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기상환경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1초

기류속도가 인공광하에서 공정육묘 개체군의 미기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current speed on the microclimates of plug stand under artificial light)

  • 김용현;고재풍수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6년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71-75
    • /
    • 1996
  • 공정육묘의 생장과 품질은 공정묘개체군(이하 '묘개체군'이라 칭함)내 미기상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현재까지, 식물생태계의 미기상 변화에 따른 작물생육의 반응 또는 식물생태군의 공기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4). (5). (6)}$ 는 노지식물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식물종묘공장과 같은 폐쇄계 식물생산 시설에서 묘개체군내의 미기상 특성에 관한 연구는 Kim등$^{(3)}$ 에 의해서 최근들어 시도되었다. (중략)

  • PDF

미기상 해석에 의한 간이시설의 형태별 효율성 검토 (Efficiency Evaluation of Several Types of Rain Selter by Meteorological Analysis)

  • 김문기;손정익;유인호;신만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3년도 가을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7-18
    • /
    • 1993
  • 여름철 비가림 재배에서는 병발생이 노지재배보다 억제되고, 품질향상과 수량증가가 가능하지만, 기존의 간이시설은 작업성 및 고온장애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형태의 비가림 시설을 보급하기 위하여 선정된 간이시설에 대하여 미기상해석에 의한 간이시설의 형태별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여름철 도시공원의 열환경 개선 효과 - 서울숲 미기상 관측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Urban Park on Thermal Comfort in Summer - An Analysis of Microclimate Data of Seoul Forest Park -)

  • 조현민;권태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30-41
    • /
    • 2022
  • 본 연구는 여름철 도시 공원의 열환경 개선효과를 측정하고 지점별 기상 측정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숲 공원 내외부에 측정 장비를 설치하고 측정값을 분석하였다. 특히 공원의 지점별 기상 측정값의 차이를 정밀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숲 광장부와 수변부, 공원 주변 도로부 3곳에 기상 측정 장비를 설치하고, 7월 9일에서 7월 30일 까지의 미기상 관측 자료를 측정하였으며 열 쾌적성 지표를 살펴보는 UTCI 분석을 통해서 공원의 지점별 열환경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측정 기간을 기준으로 서울숲의 온도는 광장부와 수변부가 주변의 도로부와 각각 2.7℃ 및 2.9℃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도가 높은 10시에서 16시 사이 시간대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에는 각각 5.5℃ 및 7.4℃로 매우 큰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UTCI 분석을 통한 열 쾌적성 비교에서는 도로부와 공원부, 녹지부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또한 강한 햇볕으로 기온이 높은 10시에서 16시 시간대에 더욱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 외에 함께 측정된 미기상 자료들 중 미세먼지의 경우 측정 기간인 22년 7월 전체적으로 높은 날이 없었기 때문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수변부, 광장부, 도로부 순으로 낮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산화탄소 농도의 경우 광장부, 도로부, 수변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공원 내 두 지점에서는 시간대에 날씨에 따라 미기상 측정 결과와 열 환경 개선효과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으나, 공통적으로 공원 내 녹지부, 수변부는 모두 공원 도로부 지점과 비교하여 온도와 열 쾌적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