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소동물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4초

산불지역의 토양동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il Animal in the Forest Fire Area)

  • 손홍인;최성식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7-62
    • /
    • 2000
  • 본 연구는 산불이 토양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써 1997년 4월 11일에 약 50 ha 정도 화재가 발생한 경남 하동군 횡천면 전대리에 위치한 야산에서 실시되었다. 조사 지역의 식생은 흉고직경 7-14cm, 20-30넌생 소나무가 절대적인 우점종이며 그 밖에 참나무와 수목과 때죽나무, 개옻나무, 진달래, 관목류 등의 혼합림이며, 초본류로 구성되어 있는 지표층은 비교적 단순한 지역이며, 화재지역은 부엽층(약 10cm)이지만, 비화재지역은 낙엽.낙지와 부식층 및 지피식물들이 풍부한지역이다. 토양미소절지동물들은 계절에 따른 밀도와 환경 인자와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며, 중.대형 동물은 계절에 따른 밀도와 생체중이 환경 인자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소절지동물은 7강 24목에 257,087개체수이며, 중.대형 동물은 7강 22목에 8,006개체수가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개체군은 거미강, 곤충강, 지네강, 결합강, 노래기강, 연갑강, 빈모 강등이었다. 2. 토양미소절지동물은 전체 257,057개체수중에서 거미강이 70.9%로 가장 높은 개체수 비율을 나타냈으며, 곤충강이 28.4%로 나타나 이들 2군의 합계가 99.45%로 절대적인 우위를 보였고, 중.대형동물에서는 전체 8.006개체수중에서 곤충강이 57.6%로 가장 높은 개체수비율을 보였으며 다음이 지네강으로서 23.8%의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 PDF

남산과 광릉의 토양 미소절지동물에 관한 연구 (Soil Microarthropods Fauna at the Namsan and Kwangreung)

  • 박홍현;정철의;이준호;이범영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7-47
    • /
    • 1996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il mictoarthropods fauna in Namsan and Kwangreung which were considered to receive different degreeds of environmental pressures. In basic environmental data, Namsan where under rather accelerated acidification by air contamination and acidic rain showed low pH, tardy decomposition and turnover rate. Population density of soil microarthropods was high in Kwangreung 17,169.8/\ulcorner\ulcorner(coniferous forests), 17,892.6/$\textrm{m}^2$(deciduous forests) than in Namsan, 12,143.8/$\textrm{m}^2$ (coniferous forests), 14,216$\textrm{m}^2$(deciduous forests). Biomass of soil microarthropods was 2,020.219mg/$\textrm{m}^2$ at coniferous forests and 4,270.172mg/$\textrm{m}^2$ at deciduous forests in Namsan, and 3,287.326mg/$\textrm{m}^2$ at coniferous forests and 4326.1mg/$\textrm{m}^2$ at deciduous forests in Kwangreung. Population density constantly showed high in spring, and seasonal fluctuations were correlated with seasonal precipitation. As far as vertical distribution is concerned, population density was concentrated in litter layer as 70% while 30% are in soil layer and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depth.

  • PDF

무기질비료의 장기연용이 토양생물 및 먹이연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inuous use of Inorganic Fertilizer on the Soil Organisms and Food Chain)

  • 어진우;박기춘;박진면;김명현;최순군;방혜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9-45
    • /
    • 2016
  • 장기간의 무기질비료 연용은 토양생태계의 비생물적 및 생물적 요소에 영향을 미쳤다. 질소 투입은 식물의 생장과 토양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이것이 토양미생물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토양 pH의 감소나 EC의 증가와 같은 환경스트레스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미생물 밀도는 처리간 차이가 있었지만, 이를 섭식하는 미소동물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다만 동적평형에 의해 표면적으로 밀도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거나, 각 생물군의 군집조성이 변화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유기물함량과 선충밀도의 유의적 상관관계는 시비에 의한 토양 이화학성 변화가 직접적으로 미소동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분해자인 미생물과 이를 섭식하는 미소동물간의 상관적 관계가 없었다는 것은 먹이연쇄에서 환경요소의 변화가 먹이양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서울대 광양연습림내 토양 미소 절지동물에 관한 연구 - 4. 토양 미소 절지동물과 서식환경과의 관계 (Soil Microarthropods at the Kwangyang Experiment Plantation (4. Diversity of Soil Microarthropod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 Kwak, Joon-Soo;Park, Joung-Sik;Park, Nou-Poung;Park, Seong-Sik;Kim, Tae-Heung;Kim, Tae-Yo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203-208
    • /
    • 1989
  • This study was objected to figure out the soil microarthropod fauna in forests with different flora, and to elucidate how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diversity of soil microarthropods. Relationships between the distribution density of soil microarthropod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organic matter and C/N ratio. By the calculation of the contribution coefficients, organic matter, amount of precipitation, C/N ratio, and soil moisture were found to b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bution of soil microarthropods.

  • PDF

사과원에서 피복식물이 토양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er Plants on Soil Biota: A Study in an Apple Orchard)

  • 어진우;강석범;박기춘;한경숙;이영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7-292
    • /
    • 2010
  • 사과원 토양의 지속적인 생산성을 위해 토양생물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피복식물 재배에 따른 미생물 PLFA 및 미소동물의 개체밀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피복식물은 두과식물인 호밀, 귀리, 들묵새와 두과식물인 자운영, 레드클로버, 크림슨클로버, 헤어리배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청경구에 비하여 피복식물을 재배하였을 때 미생물 PLFA 수치 및 미소동물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청경구보다는 피복식물로 토양을 관리하는 것이 토양생물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생물 PLFA 수치에서는 피복식물간 차이가 적었지만, 화본과식물 중에서는 들묵새와 두과식물 중에서는 자운영이 토양의 미소절족동물의 개체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적절한 피복식물 선정을 통한 효과적인 유기물분해와 안정적인 양분공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잣나무 조림지내 토양미소절지동물상에 관한 연구. 3. 토양미소절지동물의 종류와 분포 (Soil microarthropods fauna in plantations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 et Z.). 3. Population densities of soil microarthropods)

  • 권영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8-175
    • /
    • 199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he soil microarthropods community in plantations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the sudong area, Namyangju-gun, Korea) , which had been planted in different years. The soil samples intended to collect soil animals were taken monthly from June 1988 to July 1989. The composition of soil microarthropods community included Arachnida, Chilopoda, Insecta, Collembola, Diplopoda, Crustacea, and Symphyla. The Acarina were composed of 82.4% of Cryptostigmata, 8.0% of Mesostigmata, 7.9% of nymphs, and 1.7% of others. The Insecta included six orders including Hymenoptera(65.8%) and Diptera(13.9%). Population densities increased from when the plantations were first established until the planting were 25 years old, after which they declined. Population densities of the soil microarthropods were highest in July and lowest in January. The Collembola/Acarina ratio is 0.16 overall, and was highest in January and lowest in August.

  • PDF

대상벌채(帶狀伐採)한 리기다소나무 조림지(造林地)의 토양미소절지동물(土壤微小節肢動物) 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Distribution of Soil Microarthropods in Pinus rigida Plantations following Strip-Cutting)

  • 오광인;조희두;안기완;장석기;정진철;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57-265
    • /
    • 2001
  • 리가다소나무 조림지의 벌채수준에 따라 토양에 서식하는 토양미소절지동물의 분포상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1998년 5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기간동안 토양미소절지동물은 총 7강 21목 181,904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이들의 구성은 거미강(Arachnida), 곤충강(Insecta), 연갑강(Malacostra), 소각강(Pauropoda), 노래기강(Diplopoda), 지네강(Chilopoda), 애지네강(Symphyla)이었다. 2. 조사기간내 채집된 토양미소절지동물은 대조구에서 82,9627개체, 잔존구에서 62,688개체, 벌채구에서 36,254 개체로 대조구는 벌채구에 비하여 2배 이상 채집되었다. 3. 벌채로 인한 영향은 응애목이 비교적 심하여, 벌채시 응애목과 톡토가목의 밀도가 모두 감소하나, 특히 응애목의 감소율이 높아 벌채구에서는 톡토기목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4. 토양미소절지동물의 군집구성비는 거미강이 59.74%(108,678개체)로 가장 높은 개체수 밀도를 보였으며, 곤충강이 39.82%(72,427개체)로 나타나 이들 2군의 합계가 99.56%(181,105개체)로 절대적인 우위를 보였다. 5. 거미강에서는 응애목이 전체의 99.18%, 곤충강에서는 톡토기목이 93.99%로 가장 높은 개체수 밀도를 나타냈으며, 전체동물군에서도 응애목(59.25%), 톡토기목(37.42%)의 분포비율이 96.67%로 가장 높았고 벌목 0.95%, 파리목 0.64%, 앉은뱅이목 0.39%의 순이었다. 6. 계절에 따른 토양미소절지동물 군집분포는 7월에 최저를 기록하고 점차 증가하여 가을철인 11월에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냈으며, 겨울철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봄철인 4월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