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 색소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8초

Phycocyanin locus내의 DNA Polymorphism에 의한 한국산 Cyanobacteria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Korean Cyanobacteria determined by DNA polymorphisms within the Phycocyanin Locus)

  • 박진숙;권주리;유순애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9-253
    • /
    • 2000
  • Cyanobacteria의 광합성 보조색소인 phycocyanin의 PC operon(cpc gene)을 PCR로 증폭하고,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RFLP pattern을 비교하였다. Intergenic spacer sequence를 포함한 cpc gene은 실험에 사용한 cyanobacteria 균주 모두에게 증폭되었으며, 산물의 size는 약 700 bp였다. PCR산물을 5종의 제한효소로 처리한 결과 AluI, MspI, HaeIII는 같은 속내으ㅐ 균주간에 동일한 pattern을 나타내어 속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CfoI은 Anabeana와 Synechocystis속의 균주간에 구별되는 양상을 나타내어 속내 균주 구별에 유용하였다. Restriction enzyme profile에 의한 phenogram에서 Anabeana, Chlorogloea, Synechyhocystis는 각각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여 cyanobacteria의 분류에 PC-IGS의 RFLP pattern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포도당 이성화 효소 생산성 신균주 Streptomyces luteogriseus의 분리 및 발효 특성 (Isolation of Glucose Isomerase-Producing Microorganism, Streptomyces luteogriseus and Determin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 홍승서;백진기;이현수;국승욱;박관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6-302
    • /
    • 1991
  • 소나무 숲 토양에서 방선균을 666주 선별한 후 이중 glucose isomerase 생산성이 우수하고 (488U/ml) 40 포도당액의 이성화율이 5%3에 도달하는 TH34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 균주는 세포벽을 구성하는 diaminopimelic acid(DAP), 기균사의 색깔, spiral type의 spore 사슬의 형태, melanoid 색소형성, 탄수화물 이용성 및 전자현미경 사진등으로 미루어 보아 Streptomyces luteogriseus로 동정하였다. 분리 동정한 S.luteogriseus의 발효조건 및 배지조성 등을 검토하여 본 결과 28~$29^{\circ}C$에서 효소생산이 최대이었으며 pH 6.0~8.0의 넓은 범위에서 안정한 효소생산을 보였다.

  • PDF

먹물버섯의 생성.자가소화 과정에서 laccase 및 chitinase의 발현 (Chitinase and Laccase Expression during the Fruit Body Development in Coprinellus Congergatus)

  • 김윤정;박혜연;조정원;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5-237
    • /
    • 2006
  • 먹물버섯은 버섯 시원체로부터 버섯이 성숙되는 과정에서 자가소화가 일어나 먹물이라 불리는 검은 액체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멜라닌을 생성하는 laccase, 균류 세포벽 성분의 하나인 키틴을 분해하는 chitinase의 관련을 분석하고자 Northern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시원체가 생성되고 버섯이 성숙되어 먹물을 생성하는 시기에 따라 멜라닌색소 생성 효소인 laccase와 킨틴분해효소인 chitinase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Colloidal Chitin을 자화하는 해양세균으로부터 적색색소의 생산 (Production of R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Utilizing Colloidal Chitin.)

  • 류병호;김민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64-269
    • /
    • 2000
  • This study is that of providing a fairly practical practival guide to the use of natural pigment in food industry. A strain isolated from marine resources was carried out the production of red pigment. The pigment showed UV absorption maxima at 520 and 550 nm. The color intensity in aqueous solution was fairly stable in the ranges of pH 5~8. The strain KS-97 produced a maximum yield of red pigment at$ 25^{\circ}C$ for 72 hrs with pH 7.0. The strain KS-97 was iden-tified a Bacillus sp. based on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such as a rod from, motility, spore for-mation, Gram positive and catalase production. The production of red pigment indicated that the strain Ks-97 utilized at thigh concentration of colloidal chitin as carbon sources obtained maximum yield of red pigment at $25^{\circ}C$ for 72 hrs. The highest production of red pigment was observed with cultivation in medium containing 20% colloi-dal chitin, 2.5g polypeptone, 2.5g yeast extract, 1.0g $KH_2$$PO_4$, 0.01g $MgSO_4$.$6H_2$O, 0.01g $ZnSO_4$, 0.01 g $MnSO_4$(per 1).

  • PDF

색소에 접합된 $\beta$-glucan을 이용한 $\beta$-glucan 분해효소 생산 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eta$-glucan degrading enzyme producing bacterium using coloured $\beta$-glucan)

  • 양진오;정안식;이성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9-345
    • /
    • 1987
  • A bacterium K-4-3, producing $\beta$-glucan hydrolyzing enzyme, was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to be Bacillus subtilis by its morpholoh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beta$-glucan was coloured using cibacron blue 3G-A and cross linded by the addition of 1, 4-butanedioldiglycidyl ether. This substrate was used for the isolation of $\beta$-glucanase producing microorganism. The $\beta$-glucan hydrolyzing enzyme actibity from isolated K-4-3 strain was also measured using the modified substrate. Bacillus subtilis K-4-3 produced the highest extracellular $\beta$-glucan hydrolyzing activity in the basal medium containing $\beta$-glucan as a carbon source, peptone and tryptone as a nitrogen source, and magnesium sulfate as an inorganic salt. The optimum temperature and initial pH for $\beta$-glucanase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K-4-3 were $37^{\circ}C$ and pH6. The highest enzyme activity was obtained at the culture age of 54 hrs with rotary shaking at $37^{\circ}C$. The crude enzym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pH 7.5-8.0 and $65^{\circ}C$.

  • PDF

금속 나노입자의 생체 합성과 항균적 적용 (Biogenic Synthesis of Metallic Nanoparticles and Their Antibacterial Applications)

  • 마헤쉬쿠마 프라카쉬 파틸;김종오;서용배;강민재;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62-872
    • /
    • 2021
  • 최근 생물의학 분야에서의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에 의하여 식물이나 미생물을 이용한 은(Ag), 금(Au), 백금(Pt), 세륨(Ce), 아연(Zn), 구리(Cu) 등의 금속 나노물질 합성에 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식물은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사포닌, 스테로이드 탄닌과 각종 영양 성분과 같은 생리 활성 물질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으며, 유사하게 미생물들도 단백질과 같은 생리활성 대사산물이나 색소, 항생제 및 산과 같은 가치가 있는 화학물질을 분비한다. 최근 보고된 바에 의하면, 나노입자의 생체 합성은 무해한 방법일 뿐만 아니라 항균, 항진균, 세포 증식 억제 및 항플라스모디아 활성과 같은 생물의학 분야로서의 적용에 주요한 후보로 여겨진다. 나노입자의 이러한 생리 활성은 농도에 의존적이며, 나노입자의 모양과 크기에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생물과 식물은 나노입자의 친환경적합성에 사용되는 대사산물이나 화학물질 등의 훌륭한 공급원으로서 생물 의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미생물 또는 식물 원료를 사용하여 합성된 나노입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합성된 나노입자보다 더 낮은 독성을 나타낸다. 본 리뷰논문에서는 미생물이나 식물과 같은 생물학적 재료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합성과, 합성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의 특성 및 나노입자의 항균 분야에서의 적용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해양미생물로부터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 (Optimal Growth Conditions for Carotenoid Pigment Production from marine Microorganism)

  • 정영기;김태수;정명주;류병호;주우홍;박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39-1243
    • /
    • 1999
  •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carotenoid pigment from Haloarcular sp. EH 1 as a dietary for fishes were 1.0% sucrose, 1.0% yeast extract, 25% sodium chloride, 0.3% sodium citrate, 0.2% potassium chloride, 2.0% magnesium sulphate, 0.002% ferric sulphate(pH 7.0). The incubation temperate, aeration rate and agitation speed were 40oC, 100ml medium/500ml vol. shaking flask, and 180 rpm/min. The carotenoid pigment production was highest after 5 days of incubation with the light.

  • PDF

시금치 분말의 품질안정성에 대한 살균처리의 영향 (Quality Stability of Spinach Powder As Influenced by Microbial Decontamination Treatment)

  • 권중호;변명우;조한옥;최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7-171
    • /
    • 1994
  • 편의식품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시금치 분말의 미생물학적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ethylene oxide와 감마선 조사의 살균효과 비교와 품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금치 분말시료의 미생물 혼입도는 $10^{2}{\sim}10^{4}\;cells/g$ 수준으로 내열성포자균, 내산성세균, 곰팡이, 대장균 등이 확인되었다. 상법의 EO 훈증법은 오염미생물의 살균에 불충분하였다. 7 kGy 이하의 감마선은 검사된 미생물을 모두 사멸시켰고 호기성 전세균에 대한 방사선 감수성$(D_{10})$은 2.93kGy로 나타났다. 시금치 분말의 ascorbic acid 및 환원당 함량은 EO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10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하였고, 살균선량으로 조사된 분말의 색소특성은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오존처리와 감마선 조사가 스피루리나와 다시마 분말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zone Treatment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Dried-Spirullina and Dried-Sea Tangle Powders)

  • 변명우;육홍선;권오진;조성기;이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64-770
    • /
    • 1997
  • 건강보조식품 가공원료인 스피루리나와 다시마 분말의 위생화를 위한 오존처리 및 감마선 조사가 오염 미생물의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생물 살균효과에서 7.5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는 대장균군, 곰팡이, 호기성 전세균을 검출한계 이하로 사멸시켰으나, 오존처리(18 ppm 농도, 8시간 처리)는 높게 오염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데 불충분하였다. 이화학적 품질특성에서 10 kGy까지 감마선 조사된 시료의 pH, 색도,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은 무처리 대조시료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오존처리된 시료에서는 pH, 색소 및 TBA값의 변화와 특히 지방산 조성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심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신선초 분말의 위생화를 위한 살균처리 방법으로서 감마선 조사가 오존처리에 비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생물에 의한 수소생산: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Photo-biological Process (Microbial hydrogen production: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Photo-biological Process)

  • 김미선;백진숙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393-400
    • /
    • 2005
  • 수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크게 광합성 세균(photosynthetic bacteria), 혐기성세균(non-photosynthetic anaerobic bacteria), 조류(algae) 등으로 구분되고, 이들의 수소 생성 기작, 사용가능기질 및 수소 발생량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광합성세균은 Rhodospirillaceae, Chromatiaceae 및 Chlorobiaceae로 구분되며, 이는 각각 홍색비유황세균(purple non-sulfur bacteria), 홍색유황세균(purple sulfur bacteria), 녹색유황세균(green sulfur bacteria)으로 통칭된다. 혐기성 세균은 절대 또는 통성혐기세균중 일부가 수소생산에 관여하며, 조류는 녹조류(green algae)와 남조류(blue-green algae, cyanobacteria)가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 수소생산 기술은 (1) 녹조류(green algae)가 광합성 메카니즘에 의해 수소를 생산하는 직접 물 분해 수소생산(direct bio-photolysis) (2) 광합성 작용에 의해 물을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하고, 동시에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고분자 저장물질로 균체 내에 저장한 후 혐기 발효 또는 광합성 발효에 의해 수소를 발생하는 간접 물 분해 수소생산(indirect bio-photolysis or two stage photolysis) (3) 빛이 존재하는 혐기상태 배양 조건에서 홍색 세균에 의한 광합성 발효(photo-fermentation) 또는 (4) 광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혐기 미생물에 의해 수소와 유기산을 내는 혐기 발효(dark anaerobic fermentation) (5) 균체 외(in virro) 수소 발생 (6) 일산화탄소 가스 전환 반응(microbial gas shift reaction)에 의한 수소 생산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로부터 생물학적 기술에 의한 수소생산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수소와 산소를 발생하는 원천기술로써 오래 전부터 미국, 유럽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광합성 미생물의 분리, 개선 및 반응기에 관한 연구가 축적되어 왔으며, 유기물 즉 바이오매스로부터 혐기 및 광합성 발효를 연속적으로 적용하는 기술은 비교적 최근에 일본을 비롯한 유기성 폐기물이 많은 국가에서 수소에너지 생산과 유기성 폐기물 처리라는 두 가지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로써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이나 폐수와 같은 수분함량이 높은 바이오매스는 대부분이 매립처리 되는 실정이지만 높은 수분 함량 때문에 매립 시 발생하는 침출수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가까운 장래에는 매립도 금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수소에너지 생산기술과 이용시스템 개발은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다량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으로 자원 강대국 입지에 설 수 있다. 미생물에 의한 수소생산 기술은 청정에너지 생산과 아울러, 동시에 산소 발생, 공기 중 이산화탄소 고정, 식품공장 폐수 및 음식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등 환경에 이로운 방향으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 자체가 갖는 생물 산업성도 높아서 비타민류, 천연색소, 피부암 치료제등의 고부가가치 의약품 생산도 활성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