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호흡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5초

상수리나무림의 토양호흡에 대한 뿌리호흡의 기여 (Contribution of Root Respiration to Soil Respiration for Quercus acutissima Forest)

  • 이규진;원호연;문형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80-786
    • /
    • 2012
  • 공주 근교의 상수리나무림을 대상으로 단근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토양호흡량에 대한 뿌리호흡량의 기여율을 파악하였다. 토양호흡구(control plot)와 미생물호흡구(trenched plot)를 설치하고 2011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IRGA 토양호흡측정기를 사용하여 $CO_2$발생량을 측정하였다. $CO_2$발생량은 하절기에 증가한 후 동절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의 $CO_2$발생량은 8월에 가장 높았으며, 이때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의 $CO_2$발생량은 각각 1.345, 0.897g $CO_2\;m^{-2}\;hr^{-1}$로 토양호흡구에 비해 미생물호흡구에서 33.31% 낮게 나타났다(P<0.05). $CO_2$발생량은 1월에 가장 낮았으며, 이때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에서 각각 0.097, 0.032g $CO_2\;m^{-2}\;hr^{-1}$로 토양호흡구에 비해 미생물호흡구에서 67.01% 낮게 나타났다(P<0.01). 연간 $CO_2$발생량은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에서 각각 4.320, 2.834kg $CO_2\;m^{-2}\;yr^{-1}$로 나타났다. $CO_2$발생량은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에서 토양온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토양호흡구와 미생물호흡구간의 $CO_2$발생량 차이로 추정한 뿌리호흡량은 토양호흡량 중 약 34.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에서의 토양 호흡 분석 (Analysis of Soil CO2 efflux across three age classes of plantation Pinus koraiensis)

  • 남기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6-123
    • /
    • 2018
  • 산림생태계에서 대기로의 토양의 이동은 토양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생육기 동안의 토양 호흡값과 토양 내 뿌리의 양, 미생물 개체군 생물량을 측정하여, 토양호흡량이 임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뿌리와 미생물 개체군이 얼마나 기여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 온도와 토양 호흡은 임령과는 상관없이 유사한 패턴을 보여 7월까지는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였다. 산림의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호흡량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토양 내 뿌리와 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내 존재하는 지름 2 mm 이하인 세근의 양이 많았으며 토양 미생물 개체군의 생물량이 많았다. 토양에서 뿌리를 제거하였을 때 70년 숲은 변화가 없었으나, 40년 숲에서는 토양 호흡값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산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토양 호흡량이 커지며, 식물 뿌리와 특히 토양 미생물이 토양 호흡값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Brucella 면역혈청이 균생존과 호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une Serum on the survival and Respiration of Brucella)

  • 안태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9
    • /
    • 1970
  • 정상혈청과 면역혈청의 존재하에 있어서 균의 생존율이 호흡율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Brucella 균을 사용하여 실험해보았다. 혈청의 원액에 균을 $37^{\circ}C$ 3시간 방치했다가 흔히 쓰는 평판주입법에 의하여 생존균수를 측정했고, 균호흡은 Warburg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혈청의 살균작용과 균호흡억제작용 간에는 극히 대조적인 현상을 엿볼 수 있었는데, 그것은 균호흡이 억제되면 될 수록 생존균수는 그만큼 증가되었다는 사실이다. Brucella 면역혈청의 살균계수가 $1.4{\sim}1.6$이었는데 반해 정상혈청은 2.7나 되었으며, 그 차는 무려 $log_{10}$ 일단위 이상이나 되었다. 그러나 면역혈청내에서의 균호흡율은 정상혈청중에서의 호흡율의 반도 안되었다. 면역체가 보체와 더불어 이러한 호흡억제 작용을 나타낸 것 같으며 이렇게 호흡이 억제된 상태에 있는 균은 혈청의 살균인자에 보다 무감각한 것 같다. 즉 in vitro에서 Brucella 면역체는 어느 일정량 이상 존재하면 균호흡을 억제하고 동시에 혈청의 살균인자로부터 균을 보호해 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불암산 도시자연공원 상수리나무군락의 토양호흡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oil $CO_2$ Efflux in Quercus acutissima stand at Mt. Bulam urban nature park)

  • 김정섭;공석준;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62-7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13년 06월부터 2014년 05월까지 1년간 불암산 도시자연공원 상수리나무군락에서 토양호흡량과 미기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호흡량과 미생물호흡량은 각가 $28.14{\pm}7.99{\sim}582.47{\pm}318.51mg$, $12.32{\pm}8.04{\sim}415.71{\pm}159.92mg\;CO_2{\cdot}m^{-2}{\cdot}h^{-1}$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또한, 토양호흡량은 계절별로 여름, 가을, 겨울, 봄에 각각 1169.1, 454.81, 72.08, $494.23g\;CO_2{\cdot}m^{-2}{\cdot}month^{-1}$로, 미생물호흡량은 526.20, 340.09, 45.13, $374.9g\;CO_2{\cdot}m^{-2}{\cdot}month^{-1}$로 조사되었다. 연간 토양호흡량과 미생물호흡량은 각각 $2190.22g\;CO_2{\cdot}m^{-2}{\cdot}yr^{-1}$, $1286.33g\;CO_2{\cdot}m^{-2}{\cdot}yr^{-1}$로 조사되었다. 또한, 토양호흡량, 미생물호흡량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지수함수를 이용한 회귀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양호흡과 미생물호흡 모두 토양온도와 대기온도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토양수분함량과 광량에서는 매우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토양호흡량과 미생물호흡량간의 차이로 추정한 뿌리호흡량은 토양호흡량 중 약 33.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서로 다른 토양에 형성된 Populus tremuloides Michx. 임분의 수확이 토양호흡률 및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Timber Harvesting Impacts on Soil Respiration Rate and Microbial Population of Populus tremuloides Michx. Stands on Two Contrasting Soils)

  • 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72-379
    • /
    • 1994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두가지 토양에서 천연갱신되어 자라고 있는 trembling aspen(Populus tremuloides Michx.) 임분의 수확이 토양미생물상 및 토양호흡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며 토양호흡률이 토양미생물상 변이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다섯 가지의 수확처리(지상부 전체 임목수확, 겨울철 수확통로, 수확 잔재목 제거, 수확 잔재목 및 낙엽류 제거, 춘계 답압)를 1990년과 1991년 사이의 겨울 및 봄 사이에 시행하였고, 1991년 및 1992년의 2년간에 걸쳐 수확후 산림토양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각 임분의 토양형에 관계없이 토양호흡률은 수확후 약간 감소하거나 변동이 없었으나 미생물수는 수확후 2년동안 점차 증가하였다. 미생물수는 식질토양에서 보다 사질토양에서 보다 급속하고 지속적인 증가양상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수확 결과 미생물 활성에 영향하는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이 식질토양보다는 사질토양에서 큰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두가지 종류의 처리(세 수준의 유기물 제거 및 두 수준의 답압 처리)는, 두 지역 모두, 수확후 2년간의 미생물상이나 토양호흡률에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대상임분이었던 trembling aspen은 수확후에도 뿌리의 활력이 떨어지지 않고 맹아발생을 위한 대사를 진행하여, 뿌리의 호흡과 미생물의 호흡을 포함하는 전체 토양 호흡에서 뿌리의 호흡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결과를 낳아, 전체 토양호흡을 미생물의 활력도 변이의 지표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 PDF

단계별 성장 개념의 기질 이용과 미생물 호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e Substrate Utilization and Respiration Model by the Step Growth Concept)

  • 김연권;서인석;김홍석;김지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B호
    • /
    • pp.433-437
    • /
    • 2006
  • 최근, 활성 슬러지 공법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은 폐수처리장의 설계와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NR 공정에서 미생물의 성장 및 호흡과 관련한 내 외부 기질의 이용 경로에 관한 정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ASM No.3와 비교되는 새로운 개념의 활성슬러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생물의 단계별 성장이론에 근거한 이 모텔의 구조는 호기성 저장, 내부저장물질(ISCs; Intercellular Storage Compounds)과 외부기질 활용에 따른 미생물의 성장, 내생호흡과 내부저장물질을 이용한 호기성 호흡 등 5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적 성장모델에 기초한 예측결과는 산소이용율(OUR)과 TCOD에 의한 실험결과에 있어 ASM No.3의 결과보다 더욱 일치함을 나타냈다.

미생물 호흡속도에 기초한 혼합배양중의 생균수 측정 (Measurement of Viable Cell Number in Mixed Culture Based on Microbial Respiration Rate)

  • ;권윤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87-692
    • /
    • 1992
  • 혼합배양중의 각 미생물의 생균수 측정은 순수배양보다 훨씬 복잡하다. 특히 두 균주의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더 제한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균의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간단한 생균수 측정방법을 개발하였다. 미생물 배양액의 산소흡수속도(OUR)는 세포수에 비례하며 이때의 비례상수인 최대 비산소흡수속도( maximum specific OUR)를 알고 있으면 배양액의 OUR을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생균수를 구할 수 있게된다. 혼합배양의 경우 산소흡수속도는 각 미생물의 호흡속도의 합이 되며, 각 미생물의 호흡속도가 서로 다르고 또한 온도의존성이 다르다면 호흡속도의 측정을 이용하여 각 생균수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 PDF

소아의 호흡기 미생물군 유전체 (Respiratory Microbiome in Children)

  • 김동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3호
    • /
    • pp.129-139
    • /
    • 2019
  • 사람의 호흡기계는 감염 질환을 일으키는 세균과 집락균이 복잡하게 공존하는 기관이다. 세균이 배양되지 않아도 분석이 가능한 16S 리보좀 RNA 유전자 서열분석 기법이 도입된 이래 사람의 미생물군 유전체에 대한 많은 연구 성과들이 보고되었다. 출생 후 영아기 호흡기 내의 미생물총 구조는 이후의 호흡기계 건강과 연관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본 종설에서는 건강한 어린이의 호흡기 미생물총의 발달, 미생물 간 상호 작용, 숙주의 면역에 미치는 영향, 미생물군 유전체와 호흡기 건강의 연관성에 대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낙엽분해동안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중금속의 영향 추정 (The Effect Estimation of Heavy Metals on the Microbial Activity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 심재국;신진호;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87-892
    • /
    • 2011
  • 본 연구는 충남 청양의 폐광산 지역과 인근 대조구에 분포하는 Artenmisia princeps var. orientalis(쑥), Equisetum arvense(쇠뜨기)를 이용하여 식물체 내 중금속 함량이 미생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낙엽 회수시 측정한 호흡량은 처음 회수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발생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중금속의 함량이 높은 낙엽에서 미생물의 호흡량이 낮았으며 대조구에서 채집하여 대조구에서 분해시킨 쑥과 쇠뜨기에서 가장 빠른 분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쑥과 쇠뜨기 모두 중금속 함량이 적은 낙엽에서 높은 미생물량을 나타내었다. 낙엽의 분해율과 누적호흡량, 낙엽의 분해율과 미생물량사이에는 각각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식물체 내의 중금속이 분해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장과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할 수 있다.

미생물 호흡률에 의한 유입 하수의 유기물질과 미생물 분율 측정 (Measurement of the Organic and Biomass Fractions in Sewage by Respirometry)

  • 신항식;정형석;남세용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51-355
    • /
    • 2001
  • 호흡율 측정법을 이용하여 하수의 유기물 성분을 ASM No.1에서 제안한 네 가지 성분으로 구분하였다. Ss의 경우 전체 TCOD의 10-16%, Xs의 경우 32-50%, S$_1$의 경우 8-1%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X$_1$의 경우 2-47%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 결과는 외국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Ss 성분이 10% 작을 반면 X$_1$ 성분은 10% 정도 큰 것으로 비교되었다. 하수의 미생물 농도를 분석한 결과, active heterotrophic biomass가 TCOD의 10-23%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active autotrophic biomass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실험은 현재 TCOD, SCOD로 구분하는 하수의 유기물 성분을 미생물의 이용 정도를 나타내는 호흡률 측정법으로 세분화함으로서, 본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유기물 분해 과정 및 탈질화 그리고 인 제거 기작에 사용되는 유기물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