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물리적 환경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ecent Research Trends in Eco-Friendly Materials for Solving Environmental Microplastic Problems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친환경소재 연구동향)

  • Moon, Sung Min;Jeon, So Hui;Eom, Taesik;Shim, Bong Sup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2 no.2
    • /
    • pp.25-43
    • /
    • 2019
  •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생태오염이 심화함에 따라, 기존 난분해성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석유 기반 자원의 고갈 및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온난화 환경문제 등으로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 보완하는 친환경 천연소재 개발의 사회적 요구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생분해가 가능한 천연자원으로부터 다양한 물리 화학적 엔지니어링 기능성을 추가하여 플라스틱의 환경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나노셀룰로오스, 생분해성 고분자, 멜라닌 소재를 중심으로 친환경 기능성 천연소재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이의 기존 합성 플라스틱 대체응용 방안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Estimation of Microplastics Emission Potential in South Korea - For Primary Source - (우리나라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잠재량 추정 - 1차 배출원 중심으로 -)

  • LEE, HYE-SUNG;KIM, YONG-JI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2 no.3
    • /
    • pp.135-149
    • /
    • 2017
  • Microplastics are fractions of plastics less than 5 mm in size and can be divided into artificially manufactured primary microplastics and physically or chemically decomposed secondary microplastics. In this study, the emission source of microplastics made by the human activities is defined as the primary source of microplastics. And the primary sources of microplastics were summarized by using the literature and the emission potential of each source was estimated.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63,000 to 216,000 ton/year of microplastics were discharged into the environment. Among primary sources, transport, tyre dust, and laundry were the major primary sources.

Observation of the Cirrus Cloud Optical Porperties using a Multi-wavelength Lidar System (K-JIST 다파장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한 상층운의 광학적 특성 관측)

  • 노영민;최성철;김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83-284
    • /
    • 2003
  • Cirrus cloud는 항상 지구대기의 20%정도를 덮고 있으며, 지구 복사수지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미세물리학적이고 광학적인 특성에 따라 대기온도의 상승이나 냉각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적도지방에서는 가열효과를 지니고 중위도지방에서는 냉각효과를 지닌다(F.Nicolas et al, 1997). 이러한 중요성으로 외국에서는 Cirrus cloud에 대한 많은 연구(K. Sassen et al, 2001, C. M. R. Platt et al, 1998)가 이루어졌으나 국내에서는 관측 대상의 시간적ㆍ공간적 제약으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략)

  • PDF

디자인 중심의 칼라 콘크리트 도로포장을 위한 레드머드의 재활용 연구

  • Jeong, Dong-Yeong;Choe, Gyeong-Rak;Hong, Jong-Hyeon;Kim, Mu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354-358
    • /
    • 2007
  • 레드머드와 피그먼트의 미세구조분석과, 이를 이용한 칼라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연구, 초기 건조수축 실험, 그리고 색상분석 결과, 레드머드를 사용한 칼라 콘크리트는 산업현장에 실용화될 수 있는 충분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뿐만아니라 종래의 산화철 피그먼트를 사용한 칼라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디자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레드머드는 디자인 중심의 도로포장 조성에 대량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장기적인 색상분석과 강도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Mechanisms of Transporting Microplastics near the Antarctic Research Station according to Vertical Motion (연직 운동에 따른 남극 과학기지 인근 해역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운송 메커니즘)

  • Kim, Bo-Kyung;Hwang, Jin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5-95
    • /
    • 2022
  • 남극에 상주하는 여러 과학기지 근처 해역에서 5 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플라스틱이 다량 발견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과학기지에서 방출하는 방류수가 미세플라스틱의 지역 소스로 여겨지고 있다. 현재는 미세플라스틱의 오염 수준을 이해하는 정도에서 그쳤으며, 미세플라스틱의 물리적인 운송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남극 세종과학기지 근처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지 인근인 마리안 소만(Marian Cove)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운송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지역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체류 시간은 짧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에 생물오손 또는 풍화작용이 일어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시간이다. 따라서, 마리안 소만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연직 속도에 따라 확실히 가라앉는 그룹과 확실히 떠오르는 그룹으로 나누어 입자의 이송 메커니즘을 파악하였다. 해수 유동 모델과 파랑 모델을 결합하여 마리안 소만의 해수 흐름을 재현하였으며, 과학기지 방류 구 위치에서 방출된 미세플라스틱의 이송 경로는 라그랑지안 입자 추적(Lagrangian Particle Track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궤적을 설명하기 위해 입자의 이송에 영향을 주는 힘을 결정할 수 있는 무차원 수 HK angle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마리안 소만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이송을 설명하였다. 대상 해역 내에서 확실히 떠오르는 그룹은 표층 흐름을 따라 해안선에 도달하였으며, 확실히 가라앉는 그룹은 방출 직후 빠르게 가라 앉으며 방출 위치 근처인 해저에 집적되었다. HK angle에 따르면, 마리안 소만의 연직 흐름이 강할 경우에는 미세플라스틱의 특성에 관계없이 해수 흐름을 따라 이송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조석에 따라 미세플라스틱의 방출 시간을 달리하고, 방출 위치를 달리하여 모의함으로써 마리안 소만과 같이 작은 만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를 줄이기 위한 적절한 방류수 방출 시간 및 위치를 제안하였다.

  • PDF

Re-estimation of Settling Velocity Profile Equations for Muddy Cohesive Sediments in West Coasts (서해안 갯벌 점착성 퇴적물 침강속도 곡선식의 재검토)

  • Hwang K.-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5 no.1
    • /
    • pp.3-10
    • /
    • 2002
  • Quantifying the settling velocities of fine-cohesive sediments is very essential in the study of ocean pollutions as well as sedimentations. Settling properties of fine-cohesive sediments are influenced largely by aggregation which occurs as a consequence of interparticle collision and cohesion of particles. Since the degree of cohesion of fine-cohesive sediments depen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grain size distribution, percentage of organic materials, and mineralogical compositions, and the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varies regionally, the settling velocities of fine-cohesive sediments for a specific site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field or laboratory experiment. Recently, settling velocities of fine-cohesive sediments in Saemankeum coasts and Kunsan Estuary have been measured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Using these data, the previously proposed well-known settling velocity equations for fine-cohesive sediments are examined and a new equation is developed for better representation of the measured data in this study. The newly developed settling velocity equation is simpler in the form and easier in determining the related coefficients than the previous well-known equations.

  • PDF

Rivermophological Changes in Rivers due to Small-Dam(Gotan-Bo) Removals (보(고탄보) 철거에 따른 하천의 물리적 변화)

  • Ko, Teak-Jo;Kim, Seo-Jun;Choi, Soo-Hyoung;Yoon, Byu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32-2135
    • /
    • 2008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의 생태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능을 상실한 보들이 철거되고 있으나, 보 철거에 따른 하천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탄강의 고탄보 철거 전 후의 물리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상변동, 하상재료의 변화, 가시적인 하천 형태의 변화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정리, 분석하였다. 물리적 변화는 크게 대규모 평면 변화와 소규모 종단 및 횡단 변화로 나눌 수 있다. 평면 변화는 퇴적지, 하중도 및 제방 등의 변화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촬영된 사진과 영상을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하상의 종 횡단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철거 전 후와 홍수 후에 하천 단면 측량을 실시하여, 보 철거에 따른 미세 지형 변동을 파악하였다. 또한, 하상 재료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홍수 전후의 하상 재료에 대한 입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홍수 시에는 부유사를 채취하여 유사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철거 전 후의 물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하상변동 관찰 결과보 철거로 인해 상류에서는 침식현상이, 하류에서는 퇴적현상이 발생하여 점차 평형 하상 경사로 복원되어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고탄보의 경우는 하상이 자갈과 거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하상재료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 PDF

Single particle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collected in Seoul, using low-Z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Low-Z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를 이용한 서울시 대기 중 입자상 물질 분석)

  • 구희준;노철언;김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2-353
    • /
    • 2002
  • 최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수도권을 비롯한 도시에서의 인구집중과 증가로 인한 운행 차량 수의 증가, 산업규모의 확대 둥으로 인해 대기분진 중 호흡성 또는 미세분진 농도의 증가가 관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주민건강 위해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5$\mu\textrm{m}$ 이하의 미세 입자는 폐포내 침착율이 높으며, 유해성 가스 및 중금속을 쉽게 흡착하여 인체에 전달하는 매체가 되기도 하고, 빛을 흡수, 산란시키기 때문에 시정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도시대기의 입자상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중략)

  • PDF

Seasonal Variation of Pic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주암호에서 미세조류의 계절적 군집 변화)

  • Cheong, Cheong-J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3
    • /
    • pp.271-27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 of pic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depending on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rainfall, water depth, DO and pH.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was most high as 18.03 mg/$m^3$ in July when the rainfall and water temperature were highest. The concentr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in October, April and that of January was decreased most low as 1.86 mg/$m^3$.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he Chl-a was shown at 2 and 5 m of water depth than surface, and the concentr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water depth becomes deep. Overall, microplankton was the highest rate as 33.9~54.2%, nanoplankton was 24.3~30.5% and picoplankton was 21.6~41.2%. Picoplankton was included as considerable concentration in the water of Juam lak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oroughly the picoplankton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coagulation·sedimentation and sand filtration. The protoplasm released from destruction of picoplankton by chlorine has high possibility to cause regrowth of bacteria and pathogenic microorganism in the distribution system by playing the role of the assimilable organic carbon.

MODIS-estimated Microphysical Properties of Clouds Developed in the Presence of Biomass Burning Aerosols (MODIS 관측자료를 이용한 러시아 산불 영향 하에 발달한 구름의 미세 물리적 특성 연구)

  • Kim, Shin-Young;Sohn, Byung-Ju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4 no.4
    • /
    • pp.289-298
    • /
    • 2008
  • An algorithm was developed to retrieve both cloud optical thickness and effective particle radius considered the aerosol effect on clouds. This study apply the algorithm of Nakajima and Nakajima (1995) that is used to retrieve cloud optical thickness and effective particle radius from visible, near infrared satellite spectral measurements. To retrieve cloud properties, Look-up table (LUT) was made under different atmospheric conditions by using a radiative transfer model. Especial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erosol is based on a tropospheric aerosol profile in radiative transfer model. In the case study, we selected the extensive forest fire occurred in Russia in May 2003. The aerosol released from this fire may be transported to Korea. Cloud properties obtained from these distinct atmospheric situations are analysed in terms of their possible changes due to the interactions of the clouds with the aerosol particle plumes. Cloud properties over the East sea at this time was retrieved using new algorithm. The algorithm is applied to measurements from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 (MODIS) onboard the Terra spacecrafts. As a result, cloud effective particle radius was decreased and cloud optical thickness was increased during aerosol event. Specially, cloud effective particle radius is hardly greater than $20{\mu}m$ when aerosol particles were present over the East Sea. Clouds developing in the aerosol event tend to have more numerous but smaller drop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