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성숙난자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3초

성장중인 생쥐와 돼지난자의 성숙억제요인에 관하여

  • 이원교;권혁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5-272
    • /
    • 1988
  • 세포융합방법을 사용하여 성장증인 포유동물의 난자에 들어있는 성숙억제요인(maturation inhibiting activity, 1연Al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장중인 생쥐난자와 성장한 미성숙난자를 1:1로 융합하여 배양했을 서 (14-17시간)에는 거의 모두 핵붕괴를 일으키었으나(90oyo), 2:1로 융합했을 때는 대부분(약 64%) 3개의 핵을 모두 간직하고 있었다. 돼지난자의 경우는 성장중인 것깎 성장한 것을 1:1로 융합하여 배양했을 때에도 융합체들은 모두 핵을 간직하고 있었으며 돼지의 성장중인 난자와 생쥐의 성장한 난자를 융합했을 때에도 모두 핵을 보존하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돼지와 생쥐 모두에서 성장한 난자끼리 융합했을 때에는 예외없이 핵붕괴가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장중인 생쥐나 돼지의 난자에 각IA가 존재한다는 열과 이종간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는 MIA와 성숙촉진요인(maturation promoting factor, MPH의 상대적인 양의 변화가 난자의 성숙조절에 증요한 9f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In an attempt to elucidate the nature of maturation inhibiting activity (MIA) in growing mamma-lian oocvtes, growing mouse and pig oocytes incompetent to resume meiosis were fused with fully grown immature oocvtes in various combinations and cultured for 14-17 hours. In slant cells composed of two mouse growing ooh임es and one large immature oocyte (2:기, their GVs remained well conserved (about 64%) after culture, but not in the ceils composed of one by one pairs. In giant cells of pig composed of one growing and onto large immature oocytes, both GVs remained conserved. In the cells composed of one pig growing and one mouse large oocytes, both GVs were also conserved. In contrast to this, pairs of large mouse oocvtes or those of large pig oocvtes had no CVs after culture. Thus, we could acertain the existEnce of MIA and none-pecificty of it in the mouse and pig growing oocvte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relative amount of substances showlns MfA or MPF activity may be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oocyte amount of substances showing MIA or MPF activity may be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oocyte maturation.

  • PDF

복제 한우 생산을 위한 수핵난자의 동결에 관한 연구 : 상이한 동결과정 중 한우 수핵난자에서 일어나는 투명대 경화 (Cryopreservation of Recipient Oocytes Collected from Korean Native Cattle: Incidence of the Zona Hardening of Recipient Oocytes Collected from Korean Native Cattle at the Different Stages of Cryopreservation)

  • 이병천;박종임;임정묵;이은송;노상호;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9-106
    • /
    • 1999
  • 핵 이식에 공여되는 수핵난자의 효과적인 동결보존을 위하여 한우 성숙난자를 1.0 M dimethylsulfoxide(DMSO) 또는 1.0 M glycerol이 함유된 동결보호제를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동결보호제 처리 후 완만동결법을 이용한 동결융핼르 시행하여 상기 실험처리로 야기되는 투명대 경화현상을 관찰하였다. 도축장 유래의 난소에서 미성숙난자를 채취한 후 10% 소 태아혈청을 함유한 TCM-199을 이용하여 22∼24 시간 동안 체외성숙배양을 이해하였다. 배양후 작출된 성숙난자를 각각의 동결보호제로 처리, 혹은 처리 후 동격융해한 후 protease를 이용하여 투명 대의 경화현상 발생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동격란을 동결정액을 이용한 체외수정에 공여한 후 정자 침입농도능을 조사하였다. 동결보호제로 처리한 난자에 있어서 보호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투명대 경화현상이 유의적 (P<0.05) 으로 증가하였으나 이후의 동결융해 처리에 의한 추가적인 경화현상의 발생은 증가하지는 않았다. 또한 투명대 경화현상의 발생양상을 동결보호제 처리 후 10분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 DMSO의 경우 처리후 10분, glycerol의 경우 처리 후 20분 후부터 유의적으로 차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수정율 및 난자 1개당 침입한 정자의 수는 동결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동결난자의 투명대 경화현상은 동결보호제 처리과정에서 이미 일어나지만, 이러한 투명대 경화현상이 난자의 동결보존 후 수정능에는 현자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 PDF

Electron Microscopic Grid를 이용한 초급속동결이 소 난포란의 발달능에 미치는 영향 - I. 소 미성숙난자의 동결에 관한 연구 (Developmental Capacity of Bovine Follicular Oocytes after Ultra-Rapid Freezing by Electron Microscope Grid - I. Cryopreservation of Bovine Immature Oocytes)

  • 김은영;김남형;이봉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71-76
    • /
    • 1998
  • 본 연구는 소 미성숙난자를 electron microscope (EM) grid와 동해제인 EFS30을 이용하여 초급속 동결하였을 때 정상적인 배 발달의 유도가능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동해제는 30% ethylene glycol, 18% ficoll, 0.5 M sucrose와 10% FBS 등이 PBS에 첨가되어 제작된 EFS30을 사용하였다. 난자 생존의 평가기준으로는 성숙, 수정 및 배발달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급속동결-융해 후, 소 미성숙란의 생존율은 43.2%을 나타내었다. 동결-융해군의 체외 성숙 (84.1%)과 정상 자웅전핵 형성율 (57.5%)은 대조군의 결과 (92.5, 65.0%)와 비교하여 볼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동결군의 체외수정 이후의 $\geq2$-세포기 형성 (65.0%)과 배반포형성율 (30.8%)도 대조군(73.7, 35.7%)의 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소 미성숙난자는 EM grid와 EFS30 동결액을 이용한 초급속 동결방법에 의해 정상적인 배발달이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Okadaic acid에 의한 한국산 개구리 난자의 성숙유도 (Induction of Oocyte Maturation of Korean Frogs by OKadaic Acid in Vitro)

  • 김안나;최한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8-65
    • /
    • 1994
  • Phosphatase의 저해제로 알려진 okadaic acid(OA)가 한국산 개구리(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난자의 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북방산개구리 난자에 약 50 nl의 okadaic acid(0 5-500 mM)를 미세주입한 후 18시간 배양한 결과 0.5 mM의 농도에서 부터 난자의 핵붕괴를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동면초기에 처리한 progesterone에 반응하지 않는 난자들도 OA에 의하여 성숙을 일으켰으며. 이 성숙은 배양액에 첨가한 cycloheximide(10 mg/ml)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OA의 처리를 받고 일정시간 배양한 난자의 세포질에는 미성숙 난자의 성숙을 유도하는 maturation promoting factor (MPF)의 활성이 생기었다 참개구리의 난자도 역시 OA에 의해 성숙이 유도되었으며, 주입 후 6시간에서부터 핵붕괴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참개구리에서도 OA의 처리가 MPF의 활성을 촉진하는 것을 세포질내에 Hl histone kinase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참개구리에서도 OA에 의한 성숙은 cycloheximide나 CAMP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구리 난자의 MPF 활성화와 성숙과정에 phosphatase가 관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