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닥의 개폐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사석 바닥보호공 재료 입경 결정을 위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Determination of the Material Diameter of Riprap Bed Protection Structure)

  • 이동섭;여홍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36-1039
    • /
    • 2005
  • 하상유지시설의 하류에 설치되는 바닥보호공은 국내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석(riprap)이나 돌망태(gabion mattress) 등을 이용하여 시공되고 있으며, 바닥보호공에 사용되는 재료는 유속에 따라 적절한 입경의 재료를 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1970년대 중반부터 적절한 하상보호공 재료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는 사석, 돌망태, 콘크리트 보호 블록 등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초기 연구는 주로 사석에 대해서 이루어졌으며, 중량과 유속 관계를 이용하여 사석 입경 결정 공식을 제안하였으며, 점차 수심 및 하상 경사, 난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재료 입경 결정 공식을 정밀화시켜왔다. 공식에 난류 강도를 고려하기 시작하면서, 단순한 하상보호공 재료를 결정하기 위해서 제안되었던 공식들은 하천 구조물 하류에 설치되는 바닥보호공으로 관심의 대상이 옮겨가기 시작하였다. 기존의 공식들이 일반적인 평탄한 하상보호공으로부터 구조물 하류의 바닥보호공 까지 그 적용이 확장되었던 반면에, Escarameia와 May는 연구의 대상을 수리구조물 하류의 강한 난류 흐름이 발생하는 구간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Izbash 형태의 식을 기초로 하여, 난류 강도가 주요 변수가 되는 입경 결정 공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scarameia와 May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국내 하상유지시설 하류에 설치되는 사석 바닥보호공 재료의 입경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천설계기준을 만족하는 실험용 보를 설치한 후 유량 및 실험에 사용된 사석의 입경을 변화시키면서, 유속을 측정하여, 입경별 한계 유속(threshold velocity)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Escarameia와 May가 제안한 공식을 더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험 공식으로 개선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HSP 환자군에서도

  • PDF

바닥복사 난방시스템의 개폐식 제어에 대한 GRNN 적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RNN for On-Off Control in Floor Radiant Heating System)

  • 송재엽;안병천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6-23
    • /
    • 2020
  • In this study, the contro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control methods on heating performance and energy consumption for the hot water floor radiant heating control system of a residential apartment were research by experiment. As a control method, On-Off control and outdoor reset control methods with GRNN(General Regression Neural Network) and without GRNN are considered. Also, the control performances with regard to improvement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are compared, respectively.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 method with GRNN is bet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on-off control method without GRNN in the responses of room set temperature and energy saving.

막 구조 내부의 담수와 염수의 혼합 (Mixing of Freshwater with Seawater inside Boom and Skirt System)

  • 오영민;정신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299-306
    • /
    • 2000
  • 우리 나라는 21세기에 물 부족이 예상되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 정부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히 댐을 건설하는 방법 이외에 여러 가지 대안을 마련하고 있는데 막 구조물을 이용한 담수저장기술은 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서남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해 염수가 하천 상류로 깊숙이 침입하기 때문에 하류에서는 농공업용수를 위한 취수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수역에서 담수와 염수를 분리할 수 만 있다면 용수문제 해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하여 염수와 담수를 분리하는 방안을 수립하였는데 담수저장효율은 막의 길이 및 바닥의 개폐 정도에 좌우되었다. 막이 길면 바닥의 유속이 빨라져 혼합이 활발하고 반면에 너무 짧으면 저장량이 너무 작아서 효용성이 없으므로 적절한 길이의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바닥은 많이 닫힐수록 담수저장효율이 좋으나 막의 길이가 너무 짧거나 긴 경우에는 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온실의 보온 및 냉난방실태 분석 (The Actual State of Heat Conservation, Heating and Cooling in Greenhouses)

  • 김문기;이석건;서원명;남상운;김란숙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39-44
    • /
    • 1998
  • 현재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현대화 온실 203개를 대상으로 냉난방과 관련된 설비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ircled1 온실의 건설방위는 남북동(58.1%)과 동서동(26.8%)이 대부분이었고, 철골온실은 Wide-span형이 81.8%, 플라스틱온실은 1-2W형 온실이 97.5%였다. 휴작하는 온실은 약 41%정도였고, 재배작물은 채소류가 약 80%, 화훼류가 약 20%정도였으며, 재배방식은 철골온실의 경우 양액재배가 57.2%, 플라스틱온실에서는 토양재배가 88.5%였다. \circled2 온실의 외부 피복재는 철골온실은 유리가 92.2%, 플라스틱온실에서는 PE가 43.3%, EVA가 51.9%로 대부분이었다. 철골온실은 1중피복이 98.7%로 거의 전부이었고, 플라스틱온실에서는 2중피복이 78.7%로 나타나, 철골온실에서 보온커튼을 통한 보온성 향상과 밀폐성이 더욱 중요함을 알 수 있다. \circled3 보온용 피복재는 부직포가 64.9%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 2층커튼(85.9%)이었으며, 개폐방식은 대부분 예인식(92.7%)의 자동개폐방식(75.2%)이었다. 한편 바닥을 피복한 온실은 약 30% 정도로 나타나, 바닥피복으로 인한 축열이나 반사효과를 감안할 때 효율적인 바닥처리가 요망된다. \circled4 온실의 난방방식은 철골온실에서는 온수안방(47.3%)이 온풍난방(33.8%)보다 다소 많았으며, 플라스틱온실에서는 대부분 온풍난방(90.8%)이었다. 온실의 난방위치는 대부분 지상난방(89.8%)이었고 지중난방은 극소수로 나타나, 앞으로 지중난방을 통한 난방비 절감과 품질향상에 관한 실용화 연구가 요망된다. 난방용 연료는 대부분 경유(83.9%)로 나타나,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저가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난방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된다. \circled5 온실의 냉방방법은 차광(51.8%)과 지붕살수(33.9%)가 대부분이었으며 미스트와 포그시스템을 설치한 온실은 소수에 불과하였고, 극소수의 온실에서는 지붕위나 온실내에 지붕면과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도 있었다.

  • PDF

바닥난방 시스템의 열환경 개선을 위한 제어방안 연구 (A Study on Thermal Heating Control Performance of Automatic Thermostatic Valves in Floor Radiant Heating System)

  • 송재엽;안병천;김경철;장사윤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73-978
    • /
    • 2009
  • In this study, the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On-Off control and thermal difference proportional control method in floor radiant heating system were researched by computer simulation. For the analysis of unsteady heat transfer phenomena in household, the method of using electrical equivalent R-C circuit is applied, and radiation heat transfer between panel, ceiling and walls in household is calculated by enclosure analysis method. The parametric study on two control methods, conventional on-off control and temperature error based time control(T.E.B.T.C.) method, are performed to compare thermal heating control performances, respectively.

  • PDF

바닥복사 난방공간의 효율적인 난방제어방법 (The Effective Heating Control Method of the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 조성환;태춘섭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17-329
    • /
    • 1996
  • By describing the floor slab of a radiant heating system as a one dimensional transient heat exchanger problem, a dynamic analysis model to incorperate with TRNSYS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ir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both of TPOC(Two Parameter On-off Control) and TPSC(Two Parameter Switching Control) method using room air temperature and floor surface temperature as the control parameters does not maintain room air and floor surface temperature exactly at the setting temperatures. But TPSC method is a better candidate for the temperature regulations of room air and floor surface temperature than TPOC method which can keep on the upper and lower limit temperature according to outside temeperature and wall structure etc. And better thermal circumstance can be given by TPSC method than On-off and TPOC method and the overheating which can be occured at the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with on-off heating control will be reduced.

  • PDF

온돌을 이용한 바닥복사냉방의 제어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ntrol Performance of Radiant Floor Cooling Using Ondol)

  • 김용이;임재한;한여명;김광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3권11호
    • /
    • pp.1165-1173
    • /
    • 200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radiant floor cooling and to evaluate the control methods through experiments when the radiant heating system is used for cooling. Through the experiment analysis the control methods such as on/off control, variable flow control and outdoor reset with indoor temperature feedback control are evaluated and compared. The cooling curve (reset ratio) is found for radiant cooling, which shows tole relation between outside air temperature and supply water temperature. Comparison of cooling methods shows that outdoor reset with indoor temperature feedback control is more appropriate than on/off control and variable flow control with regard to prevention of the condensation and thermal comfort.

  • PDF

초등학교 교실의 음환경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f Room Acoustics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문규천;박계균;연철호;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293-296
    • /
    • 2001
  •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실은 열린교육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열린교실을 표방하고 진행되고 있다. 또한 건축설계에 있어서도 과거의 종합 표준설계에 의하지 않고 각 학교마다 별도의 건축설계에 따라 지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초등학교 교서의 차음환경을 조사하고 새로이 지어진 교사의 교실과 열린교실의 실내 음환경을 조사하여 현재 상황을 분석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축시공연대가 다른 초등학교 3개 학교를 선택하여 단위교실에서의 실내음향인자(RT60, C80, D50, RASTI)와 인접교실과의 차음성능(TL)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교실의 학생과 교사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은 외부와 복도에 인접한 창문의 개폐여부와 실내의 위치별로 이루어 졌다. 실험결과, 열린교육에 따라 가변적 교실의 구성은 기존의 교실보다 차음성능이 평균$5\sim6dB$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축교사의 RASTI값(0.73)이 10년 이상 된 학교(0.70)나 열린교실(0.6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명료도(D50) 역시 일반 신축교사가 열린교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실의 기밀과 내부바닥의 마감자재로 비롯되었으며 최근의 열린교실은 음의 차음과 실내명료도에서 열악한 것으로 결론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PASSENGER SAFETY BOARD FOR RAILWAY VEHICLE USE

  • Mun Hyung-Suk;Eum Ki-Young;Koo Dong-Hoe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I)
    • /
    • pp.287-294
    • /
    • 2003
  • 본 논문은 철도차량의 출입문과 역사의 플랫홈 사이에서 승객의 승하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입문의 개폐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되는 안전발판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동력과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오작동 없이 정확하게 동작되도록 한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의 플랫홈과 철도차량 간에는 열차의 원활한 안전주행을 위해 일정한 간격(이하 "연단간격"이라 함)이 유지된다. 이러한 연단간격은 가능한 한 좁게 형성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러기 위해서는 역사를 직선으로 건설해야 하지만, 통상 지하철은 도심의 인구집중지역의 기존 대로를 따라 노선이 결정되어 공사가 이루어지므로 도시가스배관, 도로주변의 고층대형건물, 기존도로의 형상 및 지하수와 같은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많은 역사들이 곡선부분을 포함하여 건설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철도차량과 플랫홈 간의 연단간격이 크게 벌어지는 구간이 형성되어 짧은 정차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승하차하면서 연단간격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단간격이 커짐에 따른 사고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연단간격이 큰 부분에 경고등을 설치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보장치는 차량이 지정된 궤도로 진입하면, 경고등에서 빛을 발산하여 차량과 플랫홈 사이의 공간에 대한 위험성을 승객에게 주의시키면서 경보나 안내방송이 나오게 하고, 차량이 역사를 출발하여 궤도를 지나면 그 작동이 멈추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보장치는 위험성을 승객에게 알려 승객 스스로가 위험에 대처하도록 하는 주의정보제공의 기능만을 가지는 장치로서, 바쁜 출퇴근 시간이나 혼잡한 상황에서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고, 특히 위험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나 노약자에게는 위험성이 그대로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경전철이 있는 나라에서는 경전철용 차량에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계단식 발판을 설치하는 차량용 발판이 제공되어 있으나, 국내 지하철에 적용하기에는 차체 및 역사의 구조상 불가능하였다. 차량의 바닥이 플랫홈과 거의 동일 레벨상에 위치하므로 안전발판이 차량의 바닥과 수평이 되도록 작동되어야 하고, 차량에 있어서도 스테인레스 차량인 경우 사이드 빔(Side beam), 알루미늄 차량인 경우 솔바(Sole bar)에 구멍을 뚫으면 전체적인 차체의 강도 및 구조상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이전에 개발된 국내외 안전발판장치를 소개하고 연단간격과, 차량 플랫홈의 높이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안전발판장치를 해결책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전동차 출입문에 에어커튼 설치시 객실 온도 변화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Passenger Coach temperature When Aircurtains Installed At Electrical Rolling Stock At Entrance Door)

  • 안종곤;김철호;박덕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9-496
    • /
    • 2004
  • 전동차 출입문에 에어 커튼을 설치시 객실의 냉난방 효과에는 외부의 찬공기나 더운 공기를 차단하고 외부로부터의 먼지, 배기가스, 냄새, 연기 등의 침입을 방지함으로 위생에 좋으며 항상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를 유지하며, 객실내의 온도 분포가 균일함으로써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냉방시의 냉기 난방시의 온기, 손실을 줄여 냉. 난방 유지비를 대폭 절감 할 수 있으며, (약 86$\%$) 설치 전보다 승객의 출입에 쾌적함을 주며 경영주에게는 경비 절감을 위한 필수품이 되며 예산 절감에 효과가 있다. 출입문 부근의 승객에게도 출입문의 개폐시 냉온의 온도 변동이 없어 승객에게 쾌적감을 느끼게 하며, 객실 온도는 출입문을 열거나 닫을 때 온도 차이가 있다. 연구의 주목적은 외풍 문제에 관계없는 만족스러운 열환경 상태를 유지하는데 있으며 전동차 출입문에 에어 커튼을 설치했을 때 온도의 변화 도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온도는 객실 바닥에서 0.1 0.5 1.3 1.7m 높이에서 측정하였으며 온도 병화의 원인은 외풍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