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술가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3초

미술가의 경력형성에 관한 연구 - 카우스(KAWS)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n Artist: The Case of KAWS)

  • 이진우
    • 예술경영연구
    • /
    • 제53호
    • /
    • pp.47-69
    • /
    • 2020
  • 본 연구는 미술가 경력형성에 영향을 주는 주체 및 기관을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예술학교, 갤러리, 비평가 및 미디어, 컬렉터 등 작가의 경력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자의 역할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미술가 카우스(KAWS)를 본질적 사례로 선정하고,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카우스의 경력 궤적(trajectory)과 연관된 다양한 출처의 이차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이론적 배경 안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학적 시각을 내포한 선행연구의 연장선에서 예술계를 구성하는 갤러리, 비평가 및 미디어, 컬렉터가 카우스 경력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을 명료화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경시된 작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미술가 경력형성의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미술가들의 음영 표현 특성과 CG 쉐이딩 알고리즘 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rtists' Shading and CG Shading)

  • 변혜원;박윤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91-702
    • /
    • 2011
  •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와 사용자의 인지를 결합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Cole 등은 미술가들의 라인 드로잉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존의 CG(Computer-Generated) 라인 드로잉 알고리즘들이 미술가들의 드로잉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비교하고, 사용자들이 어떤 라인 드로잉 알고리즘의 결과에서 형태를 효과적으로 인지하는지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라인 드로잉 알고리즘의 결과보다 BRDF 쉐이딩 모델이 적용된 결과에서 형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인지한다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음영이 형태 정보를 전단하기에 더욱 효과적인 요소임을 반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물체에서 인지한 음영과 미술가들의 음영 표현, 그리고 CG 쉐이딩 알고리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연구한다. 특히, 미술가들의 음영 표현 특성과 CG 쉐이딩 알고리즘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수집한 실험 데이터 및 분석 결과는 효과적인 형태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CG 쉐이딩 알고리즘을 설계하는데 활용한 것으로 기대된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유형 (New Trend on the Types of Public Art Projects Since 2000 in Korea)

  • 김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98-2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행해져 온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어떤 개념과 형태를 가지고 현재까지 이루어졌는지 그 현황을 알아보고, 2000년 이후 국내 시민단체나 관에서 행해진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을 통해 앞으로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미술프로젝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는 실천적 힘과 사회적, 교육적 효과, 현사회의 원활한 흐름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공공미술을 새롭게 인식하는데 역점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 공공미술프로젝트들을 진단하고 공공미술은 아트(Art) 자체가 아닌 커뮤니티(Community)가 되어야 한다는 방향을 제언함에 있어 의의를 갖는다.

3차원가상미술관 프레임워크디자인 - 국립현대미술관의 증강현실 창작모듈설계 (Fame-work Design on 3D Cyber Museum-Construction of Augmented Reality(AR) Creation Module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임장훈
    • 트랜스-
    • /
    • 제9권
    • /
    • pp.93-122
    • /
    • 2020
  • 사용자 통합 환경의 시대에서 미술가와 그래픽디자이너들이 자신들의 자율의지로 제작한 창작물들을 자유롭게 전시할 수 있는 기반으로 3차원 가상공간의 증강현실 미술관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개발환경(IDE)에서 3차원시뮬레이션 방식을 활용하는 미술가와 그래픽디자이너의 창작자들을 위한 풍족한 통합제작환경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가와 그래픽디자이너가 자신의 자율의지로 마음껏 창작해 나갈 수 있는 통합개발환경에서 창작을 위한 3차원시뮬레이션엔진을 구성하고 안드로이드의 3차원가상공간 증강현실의 창작모듈을 설계한다. 이를 설계하여 미술가와 그래픽디자이너가 마음껏 창작한 그래픽을 무한한 디지털공간에 전시할 수 있도록 현재의 국립현대미술관을 3차원가상 공간의 전시실로 제작하여 관객의 사용자조사를 해보고 안드로이드스마트폰에 Tasking하여본다.

  • PDF

한국출판미술협회 주최 "한국 출판미술대전 1997"

  • 대한출판문화협회
    • 출판저널
    • /
    • 통권216호
    • /
    • pp.24-25
    • /
    • 1997
  • 한국출판미술협회(회장 강우현)가 주최하는 "한국출판미술대전 1997"이 지난 13일부터 5일간 세종문하회관 전시실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신인상 공모 입상작' 60여점, 창작동화 공모 "황금도깨비상" 입상작 50여점, "전래동하공모 입상작" 50여점 등 160여점과 협회회원 작품 150여점이 선보였다. 입상작들은 입체적인 화면과 발랄한 아이디어로 멀티미디어 시대 출판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

  • PDF

회화를 통한 미술교육 -20세기 후기 회화를 중심으로- (Research on Art Education through Paintings -Centering on the Painting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20th Century-)

  • 안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496-503
    • /
    • 2010
  • 20세기 전기 미술교육은 표현주의와 실용주의 교육방법으로 일관되었다면, 후기 미술교육은 다양성, 대중성과 같은 시대의 욕구를 반영한다는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20세기 후기회화의 다양성과 미술교육에 대한 것이며, 특히 현대회화의 역사 속에 나타난 몇몇 미술가의 작품 양상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후기 모더니즘의 미술교육을 이해하려 한다. 20세기 후기회화에 나타난 다양한 이미지들은 파편적이고 분열적인 방식으로 증식되고 또 과거와 현재가 자유롭게 한 화면에서 결합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현대 미술가들의 다양한 표현은 20세기 전반기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오늘날 현 시대를 살고 있는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매체접근을 길러주기 위함이며, 미술교육에 있어서 좀 더 다양한 양식표현과 이해를 돕고자 하는 관점 이다.

현대미술에서의 아카이브 담론과 '아카이브 아트'의 재고찰 (Archival Discourse in Contemporary Art and the Rethinking of "Archival Art")

  • 이혜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46
    • /
    • 2024
  • 본 연구는 현대미술의 아카이브 담론으로서 '아트 아카이브'와 '아카이브 아트'의 기초 개념을 정리하고, 아카이브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미술작품이라는 매체적 특수성으로 인해 기록학에서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아카이브 아트를 새롭게 고찰한다.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아카이브 아트는 '아카이브 구조나 방법론을 활용하는 미술작품이나 미술실천'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아카이브 아트 관련 연구의 주된 특징은 권력자에 의해 평가 및 선별되었기에 아카이브를 신뢰할 수 없는 대상으로 평가하고, 미술가가 공적 영역에서 소외되고 결락된 역사를 새롭게 구축한다는 점에서 대항서사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반아카이브적 관점으로 현대 아카이브를 비판하면서도 아카이브를 작품의 핵심적인 정체성으로 내세우는 모순적 특성을 드러낸다. 따라서 지금까지 전개된 주요 논의들은 기록의 진본성을 존중하고 기록 정보를 활용해 자신의 논리를 강화하는 사례를 포괄하지 못하고, 심지어 이들과 대치된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학의 측면으로 아카이브 아트를 재정리해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성을 분석할 것이다. 미술가가 활용한 아카이브 개념을 전통적인 기록학의 측면에서 접근하려는 시도는 미술작품이 지닌 본래의 미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이를 기록학의 연구 대상으로서 확대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