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혼모의 특성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The Paradigm Shift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in Korea)

  • 이용우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97-115
    • /
    • 2017
  • 전체 미혼모의 90% 이상이 입양을 선택했던 과거와 다르게, 최근 들어 자녀의 양육을 선택하는 미혼모가 눈에 띄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령, 교육수준, 노동시장 참여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도 과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향상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미혼모들이 빈곤을 비롯하여 다양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오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속에서 자녀 양육과 생계부양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양육미혼모가 직면하는 어려움들은 개인적 특성의 발전 향상만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미혼모의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사회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전개과정 및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재 미혼모 가족을 위해 제공되고 있는 정책의 현황과 한계를 전반적 정책 기조의 변화 속에서 검토하였다. 한국사회의 미혼모 정책은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기존의 입양 중심에서 미혼모의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쪽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현재 양육미혼모에게 제공되는 있는 사회적 지원의 수준은 정책기조의 변화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미혼모가 자녀를 양육하기에는 아직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미혼모의 자녀양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빈곤 미혼모의 경제적 어려움과 우울증상, 양육스트레스, 아동학대와 방임이 아동의 사회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Associations among Poor Single Mothers' Economic Hardship, Depressive Symptoms, Parenting Stress, Child Abuse and Neglect, and their Children's Development)

  • 변호순;최정균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3호
    • /
    • pp.1-23
    • /
    • 2016
  • 본 연구는 빈곤 미혼모의 경제적, 정신적, 양육특성과 아동학대 및 방임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미혼모의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의 사회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국 취약가구 및 아동복지연구자료(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Study)를 사용하였으며, 총 1,373명의 빈곤 미혼모의 경제적 어려움과 우울증상, 양육스트레스, 아동학대 및 방임, 아동의 문제행동과 비행행동, 사회성기술을 측정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아동의 출생시점과 3세, 5세, 9세 시점에서의 미혼모와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미혼모가 경험하는 경제적 어려움과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에 대한 학대 및 방임을 야기하는 위험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높은 수준의 우울증상은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가중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아동 학대 및 방임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혼모의 학대 또는 방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문제행동과 비행행동을 유발하고, 사회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아동의 건강한 사회행동발달과 미혼모의 학대 혹은 방임적 양육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동시에 빈곤과 재정궁핍, 우울증상, 양육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과 산과 및 아동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 (Perception and Sexual Attitude Unwed Mother in Nursing Students and Obstetrics and Pediatric Nurses)

  • 조명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92-50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산과 및 아동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와 U광역시에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학생 94명과 산과 및 소아청소년과에서 근무하는 8개 병원 간호사 101명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의 정도를 확인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의 정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학년, 나이, 형제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사는 나이, 직급, 총 근무기간, 현부서 근무기간, 결혼 여부, 자녀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태도의 차이는 자신의 주변에서 미혼모 접촉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사는 주변에서 미혼모 접촉 경험, 병원 규모, 결혼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를 규명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향후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와 관련된 연구와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일부 보호시설에 등록된 미혼모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Unmarried Mother in some Shelters)

  • 주연옥;김상순;최연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37-346
    • /
    • 1997
  • 본 연구는 T시에 소재한 1개의 미혼모 보호시설 및 입양시설에서 1996년 11월 1일에서 1997년 4월 30일까지 6개월간 등록된 현행법상 미혼모 74명중 7명을 제외한 67명을 1997년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간 설문지를 실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혼모의 연령은 59.7%(40명)가 10대였으며 24세 이하가 95.9%로 높게 나타났다. 학력은 중졸이하였고 임신전 취업상태는 58.2%(39명)였고 이 중 취업미혼모의 44.6%가 사회적으로 하층직업이라 불리는 단순노무직이나 서비스직에 종사하고 있었다. 가출여부에서 62.7%(42명)가 가출한 경험이 있었고 가출연령은 19세 이하가 90.5%였으며, 동기로는 가정불화가 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직업은 자영업에 종사하는 부모가 68.7% 차지했으며 부모가 같은 직업에 대부분 종사하고 있었다. 교육정도는 아버지가 중졸, 어머니는 초졸이었고 부모님의 성에 대한 태도는 폐쇄적이고 미혼모는 개방적이었다. 인공유산을 하지 않은 이유는 시기를 놓쳐서가 37.3%였고 임신이 된 후 누구와 상의 했는가라는 질문에는 친구가 41.8%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 자신의 성에 대한 지식과 피임방법에 대해 이해가 부족했고, 순간적 부정적인 것으로 무관심하거나 냉담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성에 관한 지식 습득은 대부분이 월. 주간잡지가 64.2%로 가장 많았고, 친구가 53.8%, 대중매체가 50.7%, 학교에서가 47.8%, 가정에서는 4%에 불과했다. 성관계의 장소로는 19세이하는 자취집이 45.0%로 가장 많았고, 20세이상에서는 여관이라고 대답한 경우가 48.2%로 가장 많았다. 또한 임신을 알게 된 시기는 20세이상이 19세이하보다 조금 더 일찍 알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호기심이 많은 청소년이 성에 대해 잘못된 지식의 습득과 가정의 불화로 10대 미혼모를 급증시키게 하는 계기가 되는 것 같다. 그러므로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고, 학교에서의 체계적인 성교육을 실시하여 미혼모를 감소시켜야 되며, 국가와 사회에서도 장기적 근본적 예방대책을 위해서 치료보다 전문적인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 PDF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on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 안재진;김지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61-8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이 미혼모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존 연구에서 배제되어 있던 사회적 관계망의 부정적 측면인 사회적 갈등에 주목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미혼모 시설 8곳 중 6곳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모들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혼모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갈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미혼모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갈등은 사회적 지지보다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지지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망의 부정적 기능에 대한 인식은 시설내 미혼모에게 개입하는데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준다. 즉, 지금까지 관심을 가져왔던 사회적 지지체계에 대한 개입 외에, 갈등의 원천이 될 수 있는 관계망과의 관계를 제거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거나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입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 10대 미혼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eenage Unwed Mothers in Korea)

  • 윤미현;이재연
    • 아동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9-169
    • /
    • 2002
  • The focus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egnancy conditions, social support, and future plan of teenage unwed mothers in Korea. Among the unwed mother, the teenage group was a higher percentage (53.7%) than the over-twenties group (46.3%). In the distribution of teenage unwed mothers, the major part, 94.6%, was in the 16- to 17- year-old age range, and 5.4% were under 15 years of age. This indicates that the age of unwed mothers is getting lower. Most teenage unwed mothers were from intact(72.3%) and/or low-class(62.3%) families. A significant percentage (37.7%)was from middle- and upper-middle class families, signifying that teenage pregnancy is not a problem only of disadvantaged and lower class families. The education of one-third of the teenage unwed mothers in this study was only up to first year of middle school(7th grade), indicating that pregnancy may be a reason they dropped out of school.

  • PDF

입양으로 자녀를 상실한 미혼모들의 슬픔 연구 - 외적통제소,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입양결정과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Grief of Birthmothers who Surrendered their Babies for Adoption - Focused on External Locus of Control,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Adoption Decision -)

  • 최승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203-225
    • /
    • 2008
  • 본 연구는 입양으로 자녀를 포기한 미혼모들이 경험하는 슬픔에 대한 외적통제소,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입양결정과정의 영향력의 정도와 자녀관계, 슬픔대처행동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자녀를 입양 보내고 난 후, 미혼모 보호시설 퇴소 직전의 159명의 미혼모들의 설문자료를 다중회귀분석과 t검증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적통제소가 높을수록, 입양결정을 후회할수록, 미혼부의 지지가 높을수록, 미혼부의 입양 압력이 높을수록 슬픔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출산 후 자녀 및 슬픔대처행동 특성에 따른 t검증에서는 수유, 이별식, 타인에게 슬픔표현, 홀로 슬픔 표현, 자녀와의 만남에 대한 기대여부에 따라서 집단 간 슬픔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미혼모들의 미혼모 보호시설에 머무는 기간 동안 내적통제소를 강화시키는 실천개입을 해야 하며, 미혼부와의 관계에서 해소되지 않는 감정들을 좀 더 면밀하게 다루어줄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퇴소 전 슬픔의 감정을 충분히 해소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입양결정에 대한 충분한 탐색과 입양결정을 번복한 집단에 대한 차별화된 개입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미혼 여교사의 배우자 선택에서의 동질혼 추구 경향 (Female Teachers' Mate Selection Preferences in Soci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family role characteristic)

  • 조병은;이종희;이현정;곽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8
    • /
    • 2012
  • 본 연구는 배우자 선택권이 늘어난 직업여성 중 미혼 여교사를 대상으로 본인과 배우자감의 사회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특성 그리고 역할가치관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배우자 선택의 동질혼 추구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6개의 광역시 및 시 군 단위에서 편의표집 한 결혼 적령기의 미혼 여교사 295명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연구 내용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미혼 여교사가 추구하는 본인과 배우자감의 사회경제적 특성의 측면에서 수입 이외의 특성에서는 동질혼 경향을 추구하였으나, 수입에 있어서는 자신보다 높은 수입의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이질혼의 경향을 보였다. 신체적 특성에서는 자신과 비슷한 신체적 특성과 매력수준을 지닌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동질혼의 경향을 보였고, 심리적 특성 중 개방성, 외향성, 신경성의 성격 특성에서는 자신과 비슷한 동질혼 경향을 추구하였으며, 성취적, 양육적, 지배적 성격과 같은 상호보완적 성격을 선호하는 측면에서 동질적인 성격 특성을 지닌 배우자감을 선호하였다. 또 다른 심리적 특성인 성역할 특성에서는 본인의 성역할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성역할 특성을 지닌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이질혼의 경향이 나타났다. 역할가치관의 동질성 추구 경향에서는 경제적 역할, 정서적지지 역할, 자녀양육 역할, 친족유지 역할, 가사노동 역할, 자기개발 역할, 여가생활 역할 등 모든 역할 기대감에서 동질혼 경향을 보였다. 각각의 역할에서 본인 스스로에 대한 역할 기대가 높은 집단은 배우자감에게 요구하는 역할 기대도 높게 나타났고, 본인에 대한 역할 기대가 낮은 집단에서는 배우자감에 대한 역할 기대도 낮게 나타나 본인과 배우자감 모두 가족역할에 공평하게 참여하기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 가치관에서 근대적 성역할 가치관을 가진 집단 간의 동질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평등적인 성역할 가치관을 추구하였다. 결과적으로, 직업을 가진 미혼 여교사는 자신과 비슷한 사회적 배경, 신체적 매력 정도, 심리적 특성을 지닌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동질혼의 경향이 높게 나타났고,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성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Child Abuse Deaths)

  • 김지혜;정익중;이희연;김경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131-154
    • /
    • 2013
  • 학대로 인해 사망하는 아동의 꾸준한 발생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태 파악과 대책 마련은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 사망사건의 현황과 원인, 특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신문기사에 나타난 아동학대 사망사건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언론에 보도된 아동학대 사망사건은 총 141건이었으며, 가해자는 미혼모, 친모, 동거녀 및 계모, 친부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살해 이유는 미혼모나 미혼부모에 의한 신생아살해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양육능력 부족, 산후우울증, 생활고와 경제능력 부족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에 중점 보도된 사건에서 발견된 주제는 범죄현실의 구성-아동학대 사망사건의 가해자에 대한 고정관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심각한 학대, 신고 및 관리체계 부실, 처벌 미약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아동학대 사망사건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