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생물 분리

Search Result 3,36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미생물 생태학과 산업

  • 김상종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6 no.3
    • /
    • pp.27-31
    • /
    • 1990
  •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들 중에서 분리 동정하여 배양이 가능한 종류는 전체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이미 알려진 많은 경우들에서 미생물의 산업적 응용이 인간에게 가져다 준 혜택을 생각한다면, 미생물의 산업적 응용은 앞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거의 무한하다 할 것이다. 산업적 이용을 전제로 하여 자연계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를 응용하는 분야는 자연 생태계 전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따라서 미생물 생태학이 이 분야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글에서는 미생물 생태학의 입장에서 원하는 균주를 자연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각 부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대사산물의 분리, 정제 및 화학구조의 결정

  • 이강만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5 no.2
    • /
    • pp.50-53
    • /
    • 1989
  • 이 글은 물질의 분리과정과 구조결정에 관련되는 단계, 방법들에 대하여 개술하였다. 물질의 분리에서는 분리매질에 있어서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특이한 물성을 이용할 수 있는 매질의 개발이 지속될 것으로 생각되며, 구조결정의 각방법들에서도 software의 발달로 미량의 물질로부터 구조를 결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전할 것이다.

  • PDF

생리활성 물질 생산 미생물의 선택적 분리법

  • 강희일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5 no.2
    • /
    • pp.33-39
    • /
    • 1989
  • 본고에서는 주로 방선균의 선택분리 과정을 시료(substrate)선정, 시료 전처리(pretreatment), 배지, 배양조건, 콜로니 선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발효산물의 분리공정

  • 구윤모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6 no.2
    • /
    • pp.38-48
    • /
    • 1990
  • 본고에서는 생물분리의 일반적 특성, 공정적 측면에서의 생물분리기술에 대한 비교, 서술 그리고 현재 많이 사용되는 기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 PDF

미생물의 G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에 관한연구 호소 생산 균주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분리 및 생산실험

  • 이경은;정태화;민태익;한문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6.10a
    • /
    • pp.189.4-190
    • /
    • 1976
  •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를 생산하는 Leuconostoc속 균주를 김치로부터 약 500주 분리하여 그 중 활성이 가장 강한 한주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였다. 이 균주로부터 몇가지 효소생산 조건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결과)

  • PDF

막결합형 혐기성 소화에서 무기분리막과 유기분리막의 막오염 특성 비교

  • 강인중;윤성훈;이정학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10a
    • /
    • pp.51-51
    • /
    • 1995
  • 혐기성 미생물의 특징은 성장 속도가 느리고 침강성이 좋지 않다는 점이다. 이 문제의 한 해결책인 막결합형 혐기성 소화는 고액분리를 완전하게 수행함으로써 미생물의 유출을 방지하여 반응조 내부에 미생물을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회수와 설비 면적의 축소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이 막결합형 혐기성 소화의 경제성은 사용된 분리막의 투과 속도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분리막의 투과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미생물 및 유입수를 비롯한 반응조 내부의 상태, 막모듈 압력 온도 막면유속 등의 운전 조건이 있다. 또한 사용되는 분리막 자체의 재질도 투과 유속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형의 지르코니아 스킨층과 탄소 소재 지지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재료 분리막과 폴리프로필렌 분리막을 이용하여 막재질에 따른 막오염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효과적인 투과율 회복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Microbial Pollution of Indoor Air at Elderly Care Facilities (노인요양시설(老人療養施設)의 실내공기(室內空氣) 중 미생물(微生物) 오염(汚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Sang-Ha;Kim, Young-K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583-586
    • /
    • 2009
  • 우리나라에서의 실내공기 중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사무실, 유치원, 극장, 도서관등 다중이용시설과 병실 내 공간에 존재하는 곰팡이를 비롯한 오염 미생물 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에어로졸이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의 종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1개 광역도 1개 도농복합도시 지역의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실내 미생물 오염상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적절한 실내 환경유지를 위한 미생물 오염 방지 및 개선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노인요양시설의 실내 미생물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2007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2개월 동안 1개 광역도 1개 도농복합도시 지역의 노인요양시설 5곳을 대상으로 실내 외의 공기 중 바이오에어로졸 조사하기 위해 관성충돌 채취법을 적용한 미생물 채취기인 air IDEALTM(Biomerieux)를 이용하여 면양혈액한천배지와 Sabouraud Dextrose Ager를 사용하여 채취하여 배양하였다. 배양하여 분리 동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시설별 전체 미생물의 분리는 300 L 실내에서 S 요양원이 263 cfu/m3로 가장 많았고, U 요양원이 123 cfu/m3로 가장 낮은 수가 분리되었다. 진균의 수는 300 L 실내에서 G 요양원이 73 cfu/m3로 가장 많았으며, C 요양원은 40 cfu/m3로 가장 낮은 비율로 분리되었다.

  • PDF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Using Culture-Dependent Method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배양 분리법을 통한 젓갈 내 원핵 세균 군집 분석 및 신규 미생물의 분리)

  • Kim, Min-Soo;Park, Eun-Jin;Jung, Mi-Ja;Roh, Seong-Woon;Bae, Jin-Woo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5 no.1
    • /
    • pp.26-31
    • /
    • 2009
  • This study was aimed at the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from jeotgal by using culture-dependent and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Seventeen kinds of jeotgal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its origins and sources. The samples were inoculated on 12 kinds of media. 308 isolates were selected randomly by morphological features, and its 16S rRNA gene sequences was amplified by PCR technique with bacteria and archaea specific primers (8F, 21F, and 1492R). The 16S rRNA gen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EzTaxon and GenBank databases. DNA-DNA hybridizat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a novel strain. As a result, the majority of the isolates were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Weisella, Lactococcus, Lactobacillus, Carnobacterium, Marinilactibacillus), Bacillus, Pseudomonas, Micrococcus, Brevibacterium, Microbacterium and Kocuria in 17 kinds of jeotgal. The strains belonging to Salinicoccus, Halomonas, Cobetia, Lentibacillus, Paracoccus, and Psychrobacter were isolated as minor ones. Fourteen novel species were identified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산업적으로 중요한 방선균 분리

  • 이계준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8 no.3
    • /
    • pp.41-52
    • /
    • 1992
  • 본고에서는 현재 산업적으로 중요한 유용물질을 생성하는 방선균의 종류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 아울러 산업적으로 중요한 방선균을 자연계로부터 선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 PDF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Halophilic Bacteria in Solar Salts Produced during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천일염 생산공정별 미생물 분포 조사 및 호염미생물 동정)

  • Na, Jong-Min;Kang, Min-Seung;Kim, Jin-Hyo;Jin, Yong-Xie;Je, Jeong-Hwan;Kim, Jung-Bong;Cho, Young-Sook;Kim, Jae-Hyun;Kim, So-Young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9 no.2
    • /
    • pp.133-139
    • /
    • 2011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hanges in microbial numbers in solar salt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orage duration. The salt samples were harvested from salt farms in Shinan (area 2) and Yeonggwang (area 1). They were serially diluted ten-fold and then placed on 4 kinds of cultivable media (mannitol salt agar, eosin methylene blue, plate count agar, and trypticase soy agar). After incubation, we obtained 62 halophilic isolates from the salt samples. Coliform and general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all salt samples. By 16S rRNA sequencing analysis, we found 12 kinds of halophilic bacteria belonging to the genera Halobacillus, Halomonas, Bacillus, Idiomarina, Marinobacter, Pseudoalteromonas, Vibrio, Salinivibrio, Virgibacillus, Alteromonas, Staphylococcus and some un-known stains. In our study, we discovered two novel species that have a 16S rDNA sequence similarity below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