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술의 역사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저자 초대-"한국근대미술의 역사" 펴낸 최열씨

  • Lee, Hyeon-J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9
    • /
    • pp.17-17
    • /
    • 1998
  • "한국근대미술의 역사"는 우리 역사에서 자생적으로 근대화 움직임이 일어나던 1800년부터 해방 직후까지 미술에 관한 모든 것을 연대기순으로 정리해놓았다. 이제까지 크고작은 구멍이 많았던 '근대'의 미술은 이 '사전'으로 메울 수 있게 됐다.

  • PDF

우편미술을 통한 작가 홍보에 관하여

  • 김학진;송재민;김권식;지성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10a
    • /
    • pp.54-55
    • /
    • 1999
  • 뉴 밀레니엄(New Millennium)으로 대변되는 역사의 커다란 전환점에서 과학 기술의 발전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전시문화의 영역과 형태, 또한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컴퓨터란 매체로 인해 정보 통신과 우편이 놀랄 만큼 발전하여 손으로 적어 보내는 우편은 갈수록 적어지고 있는 경향이다.(중략)

  • PDF

On the field of domestic studies on Western Art History and Western Art Theory (국내 서양미술사, 서양미술이론 연구 장에 관한 연구)

  • Shim, Sang-Yong
    •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 /
    • no.2
    • /
    • pp.75-120
    • /
    • 2004
  • Studies on western art in Korea has been caught in a dilemma that they could deal with only those things which had been arranged according to their 'historical generalization' in their contexts because of the bounds of time and space. It is not trivial that such conditions affect art studies in Korea. Access to the original texts and to their contexts of production is so restricted that the studies on them are prone to he superficial. And it is not independent on the politics of Korean art scene. Such factors are on the background of Korean art's excessive 'assimilation or accordance' with western art. The domestic studies on western art history and art theory have failed to notice the differences in context and Korean art has simply mediated or reproduced the restricted information by those studies. Also the studies on western art in Korea have been made use of as a justifying method of one's own academic domains. In such situations we should lead the studies on western art history and western art theory to a more reflective direction and confirm that the studies should not have any privileges of the realities. And we should try to reform a scholarship which participates in our life and existence. The field of domestic studies on western art history and western art theory should free itself from the invention of objectivity or the neutrality of mechanical reading and turn its eyes to the realities of life where events happens. Constantly suggesting which way Korean art and world art should go has to be the field's new coordinates.

  • PDF

한국근대미술의 인상파 도입과정과 아카데미즘 형성에 관하여

  • Im, Chang-Seop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9
    • /
    • pp.89-115
    • /
    • 2006
  • 한국근대미술은 유화 도입기인 1910년대를 한국미술사의 중요한 시작점이다. 1910년경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유화 도입배경과 그것이 당시 사회의 절실한 요청에 의한 것이었는지, 그렇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 한국근대미술 초기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일본근대 유화의 역사는 국수주의와 서구주의 물결이 반복하는 과정에서 점차 일본화된 소재의 등장과 일본정서에 부합하는 화풍을 만들어 나가게 되는 것이 1890년대부터 1910때까지의 일본근대 유화계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를 다시 요약하면 외광파와 인상파가 절충된 양식에 일본의 메이지낭만주의에 부합하는 소재 즉 일본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풍경에 대한 애착 등이 전체 유화의 기류로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새로운 문화의 하나였던 유화는 점차 세계의 다양한 미술사조 속에서 일본화다운 것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구로다 세이키'(黑田淸輝) 이전에 이미 형성되었던 일본근대 유화양식과 구로다의 외광파 양식, 또 외광파가 일본 근대유화의 주류로 형성하게 되는 계기, 여기에 프랑스에서 직접 배워 온 작가들에 의한 인상파 도입 그리고 일본 '메이지낭만주의'(明治浪漫主義)의 등장으로 인한 사회 환경구조의 변화 속에서 양성된 그들의 절충양식의 초기유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근대미술은 '민족적 자부심'과 '민족적 열등감'이 동시에 존재하는 사회적 배경논리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근대미술의 사상적 배경에는 민족 개량주의적 발상과 계몽주의적 문화 활동에 있었다고 할지라도 근본적으로는 미술자체를 근대사회 발전의 연장선 속에서 파악하지 못했고, 따라서 미술자체를 새로운 문명수입이라는 근대적 풍물 정도로만 파악했던 것이 어쩔 수 없는 근대미술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미술을 주목한 이유는 근대적 사회로 발전하기 위한 하나의 필수적인 요소로 미술자체를 파악하고 나아가, 식산흥업(殖産興業)의 수단으로 인식 했던 신지식층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명의 발달이 미술의 발달에서 연원한다는 '미술문명론' 같은 시각이 미술자체가 성격이나 창작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어떤 미술이든 그것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근대 즉 문명화된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아카데미즘 역시 일본근대미술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초기유학생들은 그 당시 일본의 잡지나 화단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시안들을 피상적으로 이해하는 정도였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초기유학생들의 작품과 그 이후 선전에서 입선하는 작품들은 일본아카데미즘의 영향 밑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일본 근대 유화에서 형성된 외광파의 요소와 인상파 요소들이 일본 낭만주의로 표면화된 하나의 일본근대 유화의 형식 그대로가 한국아카데미즘의 성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1922년에 시작된 선전은 심사위원 대부분이 동경미술학교 교수이면서 구로다의 제자이거나 동료였다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더욱 확고하게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초기유학생들이 남긴 작품들은 완전한 인상파에 대한 지식이나 깊은 자아의식을 가지고 제작된 것은 아니라, 일본 동경미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었던 것들을 그대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그림은 구로다의 외광파라고 부르는 것들의 영향보다는, 인상파를 보고 배웠던 동경미술학교 교수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영향은 그대로 한국 근대미술의 아카데미즘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 PDF

A Study on Management of Records of Art Archives (미술 아카이브의 미술기록관리 방안 연구)

  • Jeong, Hye-Rin;Kim, Ik-Ha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0
    • /
    • pp.151-212
    • /
    • 2009
  • Museums are producing new value and being redefined as places that reproduce context, as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re being reflected in museum activities. The new additional functions and roles to the traditional mission of museums allow artworks to find potential functions of art archive and meseum. At the same time, the public has faced originality and aura of an artwork by viewing the physical subject. However, with the appearance of a new digital object, the initiative of viewing has moved over from the artwork to the hands of the public. Now, the public does not go to the museum to see an artwork, but has started to adopt to an opposite paradigm of bringing the artwork forward to the screen. Therefore, they are not satisfied any longer with just seeing an artwork, but demand more information about the artworks and reproduce it as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ind typ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definition and range selection of art archive at this point where the value of art archive is enhanced and systematic management is required, and to present record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art archive structure and core execution function. It especially stressed that the basis of overall art archive definition was in an 'approach' paradigm rather than a 'preservation' paradigm, and embodied various application methods of digitalized art records. The digital object of an artwork was recognized as the first materialization of an actual artwork, and the digital original of an artwork was presented as the core record. Art archive managed under physical and intellectual control were organically restructured focusing on digital original copies of artworks, which are the core record in a digital technology environment, and could be provided to users in forms of various services that meet their demands. The beginning of systematic management of such art records will become a first step to enhance historical value, establish art cultural identity, and truly possess art culture.

Archival Discourse in Contemporary Art and the Rethinking of "Archival Art" (현대미술에서의 아카이브 담론과 '아카이브 아트'의 재고찰)

  • Hyerin L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4 no.1
    • /
    • pp.31-46
    • /
    • 2024
  • This study provides a synthesis of the fundamental concepts of "art archives" and "archival art" while undertaking a reconsideration of the latter. Archival art refers to "artworks or art practices that utilize archival structures or methodologies." Accepted as a new trend in contemporary art, archival art is evaluated as a counternarrative and reconstructs histories that are marginalized and omitted from the public sphere. This approach reveals the contradictory nature of criticizing the contemporary archive from an anti-archival perspective while simultaneously presenting the archive as a core identity of the work. Given the limited research on archival art, often with potential contradictions regarding record authenticity, this study expands the concept of archival art, includes archaeological aspects, classifies types,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By approaching artists' use of archives from a traditional archaeological lens, this study broadens the scope of the examination.

전시회 - 한국만화 100년전

  • Park, Seong-Gwon
    • 프린팅코리아
    • /
    • v.8 no.7
    • /
    • pp.112-113
    • /
    • 2009
  • 한국만화 100년을 조망하는 대규모 기획전시 '만화-한국만화100년'전이 한국만화100주년 위원회(위원장 박재동.김동하.이동수.이홍우)와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배순훈) 공동 주최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오는 8월 23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굴곡진 한국 근 현대사와 함께 한 '한국만화 100년의 역사', 풍성한 문화콘텐츠로 발전을 거듭해온 '장르만화', 만화의 예술적 가능성을 살펴본 '크로스오버-미술과 만화의 경계 너머' 등 세 구역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또한 한국만화의 각 시대를 대표하는 250여명의 작품 1500여점, 만화적 감성과 상상력으로 작업하는 현대미술작품 60여점이 전시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