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다목장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나의 주장 - 꿈의 바다목장

  • Myeong, Jeong-G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2 s.369
    • /
    • pp.16-17
    • /
    • 2000
  • 바다의 자원고갈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져 21세기 국내 수산물 수급에 차질을 예고하고 있다. 20여년 전만 해도 꿈으로나 그려보던 바다목장이나 해양목장개발이 절실해졌다. 바다목장연구는 해양수산부 용역사업으로 환경관리개선, 어장조성기술, 자원증대기술, 바다목장의 어용관리분야 등 4개 분야로 나누어 1998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6년계획으로 추진하게 된다.

  • PDF

바다목장 개발현황 지역발전

  • An, Hui-Do
    • 어항어장
    • /
    • s.76
    • /
    • pp.30-35
    • /
    • 2006
  • 우리나라도 1970년대부터 연안의 수산자원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어초 시설 사업과 수산종묘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므로 우리나라 연안자원을 적극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바다목장 사업이 필요하다.

  • PDF

자연산 및 양식산 조피볼락 치어의 영양학적 특성 비교

  • 이해영;박민우;전임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2-273
    • /
    • 2000
  • 수산자원의 남획, 연안오염의 증대와 간척ㆍ매립에 의한 연안어장의 축소 등의 요인에 의해 수산자원은 감소하고 있는 실정으로, 보다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연안어장의 관리 방법으로 바다목장화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게 되었다. 바다목장화에 의한 연안의 수산자원증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방류종묘의 종류와 방류량이 증가하였으나, 방류 종묘의 품질과 방류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이와 관련하여 바다목장화에 대한 연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중략)

  • PDF

말 쥐치의 청각능력

  • 서익조;김성호;이창헌;양용수;서두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49-50
    • /
    • 2002
  • 최근 국제해양법의 발효와 더불어 배타적 경제수역의 설정으로 날로 황폐화해져 가는 연안어장을 살리고 어장 생산성을 높여 나가는 연안 자원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연안 어족자원관리를 위해서는 바다목장 조성을 통한 길러서 잡는 어업의 실현이 요구된다. 어류가 들을 수 있는 수중가청음은 어군의 행동을 제어하는 방법과 바다목장에서 음향순치 기술로 많이 응용되고 있다. 수중가청음에 의한 어류의 반응을 해석 하기 위해서는 물고기의 청각능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상성 1991). (중략)

  • PDF

통영 인근 바다목장 개발 해역내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 구조

  • 박흥식;김종만;홍재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95-395
    • /
    • 2000
  • 저서동물 군집조사는 먹이사슬이나 먹이망 등 해양생태계의 역학관계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며, 환경 변화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거나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조사방법이라고 본다. 바다목장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질기저 저서생불군집의 특징을 파악하여 생태계의 구조와 물질순환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 조사는 저서환경에 대한 자료 축적 및 생태계 변동에 대한 감시 차원에서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Spatio-temporal Variability and Size Fractionation of Chlorophyll a in the Jeju Marine Ranching Area(JMR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ignification of Nanoplankton (제주 바다목장 해역 크기별 엽록소 a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과 미소플랑크톤의 중요성)

  • Yoon, Yang 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0
    • /
    • pp.6388-6398
    • /
    • 2014
  • To understand size fractioned chlorophyll a and material cycle characteristics in Jeju marine ranching area (JMRA), 4 times of survey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November 2008. Picoplankton on the surface in JMRA was on average, $0.30{\mu}g/L$(annual mean(M):17.3%) in the $0.03{\sim}0.84{\mu}g/L$ range, accounting for 17.3%. Nannoplankton and picoplankton was on average, $1.35{\mu}g/L$(M:78.0%) in the $0.22{\sim}3.93{\mu}g/L$ range, and $1.73{\mu}g/L$(M:4.7%) in the nd ~ 0.24 range, respectively. The 10m layer was similar to the surface. The measured values chang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s but the nanoplankton composition ratio was higher throughout the year. In addition, the size fractioned chlorophyll a distribution in JMRA was similar to that of tropical sea area affected by the Monsoon rather than South Korean offshore coast geographically adjacent to the East China Sea and Japan coastal waters affected by the Kuroshio/Tsushima warm currents. That is, the material cycle of JMRA consists of a microbial food web rather than traditional food chain at a lower trophic levels. Primary production is deemed to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being adjusted by top-down dynamics, such as micro-zooplankton grazing pressure rather than nutrients su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