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기록과

검색결과 1,921건 처리시간 0.034초

사초과 올챙이골속의 한국 미기록종: 고창고랭이 (Schoenoplectiella ×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 (First record of Schoenoplectiella ×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 (Cyperaceae) from Korea)

  • 김종환;김민하;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7-271
    • /
    • 2016
  • 한국 미기록종인 고창고랭이(Schoenoplectiella ${\times}$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를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의 저수지에서 발견하였다. 고창고랭이는 짧게 기는 지하경이 있고 소수가 1-3개가 달리는데 반하여, 송이고랭이(S. triangulata)는 지하경이 아주 짧고 줄기가 빽빽이 모여나며 소수가 5-20개가 달리고, 제주올챙이골(S. lineolata)은 지하경이 길게 발달하고 소수가 1개가 달려 뚜렷이 구별된다. 이 미기록종의 국명은 고창군에 자라기 때문에 '고창고랭이'로 하였고, 고창고랭이에 대한 기재, 도해, 칼라도판 및 근연종 사이의 차이점을 검색표와 표로 제시하였다.

애접시거미아과(거미목: 접시거미과)의 거미 1 신종과 4 한국미기록종의 기재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and Four New Records of the Spider Subfamily Erigoninae (Araneae: Linyphiidae) from Korea)

  • 서보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1-149
    • /
    • 2011
  • 애접시거미류 5종을 그림과 함께 기재하였다: 1 신종, Saitonia pilosus n. sp. (털애접시거미), 와 한국미기록종 4종, Ceratinella brevis (Wider, 1834) (껍질애접시거미), Erigone atra Blackwall, 1833 (긴톱날애접시거미), Maso sundevalli (Westring, 1851) (마소애접시거미), 그리고 Parasisis amurensis Eskov, 1984 (대륙애접시거미). 4 속, Ceratinella Emerton, 1882 (껍질애접시거미속), Maso Simon, 1884 (마소애접시거미속), Parasisis Eskov, 1984 (대륙애접시거미속), 그리고 Saitonia Eskov, 1992 (이마애접시거미속), 역시 한국미기록속이다.

제주도 연안에서 채집된 농어목 어류 7 미기록종 (New Records of Seven Species of the Order Perciformes from Cheju Island,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20
    • /
    • 1994
  • 1991년 부터 1993년까지 제주도 연안에서 채집한 농어목 어류 가운데서 다음과 같은 7 미기록종이 확인되었기에 보고한다. 미기록종은 황줄깜쟁이과에 긴꼬리뱅에돔(국명신칭) Girella melanichthys (Richardson)와 무늬깜쟁이(국명신칭) Kyposus bigibbus Lacepede, 나비고기과에 꼬리줄나비고기(국명신칭) Chaetodon wiebeli Kaup, 망둑어과에 사자코망둑(국명신칭) Istigobius campbelli (Jordan and Snyder), 동갈돔과에 민동갈돔(국명신칭) Gymnapogon japonicus Regan, 촉수과에 주황촉수(국명신칭) Parupeneus chrysoplueron (Temminck et Schlegel) 그리고 실꼬리돔과에 황줄실꼬리돔(국명신칭) Nemipterus japonicus (Bloch) 이다. 이중에 동갈돔과에 민통갈돔속(국명신칭) Gymnapogon은 국내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미기록속이었다.

  • PDF

한국 연안해역의 미기록 Peridiniales 목 와편모조 시스트 (New Records of Dinoflgallate Cysts of Peridiniales from the Korean Coastal Waters)

  • 박종식;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36권1호
    • /
    • pp.82-89
    • /
    • 2018
  • 남해 중앙부의 가막만 입구해역에 설치된 sediment trap의 와편모조 시스트 및 시스트에서 발아된 유영세포에서 국내 미기록 와편모조 시스트 9종을 관찰하였기에 형태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미기록 와편모조 시스트는 모두 종속영양종으로 와편모조문 (Dinophyta), 와편모조강 (Dinophyceae), 페리디니움목 (Peridiniales)에 속하였다. 미기록 종은 Brigantedinium majusculum (Protoperidinium sinuosum), cyst of Diplopsalis lebourae, cyst of Protoperidinium excentricum, cyst of Pt. sp. cf. nudum, cyst of Pt. obtusum, cyst of Pt. ventricum, cyst of Protoperidinium sp.1, cyst of Protoperidinium sp.2 및 미동정된 cyst of Peridinales 등이었다.

사초과 하늘지기속의 한국 미기록종: 바위하늘지기(Fimbristylis hookeriana Boeckeler) (First record of Fimbristylis hookeriana Boeckeler (Cyperaceae) from Korea)

  • 김종환;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6-299
    • /
    • 2013
  • 한국 미기록 종인 바위하늘지기(Fimbristylis hookeriana Boeckeler)를 전라남도 영광군과 전라북도 군산시 무녀도에서 발견하였다. 바위하늘지기는 식물체에 털이 없고, 소수가 매우 좁은 난형이며, 암술대가 길고, 인편이 탈락하지 않고 늦가을까지 숙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반하여, 하늘지기는 식물체에 털이 있고 소수가 난형이며 인편이 탈락하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 미기록종의 국명은 주로 바닷가 근처의 건조한 바위위에 자라기 때문에 '바위하늘지기'로 하였고, 바위하늘지기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근연종 사이의 차이점을 검색표와 표로 제시하였다.

중국 미기록 6종을 포함한 장백산의 Plusiinae 나방류(나비목, 밤나방과) (Plusiinae in Mt. Changbai (Lepidoptera, Noctuidae), with Six New Records from China)

  • 한휘림;김대용;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20
    • /
    • 2005
  • 2000-2004년에 걸쳐 수행된 장백산의 나방류 조사결과로 Plusiinae 아과 34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그들 중 Abrostola ussurienis Dufay, Polychrysia aurata (Staudinger), P. splendida (Butler), Lamprotes mikadina (Butler), Autographa amurica (Staudinger), A. v-minus (Oberthur) 등 6종이 중국미기록 종으로 밝혀졌다. 과거에 보고되었던 Antoculeora ornatissima (Walker), Autographa nigrisigna (Walker), 그리고 Syngrapha hochenwarthi (Hochenwarth)등 3종은 본 조사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새로이 밝혀진 중국 미기록 6종에 대해 성충의 외부특징에 대한 간략한 기술과 그들의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였다. 장백산에서 보고된 총 37종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한국 미기록속 Palorus Mulsant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보고 (First Record of the Genus Palorus Mulsant in Korea (Coleoptera: Tenebrionidae: Palorini))

  • 홍기정;김무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1-215
    • /
    • 2015
  • 한국산 거저리과의 미기록인 Palorus Mulsant에 속하는 2종인 넓은이마쌀도둑거저리(신청)(Palorus ratzeburgii (Wissman, 1848))와 좁은 이마쌀도둑거저리(신칭)(P. subdepressus (Wollaston, 1864))를 보고한다. 이들 2종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저장곡물해충으로 중요하지만, 국내 정미소에서는 아주 낮은 밀도로 발생하고 있다. 이들 미기록종에 대한 성충 사진, 진단형질, 저장곡물의 검역해충인 본 속의 6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공하였다.

제주 동부지역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 자생버섯 보고 (Domestic Unrecorded Species Found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 이승학;고평열;전용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5-11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6년 5월에서 9월까지 제주 동부지역에서 채집된 317종의 버섯들 중 국내 미기록된 4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미기록종으로 추정되는 버섯의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채집된 자실체에서 분리한 DNA의 염기서열을 버섯의 유전자은행을 통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Agaricus flocculosipes, Amanita concentrica, Coprinopsis strossmayeri, Favolus acervatus로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현미경을 이용하여 버섯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는 모두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버섯과 일치하였다.

한국산 포식선충 (Nematoda : Mononchida) 의 2신종 및 2미기록종기재 (Two New and Two First Recorded Species of Predatory Soil Nematodes (Nematoda : Mononchida) from Korea)

  • Khan Zakaullah;Park, So-Deuk;Bae, Su-Go;Shin, Yong-Seub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7권1_2호
    • /
    • pp.51-57
    • /
    • 2002
  • 포식선충목(Mononchida) 2 신종과 기록된 2 미기록종을 기재하였다. lotonchus cucumis sp. n.는 체장이 2.0-3.2 mm이며, 음문전후방에 각각 3개의 돌기가 있으며, 각질화 된 조각의 자궁, 긴꼬리에 미선구를 가졌다. Mylonchulus sp. n.은 체장이 1.1-1.2 mm이며 구강의 아복부벽에 2쌍의 치아를 가지고있고, 아중부소치가 2-3열로 정리되어 있고, 매우 짧은 후부자궁낭과 미선구가 있다. Mononchus sinensis와 M. aquaticus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된다.

  • PDF

한국의 미기록속 이마줄불청객파리속(신칭)(파리목: 불청객파리과)에 대한 보고 (A Newly Recognized Desmometopa Loew, 1866 (Diptera: Milichiidae), A Commensalistic Dipteran Genus, in South Korea)

  • 어승수;최정환;김일권;김아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25-33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미기록속인 이마줄불청객파리속(신칭)과 미기록종인 작은눈이마줄불청객파리(신칭)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우리는 이 종이 포식성 거미의 섭식과정에 관여하는 phoretic relationship의 습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종의 성충에 대한 기재문과 사진 및 DNA바코드 서열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