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드릴

Search Result 17,45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방전 가공을 이용한 미세 구멍 가공 시 발생하는 테이퍼 형상의 제어

  • 김동준;이상민;이영수;주종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4-254
    • /
    • 2004
  • 미세 방전 가공은 전도성 재료에 미세 구멍을 가공할 때 주로 적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미세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구멍을 가공할 때 직경이 일정한 공구를 사용하더라도 입구와 출구의 직경에는 차이가 생긴다. 구멍의 벽면과 공구사이에는 2차 방전이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2차 방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입구가 출구보다 직경이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미세 구멍의 단면 형상은 깊이 방향으로 테이퍼가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해 진직 구멍을 가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테이퍼 형상을 제거하여 진직 구멍을 가공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중략)

  • PDF

Designing and Implementing Clustering Method of Particulate Matter Data by Region (지역별 미세먼지 발생 데이터 클러스터링 메소드 설계 및 구현)

  • Moon, Ju-Hwan;Yoon, H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424-425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미세먼지 발생 데이터에 대한 수집과 그에 대한 분석,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로 수집된 미세먼지 데이터에 대한 클러스터링 메소드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의 30여개의 관측소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 작업에 대한 전처리를 실시한다. 이러한 전 처리에는 각 관측소의 미세먼지 데이터의 시계열 그래프의 유사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Dynamic Time Warping알고리즘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출되는 DTW값을 통하여 유사도가 높은 미세먼지 측정 지역별 클러스터링을 수행해 클러스터링 군별 미세먼지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과 대비, 피해저감 방안등의 대책 마련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the Microstructure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OFC Anode, Ni-YSZ : II. Temporal Variation (SOFC 음극용 Ni-YSZ 복합체의 미세구조와 전기적 물성간의 상관관계: II. 경시변화)

  • Moon, Hwan;Lee, Hae-Weon;Lee, Jong-Ho;Yoon, Ki-Hyun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7 no.12
    • /
    • pp.1140-1145
    • /
    • 2000
  • Ni의 함량이 서로 다른 Ni-YSZ 복합체를 100$0^{\circ}C$ 환원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며 시간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Quantitative microscopy 이론을 응용한 화상분석 결과 Ni-YSZ 복합체의 미세구조는 열처리시 나타나는 Ni상의 미세구조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특히 Ni의 양이 많은 조성에서는 Ni 상간의 접촉이 많아 고상반응에 의한 미세구조의 변화가 심하였는데 이로 인해 복합체 미세구조의 안정화가 느리게 진행되었다. Ni-YSZ 복합체의 전기 전도도 역시 Ni상의 미세구조 변화에 큰 영향을 받았는데 복합체 전체 미세구조의 경시변화와는 달리 Ni상의 많은 조성보다는 Ni상의 percolation이 일어나는 조성 부근에서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이로 인해 Ni-YSZ의 전기 전도도는 Ni의 percolation threshold 부근 조성에서 안정화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요하였다.

  • PDF

부산항 미세먼지 감축정책 추진현황

  • Gwon, So-Hyeon;Mun, Seung-Hyo;Go, I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56-58
    • /
    • 2019
  •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로 정부에서는 2022년까지 국내 배출량 30% 감축을 목표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수립(2017년)하였으며,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감소를 위한 규정을 강화는 등 대기오염물질 감축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부산항을 포함한 부산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선진국 및 WHO 기준에 비해 여전히 2~3배 높은 수준으로 부산의 주요산업인 부산항을 관리 운영하는 주체인 부산항만공사는 '부산항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항 내 운영 중인 항만 내 대기오염측정소 데이터를 포함한 항만 인근지역과 타항만의 미세먼지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부산항만공사에서 추진한 항만 하역장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사결과와 '야드트랙터 LNG 연료전환사업', 'AMP설비 설치사업' 등 '부산항 미세먼지 종합대책'과 그 성과를 소개하고 있다.

  • PDF

A numerical study on the unsteady agglomeration behavior of algae in the ultrasonic wave pressure field (초음파 압력장에서 미세조류 응집 거동에 관한 비정상상태 수치해석 연구)

  • Ha, Ji Soo;Shim, Sung Hun;Jung, Sang Hy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6 no.4
    • /
    • pp.67-73
    • /
    • 2017
  • For the bio-fuel conversion of algae, several processes are needed including cultivating, agglomeration, extracting and conversion to the bio-fuel. The production cost for each process makes the total production cost of algae bio-fuel conversion. The production cost of algae bio-fuel has still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ommercial bio-fuel.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 for each process enables the competitive price as a bio-fuel.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algae from water because of the similar magnitude of density each other. The agglomeration and extracting of algae using ultrasonic wave is rare effect of environmental hazard and also it is appropriate technology for the next generation energy resources. The present research is investigated for the elucidation of algae behavior in the water with the ultrasonics wave. For this purpose, the unsteady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has been conducted in the ultrasonic pressure field. The velocity, pressure and algae concentration changes with time have been analysed to clarify the mechanism of algae separation by ultrasonic wave.

Machine learning-based Fine Dust Prediction Model using Meteorological data and Fine Dust data (기상 데이터와 미세먼지 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미세먼지 예측 모형)

  • KIM, Hye-Lim;MOON, T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1
    • /
    • pp.92-111
    • /
    • 2021
  • As fine dust negatively affects disease, industry and economy, the people are sensitive to fine dust. Therefore, if the occurrence of fine dust can be predicted, countermeasures can be prepared in advance, which can be helpful for life and economy. Fine dust is affected by the weather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fine dust emission sources. The industrial sector has the largest amount of fine dust emissions, and in industrial complexes, factories emit a lot of fine dust as fine dust emission sources. This study targets regions with old industrial complexes in local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ause fine dust and develop a predictive model that can predict the occurrence of fine dust. weather data and fine dust data were used, and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generation of fine dust were extra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model with high predictive power was extracted by learning with a machine learning regression learner model.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confirmed using test data. As a result, the models with high predictive power were linear regression model, Gaussian process regression model, and support vector machine. The proportion of training data and predictive power were not proportional. In addi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was not large, but when the measured value was high, the predictive power was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eveloped as a more systematic and precise fine dust prediction service by combining meteorological data and urban big data through local government data hubs. Lastly,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mart industrial complexe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 for Particulate Matter among Adolescents (청소년의 미세먼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a, Young-Sun;Park, Yong-Ky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1
    • /
    • pp.393-403
    • /
    • 2020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articulate matter behavior of particulate matter knowledge, particulate matter attitude among adolescent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218 high school students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3 to 24 201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 influential factor for particulate matter behavior was particulate matter attitude (β=0.52, p<.001). It was found that particulate matter education experience (β=0.08, p=.157), academic background of father (β=0.08, p=.288),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 (β=0.05, p=.463), particulate matter knowledge (β=-0.05, p=.415), residence with (β=-0.09, p=.126), school record (β=-0.02, p=.710)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to increase the particulate matter behavior for you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attitude of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서울의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오염)

  • Kim, Yong-P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2 no.5
    • /
    • pp.535-553
    • /
    • 2006
  • Various aspects of air quality problems caused by aerosols in Seoul are discussed.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air quality in Seoul has improved during last twenty years. However, PM10 concentration in Seoul is still higher than other cities in Korea and worldwide. At Seoul, it was suggested that secondary aerosols are as important as aerosols directly emitted in Seoul or transported from outside.

The Micostructural Change During the Mylonitzation of Cheongsan Granite, Korea (청산화강암의 압쇄암화작용 동안에 미구조 변화)

  • Kang, Ji-Ho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
    • /
    • pp.125-139
    • /
    • 2015
  • Rock structural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on the deformed Cheongsan granite, which is characterized by abundant feldspar megacrystals, have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microstructural change during the mylonitization by ductile shear deformation. In K-feldspars, the characteristic microstructures are recognized as microkinks, microfractures, myrmekites, flame perthites, and core-and-mantle structures without the development of subgrains in outer core-zone. Microkinks are observed in both the microfractured and unmicrofractured K-feldspars and the directions of their axes are generally extended across the adjacent K-feldspar fragments bounded by microfractures. Myrmekites and flame perthites are found on the strain-localized boundaries of the microfractured K-feldspars. In plagiclases, microfractures, deformation twins and kink bands are predominant. Grain size reduction of plagioclase megacrysts also occurs by microfracturing but the core-and-mantle structures like the case of K-feldspars are uncommon in the microfractured plagioclases. The deformation twins, which overlap the igneous zoning structures, are often found in less deformed rocks. The twin lamellae in more deformed rocks generally bisect the obtuse angles of conjugate kink-band boundaries, and are microfractured or microfaulted and randomly oriented. From such characteristic microstructures, thu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micostructures during the mylonitzation of Cheongsan granite was developed as follows: production of microkinks in the K-feldspar megacrysts and of deformation twins and kink bands in the plagioclase megacrysts, and then grain-size reduction of the feldspar megacrysts through microfracturing, and then production of core-and-mantle structures (grain-size reduction of the microfractured K-feldspars through grain boundary migration), myrmekites and flame perthites in the microfractured K-feldspars.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the Al 7175 alloy forgings (알루미늄 7175합금의 단조재의 미세조직 발달)

  • 이용연;임성택;손영일;이경훈;은일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27-27
    • /
    • 1997
  • 최근 미사일 추진기관 및 기체 구조재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7175 합금의 형상의 변화와 제조공정 변화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조체는 사용처에 따라 Flange Type 또는 Ring Type 등으로 형상이 다양하므로 단조 조건과 제품의 위치에 따라 균일한 물성을 획득하기는 매우 어려운 숙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균일한 물성을 얻기 위한 여러 가지 제조 공정의 변화를 모색하였으며, 제조된 단조재의 미세조직을 통하여 물성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적용된 공정은 통상의 열간 단조공정, 아 결정립 미세화공정, 재 결정립 미세화 공정 등이며 단조재의 형상과 동일 부품에서도 부위에 따라 변형량이 다르므로 미세조직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아결정립과 재결정립 미세화 공정은 제품의 형상에 따라 내·외부 결정립이 크기가 크게 변화되었다. 이는 내·외부에 재료에 축적되는 에너지의 양과 외적으로 가해지는 기계적 에너지 및 열적 에너지가 다르기 때문이며, 변형량이 큰 부분의 미세 석출물의 크기가 변형량이 적은 부분의 석출물보다 크게 감소됨은 준안정상이 기계적 에너지가 변형열에 의한 열에너지로 변환됨에 따라 상석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세 조직 제어가 알루미늄합금 단조재의 공정설계의 중요한 인자임을 재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 재료의 신뢰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추진기관의 중요 부품에 적극 고려해야 할 요소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