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간자율점검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gal Study on Special Fire Safety Inspection System (법과 제도적 관점에서 본 소방특별조사의 개선방안)

  • Lee, Jae Wook;Jeong, Gi S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3
    • /
    • pp.545-552
    • /
    • 2021
  • Under the Act amended on August 4, 2011, a special fire-fighting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the relevant person (owner, manager, oil refineries), and the responsibility was also given to the relevant person. Instead of directly entering all existing fire-fighting targets and investigating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atus of fire-fighting facilities, the fire-fighting agency selects and visits some targets every year, checks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atus of fire-fighting facilities, corrects them, and imposes fines, etc. Reason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were the establishment of a private autonomous correction system by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of officials, lack of firefighting professionals, possible corruption due to frequent public contact, and responsibility of fire agencies. However, many problems arose even after the introduction of a special fire investigation system. A special fire investigation, one of the fire safety systems, checks whether related public officials and especially fire officials are properly installed, maintained and managed in accordance with relevant laws. Special firefighting investigations were introduced as firefighting inspections at the time the firefighting law was enacted in 1958, and have undergone a revised process more than 30 times until recently.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Safety Management Act", the existing firefighting inspection was changed to a special firefighting investigation and accepted. At the time of enactment of the Fire Service Act in 1958, a special firefighting investigation was introduced as a firefighting inspection, and until recently, more than 30 revisions have been made. In 2003, as the existing fire fighting system was divided into four laws, it was approved by changing the existing fire fighting inspection to a special fire fighting investigation in the "Fire F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Safety Management Act".

The Self-regulating Fire Prevention System in Korea: with the Focus on the Role of Insurance System (자율예방체계의 구축 -규제개혁의 차원에서 보험의 역할을 중심으로-)

  • 김태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1
    • /
    • pp.55-65
    • /
    • 2001
  • This paper's purpose is three-folded: modeling the self-regulating fire prevention system, developing a packet of practical fire prevention measures and regulations, and reviewing the applicability of fire insurance system in Korea as a main components of the self-regulating fore prevention system. The so called self-regulating fire prevention system is defined as a grand national fire prevention framework based on and promoted by the vitality and creativeness of the market (or private sector). This drastically contrasts with the existing government-led fire prevention system in Korea. The self-regulating fire prevention system has three grounds: the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the redefinition of the fire service as a public goods, and the principle of self-selection. It seems natural that the self-regulating fire prevention system requires the function of fire insurance institution as a pivoting mechanism providing individual decision makers with a system of incentives, resulting in rational behaviors in the part of each individuals and in the well-balanced fire prevention network in the part of the overall public. In this regard, this pilfer examines the institutions and performance of the fire insurance industry in Korea and reviews the limitation of the industry as an instant replacement mechanism of the current government-led fire prevention system in Korea.

  • PDF

The Future of BlockChain Technology Leading Innovation in the Industrial Ecosystem (산업 생태계의 혁신을 선도할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전망)

  • Kim, Jung-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6
    • /
    • pp.324-332
    • /
    • 2018
  • Blockchain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revolutionize trust models and business processes in a variety of industries. However, it is considered to be the initial stage of the system that pursues autonomy rather than efficiency, and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inspect th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from the price and introduction time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lational DB transaction technology. However,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sectors have already been activated by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national domain, and the block chain is devoid of doubt that it is an exaggerated technology, characterized by the invariance of the record, transparency, and autonomous execution of business rules. It has begun to be utilized in history, identity, certification and auditing in the financial industry as well as various industri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roblems such as security weakness, insufficient regulatory environment, technical consensus and lack of common standard. In addition, the business sense and possibility of the block chain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the innovation of the industrial ecosystem by entering into the reality system from the concept through monitoring the actual introduction performance in the field of copyright, logistics, health care and environment.

An Evaluation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Regulations in Queensland : A Critique (호주 민간시큐리티 산업의 비판적 고찰 : 퀸즐랜드주를 중심으로)

  • Kim, Dae-Woon;Jung, Yook-Sang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44
    • /
    • pp.7-35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inform and document the contemporary development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in Queensland Australia, a premier holiday destination that provide entertainment for the larger region.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amine the comtemporary development of mandated licensing regimes regulating the industry, and the necessary reform agenda. The overall aim is threefold: first, to chart the main outcomes of the two-wave of reforms since the mid-'90s; seco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hanges in modes of regulation; and third, to identify the criteria that can be considered a best practice based on Button(2012) and Prenzler and Sarre's(2014) criteria. The survey of the Queensland regulatory regime has demonstrated that, despite the federal-guided reforms, there remain key areas where further initiatives remain pending, markedly case-by-case utilisation of more proactive strategies such as on-site alcohol/drug testing, psychological evaluations, and checks on close associates; lack of binding training arrangement for technical services providers; and targeted auditing of licensed premises and the vicinity of venues by the Office of Fair Trading, a licensing authority. The study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more determined responses and active engagements in these priority areas. This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licensing regimes in Queensland Australia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other jurisdictions including South Korea on how to better manage licensing system, including the measures required to assure an adequate level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the industry. It should be noted that implementing a consistency in delivery mode and assessment in training was the strategic imperative for the Australian authority to intervene in the industry as part of stimulating police-private partnerships. Of particular note, competency elements have conventionally been given a low priority in South Korea, as exemplified through the lack of government-sponsored certificate; this is an area South Korean policymakers must assume an active role in implementing accredited scheme, via consulting transnational templates, including Australian qualifications framework.

  • PDF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Jo, Dong-Ran;Go, Bong-Ry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26-39
    • /
    • 1992
  • 본 연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들의 보건관리업무실태 및 근무만족도와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산업간호업무향상 및 효율적인 산업보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은 38개 보건관리대행기관중 24개 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 118명중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92년 5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89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이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관리대행기관의 간호사는 산업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비교해볼 때 기존 산업간호사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법정휴가를 받는다는 간호사가 59.1%로 더 낮았다. 둘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담당사업장수는 법적으로 30개 사업장, 2,000명의 근로자를 담당하도록 되어있는데 조사결과 법적기준인 보건관리사업장의 수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57.1%를 차지하였고, 담당 근로자 수로 볼때는 2,000명이하가 29.8%를 차지하여 많은 산업간호사가 법적인 기준을 초과하여 산업보건관리를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관리대행의 방문방법으로 교통편은 대행 기관차량을 이용하며, 간호사 혼자 산업장을 방문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방문횟수는 100인미만이 월1회, 100인이상이 월2회로 규정된 것과 비교해보면 규정을 따르는 곳이 100인 미만의 경우 97.4%, 100인이상의 경우 86.4%였다. 또한 의사나 위생사는 방문을 안하거나 년1-5회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건관리대행의 주제공자는 간호사인 것으로 냐타났다. 또한 사업장 방문시 업무수행장소는 휴게실이나 사무실이 87.5%, 현장이나 수위실에서 하는 곳이 70.5%나 되어 뚜렷이 업무를 수행할 장소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을 나타냈다. 네째, 보건관리대행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의 애로사항은 사업장내에서는 조직과 체계상의 문제, 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부족, 권한과 자율성 부족 등을 들었고, 사업장 방문시에는 사업주와 근로자의 인식부족이 우선적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산업간호사는 보건관리 대행업무에서 사업장의 참여유도, 사업장 순회점검 및 개선지도, 보건교육, 건강상담이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는 건강검진이나 직업병관리, 보건교육, 환경위생관리업무를 비교적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전문적 위치나 상호작용, 업무요구등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와 산업보건관계자와의 관계등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대한 총화점수는 사업장근무자가 240점중 143.8인데 비해 보건관리대행기관 근무자는 230점중 129.61점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수행정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인군이, 법정휴가가 있는 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군이 20-24군과 30세이상인군 (p<0.05),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급여수준별로 50만원미만군과 이상인 군(p<0.05), 법정휴가가 있는 군과 없는군(p<0.05), 자질향상 교육을 받은군과 받지못한 군(p<0.01),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과 31인이상인 군(p<0.05)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법정휴가와 교육을 받고, 담당사업장수가 30이하인 군이 보건관리대행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적 특성별 보건관리대행 산업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연령별 30세이상군이, 결혼상태별로 기혼군이 경력은 1년이상인 군이, 근무시간 8시간인군이, 급여수준은 50만원이상군이, 법정휴가가있는군이,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이, 담당사업장수가 30개이하인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상태별로 기혼군과 미혼군(p<0.01), 근무시간별로 8시간군과 9시간 이상인 군(p<0.01), 급여수준별 50만원 미만군과 이상군(p<0.05), 자질향상교육을 받은군과 받지 않은군(p<0.05)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산업간호사중 기혼이고 근무시간은 8시간이며 급여수준이 높고 자질향상교육을 받은 군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면 보수, 자율성, 업무요구가 높을수록 산업간호업무를 수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상관관계 r>0.6, P>0.001), 전체적으로 총직무만족도와 업무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는 6346, P<0.001로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하여 보면,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는 그 특성을 고려하여 업무도 사업장 근무자와 다르게 규정되어야 하며, 담당업무의 명확한 한계를 정해 중소규모사업장의 산업보건관리업무를 책임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이 필요하다. 더불어, 직무만족도를 높일수 있도록, 산업간호사에 대한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보건관리대행기관 산업간호사는 나이가 많고 기혼이며 경력있는 간호사를 채용하고 근로조건을 잘 개선하면 직무수행정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좋은 근로조건의 형성과 직무만족도 등을 높여 산업간호사의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보건관리대행기관에 관한 규정이 강화 보완되어야 하겠으며, 민간단체와 의료기관 뿐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중소규모사업장의 보건관리업무를 담당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 PDF

The Listing Procedure for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in Korea (한국의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 제도)

  • Lee, Sang-Beom;Seung, J.O.;Kim, S.S.;Kim, B.S.;Lee, B.M.;Oh, Y.J.;Kang, C.K.;Choi, K.J.;Hong, M.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5-276
    • /
    • 2009
  • 민간단체들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시작된 국내 유기농업은 친환경농업육성법(1997. 12.13)이 제정되면서 국가기관의 친환경농업 활성화 노력과 더불어 2008년 유기농재배 농가(8,460호)와 면적(12,033호)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또한 유기농업의 확산과 더불어 화학비료 및 유기합성 농약대체 친환경농자재들의 유통이 증가되고 있으나 관리규정이 없어 검증되지 않은 다양한 농자재들이 유통되어 친환경실천 농가들의 혼란이 초래되어 국정감사 시 문제점으로 지적과 함께 각계에서 관리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19964호, 2007.3.27.공포, 2007.3.28.시행)으로 농촌진흥청에 친환경농자재심의회가 설치되어 효과와 효능을 검증하지 아니하고 친환경농산물 중 유기농산물 생을 해 사용가능한 자재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는 목록공시제가 마련되었다.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는 1년에 4회 매분기말에 농촌진흥청 농자재관리과에서 접수를 받아 친환경농자재 분야별 전문위원회 검토 후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접수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농촌진흥청장이 공시(농진청 홈페이지, 관보게재)하고 친환경농업 관련기관 및 검토 신청자에게 통보함으로서 마무리된다.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유효기간은 2년이다. 친환경농자재심의위원회는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병 해충 관리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및 심의위원회 의원 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3월부터 2009년 11월 30일 현재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 제품은 (1) 양개량용 자재 25 개, (2) 작물생육용 자재 282개, (3)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자재 308개, (4) 작물병해 관리용 자재 110개, (5) 작물충해 관리용 자재 : 224개, (6) 작물병해충 관리용 자재 5개 및 (7) 기타 자재 1개 제품으로 총 955개 제품에 이르고 있다. 한편, 공시연장 미신청, 현재 검토기준안에 필요로 하는 추가요청 자료 미제출 및 공시이외의 물질 사용으로 국내유통 중 단속되어 부적합한 판정을 받아 20여 제품이 목록공시가 취소되었다. 앞으로 목록 공시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는 제품의 주성분 함량 표기, 시용효과 검정방법 선, 제조방법 현장점검, 안전성 검정 등 여러가지 제도보완 및 사후관리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