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 색소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5초

색소생산 및 색소비생산 Serratia marcescens배양액에 의한 면역반응항진과 균의 항균제 및 인혈청에 대한 내성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s by Culture Filtrates from Pigmented and Nonpigmented Serratia marcescens and the Suceptibility of the Organisms to Antibiotics and Human Sera)

  • 하대유;임선영;김재흔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3
    • /
    • 198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susceptibility of pigmented and nonpigmented strains of Serratia marcescens to antibiotics and human sera, and the effect of culture filtrates from pigmented and nonpigmented of Serratia marcescens on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in mice to thymus-dependent and indepependent antigens. Humoral immune response was measured by hemagglutinin (HA) and hemolysin (HE) to sheep red blood cell (SRBC), and Arthus or antibody response to polyvinylpyrrolidone (PVP). The cellular immune response was measured by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TH) determined by footpad swelling reactin to SRBC. The resistance of pigmented strains of Serratia marcescens to the bactericidal action of heat inactivated human serum was in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nonpigmented strains. However, the pigmented strains were significantly more resistant to the bactericidal action of heat-untreated human serum than that of nonpigmented strains. The clinical isolates of Serratia marcestens was also tested for their resistance to several antibiotic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igmented and non-pigmented strains in the resistance to carbenicillin. However, nonpigmented strains were more resistant to gentamicin, kanamycin and tobramycin than the pigmented strains. Th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culture filtrates from the pigmented or nonpigmented strains into mice caused enhancemented of antibody response to SRBC or PVP, and of DTH to SRBC. Besides, their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s was more prominent when culture filtrate from the pigmented strains was administered.

  • PDF

고광도와 질소 결핍이 Haematococcus pluvialis의 색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igh Light and Nitrate Deprivation on the Carotenoid Biosynthesis in Haematococcus pluvialis)

  • 윤지현;곽인규;진언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2-297
    • /
    • 2007
  • H. pluviails는 고광도와 질소 결핍 배지 조건에서 ketocarotenoid의 일종인 astaxanthin을 다량 축적하는 녹조류이다. 스트레스가 없는 조건에서 키운 green cell과 astaxanthin이 합성된 red cell을 HPLC를 통해 비교해 본 결과 각 색소의 양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여러 ester 형태의 astaxanthin이 생합성 되고, zeaxanthin이 늘어난 반면, lutein과 ${\beta}$-carotene은 감소하였다. 또한 total chlorophyll 양이 줄어드는 대신 total carotenoid의 양이 늘어남을 보였다. H. pluvilalis에서 찾아낸 astaxanthin 생합성 경로에 있는 carotenoid hydroxylase, phytoene desaturase, isopentenyl pyrophosphate isomerase, ${\beta}$-carotene ketolase 유전자는 음성대조군인 chloroplast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와는 달리cell이 성장하기 좋은 조건의 상태보다 astaxanthin을 생합성하기 위해 고광도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더 높은 발현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reptomyces coelicolor blAA-like Mutant에서의 항생물질 생합성 (Antibiotic Biosynthesis in bldA-like Mutant of Strptomyces coelicolor)

  • 박은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0-77
    • /
    • 1994
  • Streptomyces coelicolor를 화학적 방법으로 돌연변이시킨 결과, 유전적 교잡방법에 의해 bldA와 유사한 위치인 10시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는 변이주들을 찾아내었다. 이들의 자세한 위치를 점검한 결과 cys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group고가 시계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두가지로 나뉘었다. 반시계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변이주들을 bldA와 유사한 변이주라고 생각되어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정상적인 bldA 유전자가 cloning 되어 있는 phage를 이용하여 기능적인 complementation 여부를 확인하여 보았다. Complementation이 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변이주들이 bldA의 allele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이들 중 몇몇 변이주들은 기존의 bldA와 무척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고영양 배지인 $R_2$YE배지에서 왕성하게 spore를 생산하며 wild type이 생산하는 이상의 색소 생산을 보인 점이다. 이때까지 발견된 bldA 변이주들은 배지 조성에 따라 약간의 aerial mucelium을 형성하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이렇게 조건에 따라서는 완전히 bld phenotype을 잃는 변이주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 색소 생산이 실지로 항생물질 유전자의 발현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xylE fusion을 이용했을 때 유전자의 전사가 일어나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증명되었다. 또 이들 bldA 유사 변이주들은 actII-ORF4가 높음 copy수로 들어있는 pasmid에 의해 act 유전자를 발현하는 것도 관찰되었다.

  • PDF

Pseudomonas 속의 균주를 이용한 Azo계와 Reactive계의 Dye의 생분해 (Biodegradation of Azo and Reactive Dyes with Pseudomonas strains)

  • 이제혁;황규대조동욱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50-155
    • /
    • 1993
  • 난분해성인 색소를 대사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분리하여, 색소분해의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미생물은 폐수처리공장의 폭기조에서 채취한 폐수로부터 agar media에서 순수분리하였다. 이 균주들을 glu­c cose, peptone, $Na_2HPO_45, KCI, MgSO_4, KH_2PO_4, NaCI, CaCI_2$와 dye(azo계, reactive red계 ) lOppm 을 함유한 액체 배지에서 dye의 분해력이 강하였으 며, 이때의 최적 pH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이고, 최적 온도는 $30^{\circ}C$ 전후이다. 이 조건에서 10ppm의 m mono-azo(Lot No. 180), di-azo(Lot No. 138), re­a active red(Lot No.2)는 약 2일에 거의 분해되었고, di-azo(Lot No. 151), reactive red(Lot No. 34, L Lot No. 00166)는 약 5일에 거의 분해되었고, 최적 배지조건하에서 산소의 영향은 D.O를 50%로 유지 시켰을 경우보다 혐기성 배양의 경우가 reactive d dye(Lot No.2)의 분해도가 훨씬 높았다.

  • PDF

배양온도와 시간에 따른 Serratia marcescens 표면의 소수성 성질변화 (Changes of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a Serratia marcescens with Cultivation Time and Temperatures)

  • 이상열;신용철;권헌영;조무제;강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2
    • /
    • 1990
  • Serratia marcescens를 $30^{\circ}C$에서 진탕배양했더니, 적색색소인 prodigiosin이 초로기(senescent phase of growth)에서 생성되었다. 그리고 이조건에서 배양한 세포를 polystyrene dish를 사용하여 세포의 hydrophobicity를 측정한 결과 상당한 소수성 성질이 발현되어 대부분의 세포가 비극성 성질의 polystyrene dish에 흡착되었다. 그러나 이 박테리아를 $37^{\circ}C$에서 배양했더니, 적색 색소인 prodigiosin도 생성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소수성 성질도 발현되지 않음으로서 세포가 polysyrene dish에 흡착되지 않고 pre-washing 단계에서 모두 씻겨져 났다. 또한 $30^{\circ}C$$37^{\circ}C$에서 배양한 serratia marecescens의 지질성분을 분석한 결과, $30^{\circ}C$에서 배양한 세포의 지질은 phospholipid, glycolipid 및 확인되지 않은 지질 등이 생성되었으나 $37^{\circ}C$에서 배양한 세포의 경우는 주로 양쪽성 성질의 aminolipid인 serratamolide가 생성되어, 배양한 온도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색소기질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의 $\beta$-glucanase 정제 (Purification of $\beta$-glucanase from Bacillus subtilis Using Chromogenic Substrate)

  • 이성택;양진오;정안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3-229
    • /
    • 1988
  • 토양에서 분리 동정한 Bacillus subtilis K-4-3를 $\beta$-glucanase생산을 위하여 발효조를 사용한 결과 flask내 배양보다 배양 시간을 단축하였고 높은 역가의 조효소액을 얻을 수 있었다. 배양여액으로부터 균체의 $\beta$-glucanase는 색소에 접합된 변형기질을 이용하여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Sephadex G-100 gel filtration, DEAE-Sphacel ion exchange chromotography의 순으로 정제하였으며, 정제효소는 15배로 정제되어 비활성이 25.7 unit/mg이였으며, 수율은 4.2%이였다. 본 효소의 일반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정제효소는 $50^{\circ}C$에서 최적반응을 나타내었고 그 활성은 $5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에도 안정하였다. 효소의 최적 pH는 7.0 부근이었고 금속이온의 영향으로는 $Fe^{3+}$에 의해 강하게 저해받았고 $Li^{+1}$에 의해 약간 활성화 되였다. 분자량은 SDS 전기영동에 의해 17,000.으로 추정되었으며 monomer였다. 또한 본 효소에 의한 분해산불을 TLC로 관찰한 결과 2탄당, 3탄당 빛 4탄당으로 추정되는 분해산물을 얻을 수 았었으나 최종산물인 glucose는 얻을 수 없었다.

  • PDF

먹는샘물의 녹농균 분포 및 검사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ing Detection Method of Pseudomonas aeruginosa, an Important Index Organism of Bottled Water Quality)

  • 정현미;김동빈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2-248
    • /
    • 2000
  • 1995년 먹는 물 관리법 제정 이후 공식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진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국내 시판중인 먹는 샘물의 원수 및 제품 수에서 각각 2.3%와 1.2% 수준으로 검출되어 세균항목 중 대장균군 다음으로 중요한 수질 세균항목으로 나타났다. 최초 제정된 공정시험법은 asparagine-acetamide 배지를 사용하는 일본 및 미국의 방법(A-A법)을 따랐는데, 녹농균의 검출민감도가 뛰어났으나 검출특이성이 높지 않았다. 검출특이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수용성 형광색소를 형성, pyocyanin 색소 발생, 카제인 가수분해 $42^{\circ}C$ 성장 등 녹농균에 특징적인 생화학적 특성을 녹농균 및 유사균 기준주 및 먹는 샘물 분리주에 실험한 결과 42$^{\circ}C$성장이 유사균을 녹농균과 가장 잘 구별시켜주는 특징이었다. 따라서 민감도가 놓은 A-A법에 $42^{\circ}C$ 성장실험을 녹농균의 여타 생화학적 동정시험 이전에 추가로 검사함으로 서 $37^{\circ}C$에서 오양성으로 판정되는 유사균의 상당수를 효과적으로 제외시킬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 PDF

미생물의 색소에 관한 연구. 제1보 (STudies on the Microbial Pigment(I))

  • Ahn, Tae-Seok;Choi, Yong-Keel;Hong, Soon-Woo
    • 미생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59-169
    • /
    • 1977
  • The bacteria of red colonies isolated from soil were identified as Serratia marcescens. The best solvent for pigment extraction was n-buthanol and the pigment was identified as prodigiosene. The extracted pigment was stable on temperature and light but not on acidity. The redpigment color changed into red in alkaline solution. The maximum absorbancy of pigment was 466 nm in alkaline condition and 540 nm in acid condition. And the pigment formed single spot on the TLC(starch). By the result of infra red spectrum, the red pigment has the same absorption pattern comparing with, the prodigisin produced by S. marcescens strain Nima. It was confirmed that the pigment was secondary metabolite and that the maximal peak of production appeared at 30 hrs after the inoculation, when the bacterial growth was in statinary state. Referring to the effect of temperature, the pigment was not formed at $36^{\circ}C$ and the optimal temperature for both of bactrial growth and pigmentation was $30^{\circ}C$. The optimal range of pH for pigmentation was 5.0 and under the condition the bacterial growth was not affected at all. Examining the effects of light, the bacterial pigment ation was more increased in darkness than in visible light.

  • PDF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Carotenoid색소(色素) 생성(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 Rhodotorula glutinis var. glutinis sw-17의 Carotenid생성(生成)에 관(關)하여 -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Carotenoid Pigments by Microorganism [Part I] - The Carotenoid Production in Rhodotorula glutinis var. glutinis Sw-17 -)

  • 박기현;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4호
    • /
    • pp.243-247
    • /
    • 1976
  • 토양(土壤)으로부터 분리동정(分離同定)된 우수(優秀)한 세포내(細胞內) 지질생성균주(脂質生成菌株)인 Rhodotorula glutinis var. glutinis sw-17에 대(對)하여 carotenoid생성능(生成能)을 검토(檢討)하고서 이 균주(菌株)를 $25^{\circ}C$에서 8일간(日間) 진환배양(振還培養)하여 caroteneid 색소(色素)를 추출분리(抽出分離)하여 column에 흡착(吸着)된 색소층(色素層)의 순서(順序)와 용출(溶出)하여 정제(精製)한 각색소(各色素)의 흡수곡선(吸收曲線)에 의하여 각각(各各)의 carotenoid를 확인(確認)했으며 이들의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Beer의 법칙(法則)에 따라 참고문헌(參考文獻)의 흡광계수(吸光係數)를 사용(使用)하여 정량(定量)한 결과(結果) torularhodin 25.52%, torulene 38.16%, neuroporene 1.49%, ${\gamma}-carotene$ 9.88%, ${\beta}-zeacarotene$ 2.0%, ${\beta}-carotene$ 19.95%이었으며 ${\delta}-carotene$은 거의 흔적(痕蹟)에 가까웠다. 따라서 Rhodotonula glutinis var. glutinis sw-17의 주색소(主色素)는 torularhodin, torulene이었다.

  • PDF

국내 유통 간장게장 제품 안전성 조사 연구 (Study on the Bio-chemical Safety of Ganjang Gejang Distributed in Korea)

  • 서정은;이은정;이종경;오세욱;정현정;오명주;김윤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3-238
    • /
    • 2008
  • 게장제품의 미생물학적, 화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표미생물, 병원성미생물, 기생충, pH, VBN, 염도, 3-MCPD, histamine, 그리고 타르색소를 분석하였다. 게장의 총균수는 3-7 log cfu/g 수준으로 전반적으로 간장 게장보다 양념 게장에서 더 높게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거나 최대 4 log cfu/g 수준까지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조사에서 V. parahaemolyticus는 4점의 게장에서 검출되었으며 이 중 1점은 E. coli와 기생충 Copepoda도 함께 검출된 것도 있었다. 전반적으로 게장의 pH는 $6.69{\sim}8.10$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VBN value는 $21.99{\sim}94.55$ mg%까지 측정되었다. Fig. 4에 나타낸 게장의 염도는 간장 참게장 $11.6{\sim}32.6%$, 간장 꽃게장 $2.8{\sim}20.5%$, 간장 돌게장 $11.6{\sim}13.3%$, 양념 게장 $2.6{\sim}9.4%$로 양념 게장은 전반적으로 간장 게장보다 염도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타르색소, 3-MCPD, histamine은 무작위로 선별된 게장에서는 모두 검출되지 않아 국내 관리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 중의 게장 제품들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나 생물학적 검사 결과에서 원재료 관리, 위생적인 제품 생산 및 유통 관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