroid Therapy)

  • 김주예;김지현;조병수;유승영;곽형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2호
    • /
    • pp.210-212
    • /
    • 2001
  • 망막박리증은 소아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나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환아에서 장액성 망막박리가 발생한 경우가 국내외에서 종종 보고되고 있다. 신증후군으로 전신적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던 환아에서 양안에 열공성 망막박리가 발생하여 우안에는 레이저 치료를 좌안에는 공막돌륭술을 시행하였던 1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중년 부인에 발생한 자발성 벽내성 식도 박리 -치험 1예- (Spontaneous Intramural Esophageal Dissection Occurred in Middle Aged Woman -One Case Experience -)

  • 변정훈;조성호;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7호
    • /
    • pp.569-571
    • /
    • 2006
  • 자발성 벽내성 식도 박리는 드문 질환으로, 주로 $70{\sim}80$대 여성 노인층에 발생하며, 갑작스런 흉통과 연하장애를 증상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정되는 발생기전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현재까지 확립된 것은 없다. 진단은 식도 조영술과 식도 내시경으로 가능하며 다른 흉통을 일으키는 질환과의 감별 진단을 요한다.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합병증 없이 증세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체험한 중년 여성에 발생한 자발성 식도 벽내성 박리 1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복합지형상에서 비정상 박리흐름에 의한 확산 (Dispersion in the Unsteady Separated Flow Past Complex Geometries)

  • 류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12-527
    • /
    • 2001
  • 복합지형을 지나는 박리흐름(separated flows)들이 와도 이론에 의해 모델링 되었다. 흐름은 비회전성 및 비점성으로 가정하였으며, 선형 시어흐름에 대한 유선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새로운 기법이 기술되었다. 지형지물의 형태로는 snow cornice과 backward-facing step을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지형지물의 후미에는 유체의 박리현상과 역류현상(reattachment)이 생긴다. 유체의 박리현상이 지형지물의 가장자리에 발생되게 하기 위해 점 와도를 흐름에 발생시켰고, 지형지물의 가장자리에 있는 뾰족한 부분을 완화하고 최대곡률 부근에서의 섭동운동에 중요한 박리흐름 발생지점의 구속조건을 없애기 위해 conformal mapping을 수정하였다. 와도 발생지점에서 와도를 평형으로부터 이동시키거나, 또는 임의의 섭동을 초기흐름에 가하는 방식으로 섭동을 가하여 비정상흐름을 발생시켰다. 박리지점의 풍상측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고, 또한 bubble의 이차순환에 의해 변형된 물질의 궤적들이 수치적으로 적분되었으며, 시간에 대한 농도누적이 역류지점의 풍하측 고정된 지점에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델은 방출물질의 확산형태와 간헐성을 제대로 다룰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산적인 방법에 의한 다중-와도모델 및 수치모델의 결과들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박리 및 역류현상이 있는 유체의 흐름 속에 순환하는 bubble들의 비정상상태(unsteadiness)는 풍하측에서 대규모의 고농도 누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