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10
no.5
/
pp.83-88
/
2024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esthetic meaning of the emergence of 'artists as theoreticians,' a major aspect of contemporary art criticism practice, focusing on the editorial project of the British monthly visual arts magazine Studio International. The sharing of writings about art through publications confirms the lens of critical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art and serves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broader political and cultural conditions. In particular, this paper can function as a resource for assessing the art historical horizons created by the connection between artists and publications, rather than theorists or critics, on the magazine platform. This paper focuses on the debates formed through Studio International in the late 1960s, examining the magazine's stance on new developments in art, the practice of defining critical terms that accompanied it, and the responses to them. The texts of 'artists as theoreticians' such as Victor Burgin and Joseph Kosuth, published in Studio International, overcame the conventionality of art that relies on formal aspects, and argued that the concept of art as something named by the artist is possible as art that does not require the mediation of objects. The discourse practices of these artists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destroying the authority of the historicist critical paradigm, thereby acquiring the art historical value of artists who took the position of theoreticians dealing with art.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global standing of artists from Japan, China, and Korea, this article presents an analytic study of data from auctions, notable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galleries, notable international art museums, contemporary art biennials, and the Venice Biennales' award. We also look at select art exhibitions as they have been covered by international art magazines to analyze the geography of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Our analysis of international art magazines shows that the global position of the three Asian countries we consider is low in comparison with select Western countries. Auction data, on the other hand, reveals that Chinese and Japanese artists are highly regarded in economic terms, while the visibility of Japanese artists is emphasized in the data we consider from art biennials. In the permanent exhibitions and contemporary art biennales we look at, we note that the visibility of Chinese artist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and Korean artists, who also demonstrate remarkable visibility. We find that Korean artists represent an important presence in our analysis of the Venice Biennale awards, with Japanese and Chinese artists holding noteworthy positions. Through these myriad criteria, we develop a clear idea of the nature of the global position of artists from Japan, China, and Korea. The Asian art world can profit from these findings by considering them when developing strategies for managing the growth of its artists on the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scene.
Compared to the influences of Korean art journalism, the researches on them are rarely conduc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rt journalism in art magazines in Korea. Although it is essential to consider media, journalism, public opinion altogether, I focused only on the media due to the absence of previous studies I have analyzed the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art journalism, types of feature articles, sponsors, their relations with articles and the comparison with foreign art journalism in terms of production conditions. There have been about one hundred art magazines published in previous sixty years and currently there are twenty three. Monthly periodicals are the majority: the publishers are sorted out as publishing houses, galleries, newspaper company in order specialized art magazines developed from the eighties. Through an examination of feature articles in these art magazines, I found that they repeated similar art issues and covered the same artists sponsors and articles. Moreover, when the magazines went through the conflicts between managers and editors, the ascendency of managers obstructed the development of art journalism regarding journal quality. These days, art journalism have been comparatively regressed compared to other art systems such as art museums, curatorship, international aft festivals, distributions and art promotion policies. The main causes for failure were the lack of professional management, the limited effort to diversify sponsors, and the repetition of the same informants and events without making an effort to be specialized Magazines are published media which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ulture, distribution, and preservation. Therefore art magazines can be said the most influential media in forming art culture and distributing it. It is quite necessary to reform the problems of repeating of information and the lack of speciality in conjunction with the commitment of management and editorialship.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2003.08a
/
pp.233-244
/
2003
본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학분야 5개 학회(협회)지의 2002년분에 인용된 3,046개 문헌을 인용문헌의 형태별, 발행지별, 발행년도별, 주제별로 분석하여 디자인학분야 연구자의 문헌 이용행태와 문헌의 이용가치 감소현상 즉 반감기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학분야 연구자들은 단행본(62.5%), 학술잡지기사(21.8%), 논문(10.8%), 보고서(2.9%), 기타(2%)순으로 많이 이용하였으며, 단행본의 인용이 현저히 많은 것으로 자료 형태별 이용에 있어 국내 디자인학분야 연구자의 연구활동이 국내 사회과학, 미술분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발행지별로 분석한 결과는 국내 디자인학분야 연구자들이 국내문헌을 해외문헌보다 2.5배정도 많이 이용한 것으로 국내문헌에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해외문헌을 국내문헌보다 2배정도 많이 이용한 것으로 분석된 사회과학분야의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디자인학분야에서는 정반대의 현상을 보이는 것이나 4배정도 국내문헌을 많이 이용한 것으로 분석된 미술분야의 선행연구와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디자인학분야 문헌의 반감기는 5.75년이었으며, 자료형태별 반감기는 단행본(6.64년), 논문(5.97년), 학술잡지기사 (4.55년), 기타(3.73년), 보고서(3.41년) 순으로 분석되었고, 발행지별 반감기는 해외문헌(9.1년), 국내문헌(5.1년)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타주제와의 관계분석에 있어 경영학, 건축술, 공학 등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디자인학이 단순히 미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경쟁력 증진의 도구로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근대미술은 유화 도입기인 1910년대를 한국미술사의 중요한 시작점이다. 1910년경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유화 도입배경과 그것이 당시 사회의 절실한 요청에 의한 것이었는지, 그렇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 한국근대미술 초기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일본근대 유화의 역사는 국수주의와 서구주의 물결이 반복하는 과정에서 점차 일본화된 소재의 등장과 일본정서에 부합하는 화풍을 만들어 나가게 되는 것이 1890년대부터 1910때까지의 일본근대 유화계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를 다시 요약하면 외광파와 인상파가 절충된 양식에 일본의 메이지낭만주의에 부합하는 소재 즉 일본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풍경에 대한 애착 등이 전체 유화의 기류로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새로운 문화의 하나였던 유화는 점차 세계의 다양한 미술사조 속에서 일본화다운 것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구로다 세이키'(黑田淸輝) 이전에 이미 형성되었던 일본근대 유화양식과 구로다의 외광파 양식, 또 외광파가 일본 근대유화의 주류로 형성하게 되는 계기, 여기에 프랑스에서 직접 배워 온 작가들에 의한 인상파 도입 그리고 일본 '메이지낭만주의'(明治浪漫主義)의 등장으로 인한 사회 환경구조의 변화 속에서 양성된 그들의 절충양식의 초기유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근대미술은 '민족적 자부심'과 '민족적 열등감'이 동시에 존재하는 사회적 배경논리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근대미술의 사상적 배경에는 민족 개량주의적 발상과 계몽주의적 문화 활동에 있었다고 할지라도 근본적으로는 미술자체를 근대사회 발전의 연장선 속에서 파악하지 못했고, 따라서 미술자체를 새로운 문명수입이라는 근대적 풍물 정도로만 파악했던 것이 어쩔 수 없는 근대미술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미술을 주목한 이유는 근대적 사회로 발전하기 위한 하나의 필수적인 요소로 미술자체를 파악하고 나아가, 식산흥업(殖産興業)의 수단으로 인식 했던 신지식층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명의 발달이 미술의 발달에서 연원한다는 '미술문명론' 같은 시각이 미술자체가 성격이나 창작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어떤 미술이든 그것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근대 즉 문명화된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아카데미즘 역시 일본근대미술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초기유학생들은 그 당시 일본의 잡지나 화단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시안들을 피상적으로 이해하는 정도였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초기유학생들의 작품과 그 이후 선전에서 입선하는 작품들은 일본아카데미즘의 영향 밑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일본 근대 유화에서 형성된 외광파의 요소와 인상파 요소들이 일본 낭만주의로 표면화된 하나의 일본근대 유화의 형식 그대로가 한국아카데미즘의 성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1922년에 시작된 선전은 심사위원 대부분이 동경미술학교 교수이면서 구로다의 제자이거나 동료였다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더욱 확고하게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초기유학생들이 남긴 작품들은 완전한 인상파에 대한 지식이나 깊은 자아의식을 가지고 제작된 것은 아니라, 일본 동경미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었던 것들을 그대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그림은 구로다의 외광파라고 부르는 것들의 영향보다는, 인상파를 보고 배웠던 동경미술학교 교수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영향은 그대로 한국 근대미술의 아카데미즘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한 저명한 건축가이며 건축비평가는 건축의 결정적인 원리들은 Le Corbusier, Mies vander Rohe, Frank Lloyd Wright 이세 대가에 의해 규정지어졌다고 했다. 그는 덧붙이기를 하지만 개인적 영웅주의 시대는 지났다. 현 세대의 건축가가 직명하고 있는 문제 새로운 과학기술과 새로운 설계 개념을 이용하는 문제이다. Peter Blake는 10년 동안 건축분야에서 미국잡지계의 선두권을 가지고 있었던 Architectural Forum의 editor였으며 지금은 Forum과 통합이 된 Architectural Plus의 editor이다. 그는 실지로 건축을 하는 건축가이며, 한때는 뉴욕에 있는 현대미술박물관에서 건축과 산업디자인의 총지휘자였다. 그의 저서 ‘Master Builders'는 건축의 현대적 동향에 관한 대표저서중 하나로 널리 애호를 받아오고 있다.
Kim, Yong-Hwan is a one of the South Korean major cartoonists between 1940s and 1960s. Kim, Yong-Hwan drew a variety of genres from children's cartoon to current-affair cartoon. Furthermore, Kim, Yong-Hwan took the lead in publishing cartoon magazine and newspaper after the Independence, and has been highly appreciated as a pioneer of Korean cartoon. Kim, Yong-Hwan created many works in the fields of illustrations, Oriental painting, history painting, caricature, etc. After going study for painting to Japan, Kim, Yong-Hwan made his debut as an illustrator called Kita Koji in Japan. However, not much is known about his works in Japan, only there is a simple data about his Japan period and some pieces of illustration during Japan years. In this paper, I examined in detail about Kim, Yong-Hwan's work activity in Japan which has been little known in Korea for a long time. I studied on illustrations in magazines and books which he drew in the name of Kita Koji, on the basis of the data of the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I could know that Kim, Yong-Hwan worked actively in a diversity of publishers and magazines. In addition, I could realize that many magazines in which Kim, Yong-Hwan drew illustrations were very popular ones. This demonstrates that Kim, Yong-Hwan was much recognized in Japan for his talent. However, a large number of Kim, Yong-Hwan's illustrations were published from late 1930s to mid-1940s. This period was the years that Japan concentrated all her energy for World War II. All the publishing were severely censored during this period. A majority of publishing in this period supported Japanese militarism, and glorified Japan's war policy. Kim, Yong-Hwan's illustrations were no exception, too. It was really sorry about his activity during his Japan period. This essay means a lot to a field of cartoon studies in terms of a collection of materials during Kim, Yong-Hwan's Japan period. Besides, I think that henceforth,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a follow-up study on Kim, Yong-Hwan' work and his broad background.
For us who live in the 21 century, a variety of media and videos such as TV, movies, magazines, internet, etc. have now become indispensable entities. Because of changing age, unlimited sharing of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achines, fashion and ideas are rapidly conveyed and theres is also a tendency to seek after more sense based and stimulating things. Around us, there are innumerable colors which do not seem to have any special presence like the air and go beyond human ability to identify them. Such colors exert direct influence upon the visual culture and most rapidly reflect that age's trend. It is precisely from this perspective that the importance of neon colors, which have recently received the spotlight, have emerged in a magnified way. Yet,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colors by earlier studies,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neon colors and as such, I felt the need for a study of neon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psychology of colors within the visual culture, discover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neon colors and the visual culture, and seek ways to demonstrate it by applying it to art education.
The monthly news and culture magazine, 'Sasanggye,' established by Jang Jun-ha from 1953 to 1970, served as a platform for government criticism and intellectual representation. The magazine created photographic-essays covering a variety of topics and utilized images as a visually impactful tool with news value.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hotographic-essays within 'Sasanggye' as archival records, shedding light on their intrinsic value. Before delving into this assessment, the paper thoroughly explores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photographic-essays. And based on the content divisions within the main text, the paper categorized the themes captured in the photographic essays into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and miscellaneous topics. It then introduced representative photographicessays. From an archival perspective, looking at photographs involves elucidating that photographs carry meanings beyond mere data. The photographic essays in 'Sasanggye' serve as photographic records providing evidence of 1960s Korean society and encapsulating crucial visu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photographic essays in 'Sasanggye' hold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Korean magazine documentary photography. The photo-essays in 'Sasanggye' carry worth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and encompass evidential and informational values as photographic recor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term gongye (工藝) (nowadays it means craft) during Korea's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examination of pre-modern usage, and the Korea-United States Treaty of 1882 for the changes that occurred between the translation from Chinese and from Japanese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port . After the port opened, the meaning of gongye, which once broadly referred to the wide range of work of people from different fields, was narrowed down to singularly represen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llowing the example of Japan, the first East Asian country to succeed in modernization, this new meaning of gongye was generally used in the context of embracing Western culture and creating industry. As industrialization emerged as a national mission, and new terminology was needed to express these new concepts, the Chinese characters used by the Japanese to translate Western concepts were directly imported and used without making any changes. Gongye was similar in meaning to gongeop (工業) (nowadays it means industry) at the time, and the two terms were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follow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cultural administration of the Governor-General imbued the term with artistic concepts, and gongye was differentiated from gongeop, As such, examining the establishment of terminology and concepts can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radictions and problems of the Korean crafts scene, which were derived from a period in the past called the modern era.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