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백효능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7초

B16F10 멜라닌 세포에서 약콩(Glycine soja Siebold et Zucc.) 분획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ractions from Glycine soja Siebold et Zucc.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김보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1-23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약콩(Glycine soja Siebold et Zucc.) 분획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2), 티로시나제 발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콩 분획 추출물 0.125, 0.25, 0.5, 2.0 mg/mL 농도에서 82% 이상의 높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을 처리한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약콩의 EtOAc 분획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티로시나제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TRP-1, TRP-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약콩 분획 추출물이 멜라닌생합성과 관련되는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켜 피부 미백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국산 겨우살이의 항산화, 항노화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s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In Vitro)

  • 홍창의;유수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5-3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의 항산화, 항노화, 미백 효능을 알아보았다. 겨우살이 분획물은 hexane (HX), ethyl acetate (EA), butanol (BU), methylene chloride (MC) 총 4 가지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HX 분획물이 4 가지 분획물 중 가장 높은 페놀 함량을 보였다. 또한 EA 분획물이 가장 높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catalase-유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C 분획물이 가장 높은 superoxide dismutase (SOD)-유사 활성을 나타냈다. MC 분획물은 또한 가장 우수한 hyaluronidase와 elastase 억제능을 보였다. 미백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tyrosinase 억제능을 알아보았는데, HX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억제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한국산 겨우살이는 항산화, 항노화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흑진미(Oryza sativa cv. Heugjinmi)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 연구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Oryza sativa cv. Heugjinmi Extracts)

  • 이주성;최은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1-14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흑진미(Oryza sativa cv. Heugjinmi)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미백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항산화 및 미백 관련 인자들의 효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SOD 유사 활성, FRAP, 환원력,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elastase저해 활성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열수 추출물에서는 효과가 없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59%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은 B16F10 세포주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농도인 25, 50, 100 ㎍/mL 농도에서 cellular tyrosinase와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tyrosinase, TRP-1, TRP-2의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는 최고농도인 100 ㎍/mL에서 각각 37%, 51%, 34%의 억제율을 보였다. 따라서 흑진미(O. sativa)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9%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부착형 미백제의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CLINICAL EVALUATION OF A BLEACHING STRIP CONTAINING 2.9% HYDROGEN PEROXIDE)

  • 박은숙;성소래;홍성태;김지은;이소영;황수연;이신재;진보형;손호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4호
    • /
    • pp.269-281
    • /
    • 2006
  • 2.9%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시험용 부착형 미백제 (Medison dental whitening strip, Samsung medical Co., Anyang, Korea)를 실험군 피험자 23명, 시험용 미백제에서 과산화수소를 제외한 동일한 제재를 대조약으로 대조군 피험자 24명에게 매일 1시간 30분씩, 2주간 적용하여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Shade Vision, Chroma Meter 및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를 이용하여 색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실험군에서의 전체 치아의 색변화량 $({\Delta}E^{*})$은 세 가지 측정법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5),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도였다. 2. 색변화는 색좌표 상에서 병도의 증가와 녹색조 및 청색조로의 변화에 의해 얻어졌다. 3. 치아별로는 어두운 견치의 색변화량이 가장 컸고, 측절치, 중절치 순으로 감소하였다. 4. 47명의 피험자 중 5명이 경도의 과민증을 경험하였으나 곧 완화되었고, 치은염증지수와 전기치수검사 결과 시험 전후에 차이가 없어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성 바이오 미네랄 활성수에 의한 항노화 및 미백효과 (Anti-aging and Anti-melanogenesis Efficacy by Antioxidative Mineral-bio Water)

  • 최현경;오명진;허명준;경경환;박장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09
  •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는 활성산소종을 형성한다. 이는 피부의 염증 반응을 야기시키며 콜라겐 생성 억제를 통해 피부 노화를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항산화성 미네랄 바이오 활성수1과 2(MIBA-W1, MIBA-W2)를 이용하여 항염증 및 항노화 기초 효능과 함께 미백효능을 측정하였다. 두 종류 MIBA-W 모두가 UV에 의해 증가된 TNF-${\alpha}$를 상당량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나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UVB에 의해 감소되는 콜라겐 합성량은 MIBA-W1에 의해 0.01 % 농도에서 대조군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MIBA-W2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MIBA-W2는 ${\alpha}$-MSH로 처리된 B16-F1 melanoma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MIBA-W2 의 경우 고형분 0.001 % (부피비 5 %)의 농도에서 ${\alpha}$-MSH에 의한 멜라닌의 합성을 ${\alpha}$-MSH positive control 대비 약 50 %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종합하면 두 종류의 MIBA-W는 항염증 효능과 미백기능을 가지는 피부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코직산 유도체의 합성과 미백효과 (Synthesis of Novel Kojic Acid Derivative and Its Anti-pigmentation Effect)

  • 김기호;김기수;김진국;한창성;김영희;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9-414
    • /
    • 2004
  • 코직산은 티로시나제의 억제에 의한 미백효능을 가지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낮은 안정성으로 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의 사용에 제약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기합성적 방법에 의해 안정성과 미백효과를 가지는 코직산 유도체를 고수율로 합성하였다. $O-pentaacetyl-{\beta}-D-glucose를$ 루이스산과 유기염기를 이용하여 위치 선택적이고, 입체 선택적으로 코직산의 6번 위치에 도입시켜 $kojic\;acid\;6-O-2',3',4',6'-tetraacetyl-{\beta}-D-glucopyranoside\;(KTGP, 80{\%})를$ 합성한 후, 가수분해하여 kojic acid 6-0-f-D-glucopyranoside $(KGP, 70\%)를$ 수득하였다. $^1H-NMR과\;^{13}C-NMR$ 분석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KGP를 가지고 티로시나제 활성저해, 프리라디칼소거능과 멜라닌합성저해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와 프리라디칼소거능에서 코직산보다 높거나 비슷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코직산 수준의 미백효능을 확인하였기에 유기 화학적으로 합성된 KGP의 미백원료로서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포도껍질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Characteristics of Grape Skin Extract)

  • 신은민;김주연;박시은;김창준
    • 청정기술
    • /
    • 제27권4호
    • /
    • pp.306-314
    • /
    • 2021
  • 포도껍질은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한 유용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포도의 과육만 섭취하고 포도껍질을 폐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도껍질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건조된 포도껍질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1 h 동안 교반시킨 후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상등액을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추출 수율은 17.8 ~ 31.4%였고 추출물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8 ~ 2.5 mg-QE g-extract-1와 16.9 ~ 20.3 mg-GAE g-extract-1였다. 추출물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와 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TM)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고 소거정도는 추출물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Collagenase의 콜라겐 가수분해 활성이 추출물에 의해 저해를 받았고 추출물 농도 증가에 따라 활성 저해율이 84.2%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추출물에 의한 tyrosinase 활성 저해가 크지 않았다. 추출물에 편백수를 첨가함에 따라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이 높아졌으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포도껍질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주름개선 효능이 높은 반면 미백 효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출물에 편백수를 적절히 혼합함으로써 항산화능과 주름개선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미백 효능도 향상되었다.

N-Linked Glycosylation 저해에 의한 닭의장풀 추출물의 미백효능 (Whitening Effect of Dayflower (Commelina communis L.) Extract by Inhibition of N-Linked Glycosylation Process and Melanogenesis)

  • 박선희;이방용;이승현;한창성;김진국;김경태;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78
    • /
    • 2009
  •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Dayflower)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melanin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닭의장풀 추출물은 버섯 tyrosinase 활성 실험에서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melanin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활성시험 결과에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1,000 ${\mu}g/mL$의 농도에서 약 32%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능도 우수하여 닭의장풀 추출물 250 ${\mu}/mL$ 이상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추출물의 생성 기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melanin 합성의 key protein 인 tyrosinase 발현의 우수한 저해 능력을 보였고,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발현 억제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N-glycosylatin 억제를 통해 melanin 합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melanin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tyrosinase, TRP-1)의 발현 저해 및 TRP-2의 N-glycosylation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추출물은 melanin 합성의 효소 경로를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

  • 박성진;권성필;나영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58-116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아가위 열매(Crataegi fructus)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미백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기능성 미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1.31 m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5.42 mg/g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1,000{\mu}g/mL$에서 85.80%,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7.3%, 환원력은 0.31로 나타났다. Melanoma 세포에 대한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최대 허용농도는 $100{\mu}g/mL$으로 확인되어 세포독성이 미약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능은 $50{\mu}g/mL$에서 8.5%,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은 $1,000{\mu}g/mL$에서 46.83 %를 나타내었다. 아가위 열매 추출물은 약재와 식용 및 약용식물로 이용되는 여러 천연물보다 다량의 페놀화합물 및 각종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추후 용매별 분획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지표성분의 확인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제품의 첨가제나 천연 항산화 소재 및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

  • 정여원;김유미;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496-1506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의 부위별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잎·가지(Leaf), 수피(Bark), 목재(Wood), 뿌리(Root)로 분리하여 99.9 % 에탄올에 추출한 시료로 항산화, 미백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산화 평가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다.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 평가, MTT assay를 통한 편백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과 melanin 생합성량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결과 편백나무 부위 중 수피(Bark) 추출물이 가장 효능이 우수하였으며 B16F10 melanoma cell내 편백나무 수피(Bark)는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편백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의 안전하고 우수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물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