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관네트워크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13 seconds

A Suggestion of a network plan for public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s (농촌의 재난관리 민관 네트워크 방안 제시)

  • Lee, YoungKune;Park, Mi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15-1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재난관리에 있어 개인 및 민간단체와 정부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현대 사회의 재난은 본래의 정부주도하의 재난대응보다는 협업과 협력을 통한 재난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내의 자율적인 민관네트워크체계 구축과 재난대응에 있어 주민의 참여는 재난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관네트워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농촌 주민과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농촌지역의 재난관리의 문제점 및 한계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안정적인 활동과 발전을 위한 운영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따라서 농촌지역에서 재난관리 민관네트워크를 구축할 시에 해당지역에 적합한 운영방안을 선택하는 데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search on the Building Method of Collaborative Network for Disaster Response (재난 대응을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 Park, Miri;Oak, Young-Suk;Chon,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6-3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난관리에 있어 지방정부와 민간과의 네트워크를 지역특성별로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현대 산업사회를 '위험사회' 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최근 재난의 유형이 다변화되고 피해규모가 증가됨에 따라 본래의 정부주도하의 재난대응보다는 협업과 협력을 통한 재난관리가 필요하다. 국외에는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한 협력구축네트워크를 광역방재거점 등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을 구축하고 운영 중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협업 및 협력에 대한 매뉴얼 등을 통한 소프트적인 체계구축에 중점을 두고 대응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거점형태의 민관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당지역에 적합한 운영방안을 선택하는 데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mart city Export HUB Platform based on Korea-ASEAN Public-Private Network (한-아세안 민관 네트워크기반의 스마트시티 수출을 위한 거점 HUB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Dae Ill;Kim, Jeong Hyeon;Yeom, Chun 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12
    • /
    • pp.1908-1918
    • /
    • 2022
  • Recently, ASEAN is not only a new production base but also a consumer market for Korea, and interest in the utilization of production networks in each region is increasing. In particular, urbanization in ASEAN countries is progressing at a relatively fast pace. Each country is promoting smart city projects combined with ICT to improve outdated basic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housing, transportation, logistics,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eb-based smart city export HUB platform so that companies with excellent domestic smart city solutions can participate in smart city construction through networks with ASEAN countries. These platforms can secure the demand for smart city construction in ASEAN countries, 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ASEAN public-private network, smart cities planned in ASEAN countries can be promoted more innovativ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positioned as a Global smart city platform model by applying to real ci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cellent domestic companies.

A Study on the Linkage of Public-private Organizations in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 (농촌지역의 재난관리 민관조직 연계방안 연구)

  • Lee, Youngkune;Park, Miri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4
    • /
    • pp.321-328
    • /
    • 2016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find ways to cooperate with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o manage disaster in rural ar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s, we surveyed the residents and disaster management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survey, both public servants and residents answered that it is difficult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disaster management. This is due to lack of time due to agriculture as the main business. The SWOT analysis and strategy of rural disaster management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surveys. In addition, five types of disaster management network and two types of operation were propo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lan of the rural disaster management public-private network in the rural area.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depth on each of the operational measures in the future.

A Study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private sector for disaster management (재난안전분야에 대한 민간기업의 사회공헌 연구)

  • Yoo, Soonduc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6 no.4
    • /
    • pp.171-17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mportance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was evaluated by experts specializing in the improvement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for disaster management. The following items are needed to encourag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the disaster security industry. The researchers first propose a solution by means of ensuring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networks. Second, we propose for those entities to discover new means to support private companies'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researchers' third solution is to be utilized to secure funding for induction and to support public-private partnerships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private companies. Our fourth solution is promoting a sustainable plan for raising public awarenes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Finally, the social contribution of the participating companies enhance brand recognition and as well as incentive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current operating system to support relevant policies and measures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enterprises in the field of disaster security. Future research will be to study (such as through questionnaires) ways to participate in disaster management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chang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nents &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 Mechanism on Science &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국가과학기술혁신 민.관협력 메카니즘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4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Yong-S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1 no.2
    • /
    • pp.194-218
    • /
    • 2008
  •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concept can encompass a broad range of cooperative relations and a broad variety of programmes in terns of size, objectives and desig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mechanisms in the contex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The research methodologies are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olicy makers in four countries with six PPP programme : the France, the Netherlands, the Australia and Austria. It also attempts to understanding of the components that explain the increase of collaboration between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d PPPs. The taxonomy and essential components of PPPs were identified : mission-oriented PP/Ps, market-Oriented PP/Ps, cluster-oriented PP/Ps, and ISRs-Oriented PP/Ps. The taxonomy of regulatory regime can be a reference point for identifying the relative status of Korea's PPPs.

  • PDF

차세대 성장동력 집중조명-정보통신부 IT신성장동력 중요내용

  • Sin, Jong-Hun
    • Digital Contents
    • /
    • no.10 s.125
    • /
    • pp.34-43
    • /
    • 2003
  • 지난달 15일 정보통신부는 'IT 신성장동력 추진위원회'를 열고, 지난 8월말 마련한 9대 신성장 동력 세부추진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정통부 장ㆍ차관과 24명의 민관 전문가들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ㆍ지능형서비스로봇ㆍ홈네트워크ㆍ디지털 콘텐츠등 정통부가 선정한 9대 성장동력산업의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정통부는 오는 11월까지 9대 신성장동력 사업의 부문별 세부기술과 사업내용, 책정예산 등을 확정한 뒤 연말께 사업공고를 내고 내년초부터 본격적인 연구개발(R&D)과 사업화에 나설 예정이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Emergency Administration System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한국, 미국, 일본의 재난행정체제에 대한 비교 분석)

  • Park, Sung je;Yoon, Jong-Han;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5-135
    • /
    • 2016
  •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태풍, 홍수, 호우 등 기후변화에 기인한 재해의 피해수준이 심해지고 범위도 날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집중호우와 그로 인한 침수피해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면서 자연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행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행정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재난행정이 오랫동안 발전해온 미국과 일본의 체제 각각에 대한 연구는 있어왔으나, 한미일 3개국의 재난행정체제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행정체제의 발전에 오랫동안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미국과 일본의 재난행정체제를 분석하고 최근의 재난 양상과 관련해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비교제도분석을 실시했다. 우선 선행연구 검토에 기반하여 재난행정체제의 비교분석에 필요한 비교틀을 구성하고, 분석틀에 기반해 한국, 미국, 그리고 일본의 재난행정체제를 비교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재난 행정체제는 미국 및 일본과 같은 재난행정의 선진국가와 비교할 때 재난관련 법률이 통합적이지 않고 분산되어 있어 상호중복 및 충돌의 소지가 있으며, 재난관리 단계에 있어서도 예방보다는 대응과 복구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대응의 1차 책임소재도 불명확하며 민간네트워크도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미국과 일본의 재단대응체제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기존의 분산되어 있는 기본법들을 통폐합하여 재난관리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정부의 재난대응역량을 강화시키고 보다 많은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셋째, 재난관련 기관들의 역할을 명확히 분담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조정기제를 효율화하여 재난대응시 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분산적인 재난관리체제를 통합적 성격의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넷째, 주민단위 재난대응조직과 협력의 틀을 구축하여 민관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 PDF

A Study on Community Governance of Public Sector and Service Agencies : Focusing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Local Officials and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Working for Poor Female-headed Households (빈곤여성가장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민-관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거버넌스 실현의 현실적 간격을 중심으로)

  • Song, Da-Young;Kim, Yu-N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0 no.3
    • /
    • pp.177-200
    • /
    • 2008
  •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have established local governance at the community level. Also, it examines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in the perception of unmet needs in the community service delivery system among local officials and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for poor female-headed households, using survey questionnaire. It finally aims to propose more effective way of local governance between officials and workers in service agencies, and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for poor female headed households. Results show that first, about 70% of survey participant assess community governance and network system do not work well. Second, the more positive people evaluate their outreach efforts and the network level among community service agencies, the more they perceive that unmet needs are satisfied and recipients are well benefited. Third, the percept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tent of service delivery and the unmet needs between local officials and service workers who implement direct social service to female-headed household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related factors. In conclusion, suggestions are given to develope more effectiv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poor female-headed househol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