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 누출

Search Result 24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치과용 Ni-Ti 파일의 피로파절특성에 미치는 표면개질의 영향

  • Choe, H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76-76
    • /
    • 2017
  • Ni-Ti 파일은 근관치료 시 근관형성에 사용되며 근관계 내 조직 잔사와 세균 을 포함한 모든 내용물을 제거하고 미세누출이 생기지 않도록 성공적으로 근관충전을 할 수 있는 근관의 형태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Ni-Ti 파일은 수동형 파일처럼 날이 풀어지거나 예각으로 꺾이는 등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파일의 피로도나 손상정도를 인지하기 어려워 파일이 근관 내에서 부러지는 것을 막기가 어렵다. Ni-Ti 파일은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는 구부러짐이나 풀림 등의 소성변형 없이 기구의 탄성한계 내에서 갑작스럽게 파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만곡 근관 내에서 기구가 회전하는 동안 만곡의 안쪽에는 압축응력이, 만곡의 바깥쪽에는 인장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파절의 표면에 미세 파절과 균열이 발생하고 전파되어 결국 피로파절(fatigue fracture)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Ni-Ti파일이 반복응력을 받으면 균열이 형성되면서 파절이 야기되며 연성파절(ductile fracture) 양상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Ni-Ti 파일을 이용한 피로파절에 대한 이전의 연구에서는 파일의 직경이나 경사도 (taper), 단면 형태 및 회전속도, 표면결함 등이 파절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사용하지 않은 Ni-Ti파일을 구부려 응력을 가 한 상태에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기계 가공 과정에서 발생한 균열, 미세 결함, 긁힌 자국 및 불균질성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발표에서는 표면결함을 최소화하고 기구의 회전응력 하에서 피로파절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Smart Windows Customized for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실내외 환경 맞춤 스마트 윈도우의 구현)

  • Kim, Tae-Sun;Park, Byung-Jun;Park, Jun-Hong;Jung, Won-Hee;Shin, Hyo-Bin;Eum, In-Seob;Lee, Do-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35-436
    • /
    • 2022
  • 창문은 건물의 필수 구조물이지만 창문을 통해서 미세먼지, 빗물 등이 들어올 수 있어 창문을 열고 나가지 못하고 불안해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들어 미세먼지가 급증하면서 사람들의 불안감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보안에 취약한 창문들이 범죄에 취약하기 때문에 불안해 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서도 가스누출 등으로 인해 인명피해까지 이어지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불안감을 없애기 위하여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실외의 미세먼지와 빗물, 인체감지등을 통해 원격으로 창문을 제어하고 실내의 온도와 습도량, 가스량의 표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제어 또한 가능하도록 '실내외 환경맞춤 스마트 윈도우'를 개발하게 되었다.

  • PDF

COMPARISON OF MICROLEAKAGE IN SEALANT REPAIRED WITH DIFFERENT SURFACE TREATMENT (파손된 치면열구전색제의 수리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 비교)

  • Kang, Myung-Bong;Hyun, Hong-Keun;Kim, Young-Jae;Kim, Jung-Wook;Jang, Ki-Taek;Lee, Sang-Hoon;Hahn, Se-Hyun;Kim, Ch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4 no.2
    • /
    • pp.204-214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differences in surface treatment prior to repair influenced the seal of a resin fissure sealant placed on the occlusal surfaces of permanent molar teeth. One hundred and twent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selected and a light curing sealant was placed on their occlusal surface following cleaning by prophylaxis and acid etching. The teeth were deliberately damaged, and then stored in artificial saliva for four weeks. Sixty teeth with the desired morphology of sealant failur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where one group was treated with only etching agent, another by only air-abrasion, another by applying an etching agent followed by a bonding agent, and the last by air-abrasion followed by a bonding agent each. After sealant application, the samples were thermocycled and the degree of microleakage was deter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sealant/sealant interface group 2(0.22), 4(0.23) using air-abrasion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microleakage score than group 1(0.38), 3(0.35) using an etching agent(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between groups 1, 2 and groups 3, 4. 2. In the sealant/tooth interface, group 3(0.20), 4(0.20) which used a bonding agen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microleakage score than group 1(0.35), 2(0.40)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between groups 1, 3 and groups 2, 4. 3. In SEM examination, while sealant surfaces treated with etching did not result in highly rough surfaces, those treated with air-abrasion did show rough surfaces.

  • PDF

Smart Home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and Wi-Fi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를 이용한 스마트홈 제어 시스템)

  • Yeo, Sang-Sam;Lee, Won-Ho;Park, Seong-Yong;Park, Geon-Hui;Jo, Da-Hye;Koo, J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63-664
    • /
    • 2020
  • 안전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각종 스마트기기에 가까워져 있다. 휴식을 취하는 가정에서도 역시 사람들은 스마트폰과 각종 웨어러블 기기가 일상이 되었고, 가전제품 또한 사물 인터넷화되며 사람들의 편의성에 보탬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가오는 4차산업혁명인 사물인터넷에 다가가는 주제를 선정하였고, 사람들이 가정에서 휴식을 취할 때 온습도, 미세먼지 농도를 사용자 지정 값에 의하여 자동 환기하여 쾌적한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준다. 모든 측정값은 가정 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부하의 전원과도 연결하여 손쉽게 전원제어 역시 원격으로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외출 시 가스 누출 사고와 화재 발생을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통해 원격으로 앱에 경보를 제시하고 누출된 측정값을 도식하면서 큰 2차 피해로 이어지기 전에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성을 주제로, 사람들에게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고 앞으로의 4차산업혁명인 사물인터넷과의 연계 역시 기대할 수 있다.

  • PDF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치면열구전색의 유지력)

  • 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3 no.2
    • /
    • pp.336-347
    • /
    • 2006
  • Pit and fissure sealants has been proven as safe and effective method of caries prevention. But improper applica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may masking the caries process in occlusal fissure. Dentists have to understand the correct and exact application method of pit and fissure sealant for he good result of caries prevention. A key factor to enhanced the effectiveness of caries prevention is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Deep penetration of material into fissure and least marginal leakage around the fissure orifice are the major concerns for dentists to achieve the successive applica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This paper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pit and fissure sealants under the following subtitles for enhanced retention : (1) application timing, (2) Indication, (3) Occlusal prophylaxis, (4) Materials, (5) Penetration, (5) Recall check Dental profession must perform the exact applica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because this procedure is one of the most technique-sensitive one in dental field.

  • PDF

EFFECT OF SOFT CHELATING IRRIGATION ON THE SEALING ABILITY OF GP/AH PLUS ROOT FILLINGS (Soft chelating irrigation이 GP/AH Plus로 충전된 근관의 sealing ability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 Yu, Yi-Suk;Kim, Tae-Gun;Lee, Kwang-Won;Yu, Mi-Ky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4 no.6
    • /
    • pp.484-49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ft chelating irrigant on the sealing ability of root fillings by using a glucose leakage test. A total of 45 single-rooted teeth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teeth were decoronated leaving a total length of 13mm. The root canals prepared using K3 NiTi rotary instruments to an apical dimension of size 45(0.06 taper). The specimens were then randomly divided into 3 experimental groups of 13 roots each and 2 control groups of 3 roots each. Specimen in each group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irrigation protocols : group 1, 2.5% NaOCl; group 2, 2.5% NaOCl and 17% EDTA: group 3, 2.5% NaOCl and 15% HEBP. The root canals were filled with gutta-percha and AH Plus sealer using lateral condensation. After 7 days in $37^{\circ}C$, 100% humidity, the coronal-to-apical microleakage was evaluated quantitatively using a glucose leakage model. The leaked glucose concentration was measured with spectrophotometry at 1, 4, 7, 14, 21 and 28 days. There was a tendency of increase in leakage in all experimental groups during experimental period. HEBP-treated denti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DTA-treated dentin during experimental period. From the 21th day onward, HEBP-treated dentin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akage than smear-covered dentin. HEBP-treated dentin displayed a similar sealing pattern to EDTA-treated dentin and a better sealing ability than smear-covered dentin. Consequently, a soft chelator(HEBP) could be considered as the possible alternative to EDTA.

Comparative study on the apical sealing ability according to the obturation techniques (근관충전방법에 따른 치근단부 폐쇄능에 대한 비교연구)

  • Hwang, Ho-Keel;Park, Sun-Hee;Lee, Yeon-Jae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3
    • /
    • pp.290-298
    • /
    • 2002
  • 3차원적으로 잘 충전된 근관은 치근단 누출과 재감염을 방지하며, 조직이 잘 치유될 수 있는 생물학적 환경을 제공해준다. 이 때문에 근관계의 완전한 충전은 근관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방법으로 근관충전 후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근관충전의 질을 평가하고 투명표본을 제작하여 색소침투범위를 측정함으로써, 근관충전방법에 따른 치근단부 폐쇄능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직선형의 단근관을 갖는 80개의 전치를 선택하여 ProFile$^{\circledR}$ 니켈-티타늄 회전식 기구를 사용하여 근관을 성형한 후 무작위로 20개씩 4군으로 나누었다. 사용된 근관충전법은 다음과 같다:MicroSeal$^{\circledR}$(Group A), Thermafil$^{\circledR}$(Group B), Continuous wave 충전법(Group C), 측방가압충전법(Group D), 각 군에서 10개 치아는 Sealapex를, 나머지 10개 치아는 AH26$^{\circledR}$을 충전용 시멘트로 사용하였다. 근관충전이 끝난 치아는 충전의 질과 길이를 평가하기 위해, 근원심과 협설방향으로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각 치아의 치근단부 2mm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두겹의 nail varnish를 바르고, 2% methlylene blue용액에 48시간동안 침잠시켰다.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투명치아를 만들었다. 선상의 색소침투를 관찰하고 치관측 최대깊이를 입체현미경하에서 40배율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충전방법에 따른 근단부 폐쇄효과를 비교시, 실험군 모두 비교적 양호한 근단부 폐쇄효과를 보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2. 충전용 시멘트에 따른 근단부 폐쇄효과를 비교시, AH26$^{\circledR}$을 사용한 군에서 Sealapex를 사용한 군보다 더 적은 색소침 투를 나타냈다(p<0.05). MicroSeal$^{\circledR}$을 이용한 실험 1군내에서 AH26$^{\circledR}$을 사용하였을 때 미세누출이 더 적었고(p<0.05), 다른 군내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3. 근단부 충전상태에 따른 미세누출 비교시, 저충전, 과충전과 색소침투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4.충전방법에 따른 근단부 충전상태 평가시, Thermafil$^{\circledR}$을 이용한 실험 2군에서 과충전이 많이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기존의 측방가압법 및 여러 열가소성 충전법이 유사한 근단부 폐쇄효과를 나타낸 바, 방법에 따른 술자의 숙련도, 충전시간, 재근관치료의 편이성 등을 고려하여 근관충전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 장치 특성 연구

  • Choe, Seo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59-260
    • /
    • 2012
  • 산업화가 발달됨에 따라 대기 오염 물질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특히 기름 및 석탄 연소 보일러, 자동차, 제철, 시멘트 플렌트, 소각로 등은 미세 분진을 발생시키는 주원인이 되어 왔다. 최근 대기환경법은 오염 분진의 중량 규제로부터 $10{\mu}m$ 미만의 PM10에서 $2.5{\mu}m$ 미만의 PM2.5의 미세 분진에 대한 규제로 점차 심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미세분진은 고전적인 제거 방법으로는 매우 어려우며 고가의 HEPA 필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전기 집진은 미세 먼지 제거에 매우 효율적이어서 $1{\mu}m$ 미만의 미세 분지도 99%까지 제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입자크기가 클 경우에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사이클론 집진기는 매우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가격이 저렴하고 운영비가 적게 들며 $10{\mu}m$ 이상의 먼지는 99% 이상 제거가 가능하여 산업현장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지만 입자크기가 $10{\mu}m$ 미만으로 가면 집진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이클론 집진기의 구조를 기본으로하여 사이클론 집진기 내부에 플라즈마 방전을 설치하여 원심력에 의한 집진과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기 집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사이클론 집진기는 직경 30 cm 높이 120 cm의 사이클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1 hp의 터보송풍기를 장착하여 $20m^3$/min 이상의 유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제작된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0m^3$의 체적을 가지는 테스트 챔버 내부에 사이클론 집진기를 설치하고 향을 태워 미세 먼지를 발생시킨 후 다양한 조건에서 집진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미세 먼지의 경우 사이클론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테스트 챔버 벽면에 흡착되어 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매우 느리게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 되었다. 코로나 방전을 하지 않고 오존 파괴기에 활성탄만 충진한 상태에서 사이크론을 작동시킬 경우 지속적으로 천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코로나 플라즈마를 방전시킨 경우 미세 먼지는 HEPA filter를 장착한 것보다도 조금 빠르게 미세먼지를 제거하였다. 챔버 내부의 미세먼지가 초기 값의 1/10에 도달하는 시간은 코로나 방전 전류가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100초 이내에 90% 이상 제거가 가능하였다. 하이브리드 사이클론 집진기는 집진 뿐 만 아리라 VOC 성분도 분해가 가능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있다. 유해 가스 제거 능력을 실험하기 위하여 분진제거 실험에 사용된 챔버 안에 아세톤을 증발시켜 50 ppm이 되도록 한 후 다양한 조건에서 유해물질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세먼지와는 달리 장비를 작동하지 않을 경우 매우 느리게 아세톤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미세 먼지와는 달리 흡착이 발생하지 않고, 측정 챔버 자체가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적으로 조금씩 외부로 누출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코로나 플라즈마만 방전시켰을 경우 초기 농도의 80%가 제거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28분 정도로 코로나 플라즈마가 VOC 제거에 효과가 있음은 확인하였으나 제거율이 그리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오존 파괴를 위해 활성탄으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시킨 경우는 약 12분 경과 후 80%가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VOC의 감소가 매우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활성탄 대신 $MnO_2$ 복합촉매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한 경우 약 3분 정도 경과 후 80%의 아세톤이 제거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코로나 플라즈마를 작동시키면서 $MnO_2$ 복합촉매로 충진 된 오존파괴기를 통과시킨 경우 약 2분 정도 경과 80% 이상의 아세톤이 제거되어 코로나 플라즈마와 복합촉매를 사용할 경우 VOC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AFTER ENAMEL SURFACE TREATMENT (법랑질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재의 미세누출에 관한 비교연구)

  • Hyun, Hong-Keun;Kim, Jung-Wook;Lee, Sa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8 no.3
    • /
    • pp.512-521
    • /
    • 2001
  • Recently. the reintroduction of air-abrasion technology in dentistry has added a new potential method of pretreating teeth prior to placing sealants.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investigate microleakages of several pit and fissure sealants following various surface pre-treatment methods to the enamel, because there was a question concerning the validity of claim that this method wa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acid etching. Permanent molars were divided randomly into nine groups and treated accordingly: acid etching(group 1, 4, 7), air-abrasion(group 2, 5, 8), acid etching after air-abrasion(group 3, 6, 9). Then the authors placed and cured the three kinds of sealants(group $1\sim3$: Teethmate-F, group $4\sim6$: Ultraseal XT plus, group $7\sim9$: Denseal)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order. They were observ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microleakage. And these specimens were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enamels and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comparing microleakage among tooth surface treatment methods, air-abrasion group(group 2, 5, 8) showed the greatest microleakage, while combination(air-abrasion + acid etching) group showed the least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 7 and 9. 2. The mean microleakages were ranked as follows(p<0.05): In acid etching groups, group 7> group 4> group 1. In air-abrasive groups, group 8>groups 5> group 2. In combination groups, group 9>group 3> group 6.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 4 and 7 between group 2 and 5 and between group 3 and 6. 3. SEM showed that comparably longer resin tags were distributed regularly in acid etching groups and that shorter ones irregularly in air-abrasion groups. It also showed that these two kinds of tags were distributed simultaneously in combination groups.

  • PDF

MICROLEAKAGE OF THE EXPERIMENTAL COMPOSITE RESIN WITH THREE COMPONENT PHOTOINITIATOR SYSTEMS (3종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실험용 복합레진의 미세누출도)

  • Kim, Ji-Hoon;Shin, Dong-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4 no.4
    • /
    • pp.333-339
    • /
    • 2009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microleakage between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in which various proportions of three component photoinitiators (Camphoroquinone, OPPI, Amine) were included. Four kinds of experimental composite resin were made by mixing 3.2% silanated barium glass (78 wt.%, average size; 1 ${\mu}m$) with each monomer system including variously proportioned photoinitiator systems used for photoinitiating BisGMA/BisEMA/TEGDMA monomer blend (37.5:37.5:25 wt.%). The weight percentage of each component were as follows (in sequence Camphoroquinone, OPPI, Amine): Group A - 0.5%, 0%, 1% / Group B - 2%, 0.2%, 2% / Group C - 0.2%, 1%, 0.2% / Group D - 1%, 1%, 2%. Each composite resin was used as a filling material for round class V cavities (diameter: 2/3 of mesiodistal width; depth: 1.5 mm) made on extracted human premolars and they were polymerized using curing light unit (XL 2500, 3M ESPE) for 40 s with an intensity of 600 mW/$cm^2$. Teeth were thermocycled fivehundred times between $50^{\circ}C$and $550^{\circ}C$for 30s at each temperature. Electrical conductivity (${\mu}A$) was recorded two times (just after thermocycling and after three-month storage in saline solution) by electrochemical method. Microleakage scores of each group according to evaluation time were as follows [Group: at first record / at second record; unit (${\mu}A$)]: A: 3.80 (0.69) / 13.22 (4.48), B: 3.42 (1.33) / 18.84 (5.53), C: 4.18 (2.55) / 28.08 (7.75), D: 4.12 (1.86) / 7.41 (3.41). Just after thermocycl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microleakage between groups, however, group C showed the largest score after three-month storage. Although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in microleakage between groups just after thermocycling, composite resin with highly concentrated initiation system or classical design (Camphoroquinone and Amine system) would be more desirable for minimizing microleakage after three-month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