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역제품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타고난 면역이 활성화한 육계병아리의 혈액 항산화계 균형과 TNF-$\alpha$ 농도에 미치는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사료의 영향

  • 박인경;임진택;이혜정;최도열;최준영;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3-34
    • /
    • 2004
  • 기초사료, 미역제품 사료와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사료를 육계병아리에 각각 급여하여 8. 10 및 12일령에 LPS를 주입하여 타고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였다. 미역제품 사료와 타고난 면역반응 활성화는 적혈구 세포액의 MnSOD 활성을 낮추었다. CuZnSOD 활성은 타고난 면역에 의해 상승하였다. 타고난 면역이 활성화된 병아리에서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사료는 혈장 총 SOD 활성을 유의하게 낮추었다. 타고난 면역반응은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사료에서 과산화물 농도를 유의하게 높였고, 과산화물분해효소 활성은 콩 추출 함유 미역제품 사료를 급여한 육계병아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타고난 면역반응은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사료에서 TNF-a 농도를 유의하게 낮추고, 오보트랜스페린의 농도를 높였다. 이상과 같이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사료는 혈액 항산화계와 급성기 반응시의 TNF-a 농도와 오보트랜스페린 농도를 동시에 변화시켰다.

  • PDF

타고난 면역반응이 활성화된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혈액 항산화계에 미치는 사료중 미역제품 수준의 영향

  • 이혜정;임진택;박인경;최도열;최준영;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8-30
    • /
    • 2004
  • 사료중 미역제품 수준이 타고난 면역반응을 활성화한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PS를 주입하여 타고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였다. 미역제품 2.0 % 사료는 뇨산태 질소의 배설량을 감소시켜 질소밸런스와 사료효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미역제품 1.0 % 사료는 타고난 면역 활성화시의 생산성 감소를 완화시켰다. 미역제품 2.0 % 사료는 혈장 SOD의 활성을 낮추었다. 그러나 타고난 면역의 활성화는 적혈구 세포액의 SOD 활성과 혈장 peroxide 수준을 유의하게 높였다. 미역제품 사료는 과산화물분해효소의 활성을 유의하게(P<0.05)높였다. 본 성적은 육계 병아리에서 미역제품 2.0 % 사료는 단백질 분해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단백질 축적량을 높여서 육계병아리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미역제품 2.0 % 사료 급여시 급성기 반응 및 정상 병아리의 항산화계효소 활성 감소, 생산성의 증가는 혈액 항산화계의 변화와 연계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 PDF

급성기 반응중인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성에 미치는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사료의 영향

  • 최도열;임진택;박인경;이혜정;최준영;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1-32
    • /
    • 2004
  •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2.0 % 사료가 급성기 반응중인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2.0 % 사료는 급성기 반응시 감소된 사료섭취를 증가시키고, 급성기 반응시 뇨산태 질소의 배설량을 감소시켜 질소밸런스를 증가시켰다.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 2.0 % 사료는 4주령 체중을 높였다. 본 성적은 단백질 축적량의 증가는 단백질 분해량의 감소에 기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사료 중 콩 추출물 함유 미역제품이 육계병아리의 단백질 축적량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급성기 반응시 사료섭취 증가와 영양소 이용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동결건조 미역 된장 블록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eze Dried Soybean Paste Block with Sea Mustard)

  • 정복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8-323
    • /
    • 2003
  • 본 연구는 미역과 된장, 멸치 엑기스, 다시마 엑기스, 바지락 엑기스, 파, 감자, 양파가루, 마늘가루를 이용하여 1조각이 1인분이 되도록 블록을 만들어 동결 건조시킨 후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의 경우 제품 100 g당 조 단백의 경우 녹차 미역 된장제품에 비하여 일반 미역 된장제품의 단백질 함량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일반 제품이 녹차 제품보다 1% 정도 함량이 많았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일반 미역 된장제품보다 녹차 미역 된장제품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일반 미역 된장 제품이 녹차제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구성에서 두 제품 모두 많은 양을 나타낸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 hydroxyprol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Iysine 등이었으며, 대부분이 일반 미역 된장제품에 비하여 녹차 미역 된장제품의 아미노산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의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단일 불포화지방산과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두 제품간의 차이가 별로 없었으며, 포화지방산중에서는 palmit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일불포화 지방산은 oleic acid,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제품의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26:74로, 불포화지방산은 단일불포화지방산에 비해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두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미역 된장제품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낸 유기산은 oxalic acid, 다음으로 tartaric acid였으며, 대부분 녹차제품의 유기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맛, 색,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냄새의 경우 일반 시판 된장제품이 녹차제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제품의 개발로 바쁜 현대인들 특히 맞벌이, 독신자들에게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면서 간편한 방법으로 미역 된장국을 끓여 먹을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미역귀를 이용한 잼의 제조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김선재;문지숙;김정목;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8-602
    • /
    • 2004
  • 미역귀의 알긴산 함량은 알칼리가용성 알긴산 추출법에 의한 미역귀 알긴산 수율이 33.8%,비교구로서 미역줄기의 알긴산 수율이 22.3%를 나타내어 알긴산 수율은 미역귀가 높게 나타났다. 미역귀 잼의 주원료인 미역귀 페이스트는 미역귀를 자숙, 염장하여 건조한 것을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고 물기를 뺀 후, 2.5배의 물을 가하여 초퍼와 균질기를 차례로 써서 균질화한 다음, 50 mesh 체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미역귀 잼은 미역귀 페이스트에 설탕, HM pectin 및 유기산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일정 농도까지 가열, 농축한 다음 잼 제품으로서 품질을 유지하고 미역취를 차폐할 목적으로 계피가루와 합성 딸기향을 일정량 가하여 제조하였다. 잼 제조시 설탕, 펙틴, 유기산 및 유기염이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계적 및 관능적으로 살펴본 결과, 미역 페이스트에 설탕 60%(w/w), HM pectin 0.75%(w/w), citric acid 0.3%(w/w)를 첨가하여 62$^{\circ}$Brix로 한 제품이 물성면에서 양호하였고, 미역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조취를 차폐하기 위해 합성 딸기향 0.08%(w/w)을 첨가한 미역귀 잼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다.

미역줄기를 이용한 잼의 제조조건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 안창범;신태선;남택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23-430
    • /
    • 2000
  • 건조미역 또는 염장미역의 제조부산물로 얻어지는 미역 줄기를 이용하여 기호성이 뛰어난 미역줄기잼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잼의 주원료인 미역줄기 페이스트는 자숙, 염장한 미역줄기를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고 물기를 뺀 후, 2.5배의 물을 가하여 초퍼와 homogenizer를 차례로 써서 균질화한 다음, $30{\~}50\;mesh$ 체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미역줄기잼은 미역줄기 페이스트에 sucrose, HM pectin (또는 LM pectin) 및 유기산 (또는 유기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일정 농도까지 가열, 농축한 다음 미역취를 차폐할 목적으로 인공 딸기향을 일정량 가하여 제조하였다. 잼 제조시 sucrose, pectin, 유기산 및 유기염이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계적 및 관능적으로 살펴본 결과, 미역줄기 페이스트에 sucrose $65{\%}$ (w/w), HM pectin $1.0{\%}$ (w/w) 및 citric acid $0.3{\%}$ (w/w) 또는 sucrose $65{\%}$ (w/w), LM pectin $1.0{\%}$ (w/w) 및 calcium lactate $0.08{\%}$ (w/w)를 첨가하여 $62 {\cdot}Brix$로 한 제품이 물성면에서 시판 과일잼 (딸기 및 사과잼)과 유사하였고, 미역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조취를 차폐하기 위해 인공 딸기향을 사용한 결과 $0.06{\%}$ (v/w) 이상 첨가하여 만든 제품이 시판 과일잼과 비교하여 관능적으로 손색이 없는 제품이었다.

  • PDF

시판 미역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분석 (Nutrition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in Market.)

  • 최재석;배희정;김양춘;박남희;김태봉;최영주;최은영;박선미;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7-394
    • /
    • 2008
  • 시판되는 기장산, 진도산 및 완도산 미역 완제품(가닥미역과 실미역)의 일반성분, 미량금속, 유리아미노산 함량, 알긴산 함량,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여 산지별 미역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의 함량과 칼로리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회분의 경우, 기장산 실미역은 32.5%, 완도산 실미역은 26.6%로 나타나 기장산 실미역이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다. 조지방의 경우, 기장산 가닥미역은 0.53%, 진도산 가닥미역은 1.47%로 나타나 진도산 가닥미역의 조지방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닥미역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alanine, glutamic acid, proline 그리고 asparagine이었으며, 실미역은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현저히 낮아 미역 가공 공정에 따라서 많은 유리아미노산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종류의 주요금속원소(Na, K, Ca, Mg)과 3종류의 미량금속원소(Fe, Zn, P)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Ca, Fe, Zn, Mg 그리고 P의 함량은 기장산 가닥미역과 실미역에 비해 완도산 가닥미역과 실미역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긴산의 함량은 가닥미역의 경우 제품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실미역의 경우 완도산 실미역(26.0% )이 기장산 실미역(21.0% )에 비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기장 및 진도산 가닥미역의 메탄올 추출물 $40\;{\mu}g/ml$ 농도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45.5% 및 33.5%로 기장산 가닥미역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 및 완도산 실미역의 경우 각각 37.0%와 27.0%로 기장산 실미역의 라디칼 소거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 결과,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였고, 기장 및 진도산 가닥미역의 메탄올 추출물(10 mg/ml)의 SOD 유사활성은 각각 66.1%와 72.5%였으며, 기장 및 완도산 실미역의 메탄올 추출물(10 mg/ml) SODA 유사활성은 각각 63.0% 및 71.4%로 분석되었다.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미역의 methanol 추출물을 $200\;{\mu}g/ml$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기장 및 완도산 실미역의 NO 활성은 각각 44.2%와 35.7%로 나타났으며 가닥미역의 경우는 기장 및 진도산이 각각 40.7%와 28.6%로 나타나 산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가공과정에 따라 생리활성 성분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海藻類)의 가공(加工) 및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1. 미역분말쥬스제조(製造)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weeds 1. Preparation of Powdere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Mixtures for Juice Type Beverage)

  • 이응호;차용준;김정균;권칠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2-386
    • /
    • 1983
  • 영양적(營養的) 또는 약리적(藥理的)으로 우수(優秀)한 미역의 효율적인 이용방안(利用方案)의 하나로서 미역분말쥬우스를 가공(加工)하여 화학적조성(化學的組成) 및 색소안정성(色素安定性)에 관해 실험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방법(加工方法)은 생미역을 물로 씻어 이물질(異物質) 및 토사(土砂)를 제거하고 난 후 3%식염 및 1%탄산마그네슘 혼합용액(원료(原料)의 10배량)에서 $85^{\circ}C$, 20초간 데친 다음 물기를 빼고 열풍건조기(熱風乾燥機)($50{\sim}53^{\circ}C$, 풍속 3m/sec, 습도 21.4%)에서 3시간동안 건조(乾燥)시켰다. 그리고 난 후 200mesh까지 분쇄(粉碎)하여 중량비(重量比)로서 분말미역 0.8%, 식염 9.75%, 설탕 1.25%, 아스코르브산 0.2% 그리고 미싯가루 0.25% 첨가하여 미역분말제품으로 하였다. 2. 가공중 제품의 화학적(化學的) 성분변화(成分變化)는 아미노질소가 증가하였고, 회분함량(灰分含量)은 19%, 알긴산은 5.5%정도 감소한 것 이외에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고, 생미역에 대한 제품의 색소잔존율(色素殘存率)은 chlorophyll은 91.6%, total carotenoid는 89.5%로서 상당히 양호(良好)하였다. 3. 관능검사결과(官能檢査結果) 색깔, 냄새, 맛 및 분산성(分散性)은 양호(良好)하였으며, 특히 미싯가루 첨가에 의한 미역의 강한 이취(異臭)를 차폐(遮蔽)시킬 수 있었다.

  • PDF

처리조건별 미역농축물의 제조 및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Sea Mustard Extracts with the Treatment Conditions)

  • 이강호;이동호;조호성;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09-415
    • /
    • 1993
  • 과잉생산 단계에 있는 미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몇가지 미역추출농축물을 만들어 그 농축물의 화학조성과 생물학적 성질, 영양성분 및 미네랄 함량을 분석하고 또한 생미역, 마른미역 및 추출농축물을 첨가한 어린이용 간식제품을 만들어 여러가지 영양성분의 공급원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미역의 화학성분조성은 수분 $89.24\%$, 조단백질 $1.60\%$, 조지방 $0.11\%$, 조회분 $4.71\%$, 알긴산 $2.74\%$였다. 2. 미역추출농축물의 성분조성에 있어서 열탕가용성 추출농축물이 165.1mg/100g으로 요오드함량이 높았고 Ca함량도 2,481.5ppm(dry basis)로 가장 높았다 Ca, Fe는 $95\%$에탄올가용성이, Zn은 열탕가용성, Mn은 냉수가용성이 가장 높았다. 3. 미역추출농축물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 $95\%$ 에탄올가용성 추출농축물은 아주 미량으로 나타났고 $1\%$ NaOH 가용성 추출농축물이 다른 시료에 비해 전체아미노산 함량이 높았고 그 중 필수아미노산인 leucine, lysine 등의 함량도 높았다. 4. 생미역, 마른미역분말 및 미역추출농축물을 첨가한 간식용 제품인 잼, 제리 및 사탕은 냄새, 맛 및 색깔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기호성 뿐만 아니라 미네랄 특히 요오드의 공급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염장미역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이화확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te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권중호;이수정;남상명;조한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5-169
    • /
    • 1991
  • 염장미역 제품의 염농도 감소와 저장 조건 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마선 조사가 염장미역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역의 chlorophyll과 carotenoid 색소는 감선 조사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소되었고 $10^{\circ}C$ 내외의 저장조건에서 6개원 저장시 비조사 시료와 2kGy 조사시료의 색소 잔존률은 서리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chlorophyll이 47~77%, carotenoid가 54~56%였다. 미역의 관능적 품질과 관련된 유기산과 휘발산의 함량은 염농도가 낮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미역의 조직 연화는 알긴산 추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