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국 지리학회지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ransnational Migration of Memory and Politics of Immigrant Community: The Case of Comfort Women Memorials in the U.S. (기억의 초국적 이동과 이민자 집단의 정치: 미국 위안부 소녀상을 사례로)

  • Yoon, Jihwa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93-408
    • /
    • 2018
  • This study aims to raise our understanding of how memory of a social group is transnationally appropriated and utilized by other subjects. A collective sense of justice for comfort women has been handed to many Koreans either in Korea or in overseas countries since the early 1990s. In the U.S., the first comfort women monument was established in Palisades Park, New Jersey by Korean-Americans and local politicians as they wanted to strengthen the common sense of Korean ethnicity with the symbolic power of the memoryscape. Exploring the diffusion of comfort women memorials in the U.S., this study examines the complexity and multilayered structure of memory politics and its transnational mobility, which are connected to Korean-Americans' struggle for belonging.

Church Activities and Identity Problems of the 2nd-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Atlanta, GA (재미한인2세들의 교회 활동과 정체성 문제 -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의 한인2세를 중심으로 -)

  • Lee, J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5
    • /
    • pp.573-586
    • /
    • 2008
  • Many studies of Korean immigrants in America reveal that about 70% of them attend a Korean church. Within Korean immigrant churches members exchange information and advice while they maintain their cultural traditions and ethnic norms. Recently some 2nd-generation Koreans have gradually started their own Korean congregations, known as English ministries(EMs) while some of them leave their Korean Christian churches. The future of Korean ethnic society in America depends much on the extent of 2nd-generation Koreans' retention of their ethnic culture.

  • PDF

Social Geography of Homelessness in Maryland, USA (노숙자의 사회지리학적 연구 - 미국 메릴랜드주를 사례로)

  • Bae Mi-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2 s.107
    • /
    • pp.202-220
    • /
    • 2005
  • The substantial economic expansion of the 1990s with the dramatic changes in the provision of welfare services in America, including welfare services for the homeless, had unexpected and differential impacts on homelessness and poverty rates across the states. This paper examines a spatial pattern and process of homelessness by counties in Maryland, USA, considering the spatial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financial income and expenditure with sharply different poverty situation and welfare services. This social geographical approach of homelessness in Maryland focuses on the changing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omeless people and the relation=hip between homelessness and poverty; homelessness and the provision of welfare services such as shelter beds and emergency food providers. It makes a conclusion that there is an uneven sociospatial patterns of homelessness, relating to diverse poverty situation and provision of welfare services for the homeless by variable welfare policy among counties, Maryland.

Discrimination of Private Property Right Protection in the 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 Perspective of Legal Geography (미국 도시재생사업과 사유재산권 보호의 차별 - 법제지리학의 관점 -)

  • Kim, Yo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2
    • /
    • pp.245-267
    • /
    • 2012
  • This paper analyzes the discrimination of private property right protec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is implemented by eminent domain based on public use in the United States. In spit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depends on property condemnation for public use as a coercive power, it is executed on the discrimination of property right and sacrifice of the social disadvantages that transfer property from these private party to another big capitals and private developers. At first this paper investigates research trends in urban regener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suggests legal geographical perspective as a new research field. Next I figure out current state, types and numbers of brownfields site with the EPA and GAO data, and define these sites as results of deindustrialization and suburbanization process. Finally this paper uncover that the discrimination process of private property right is due to complex actions of expansion of public use concept in the U.S. Supreme Court from public ownership to economic public use, privatization of eminent domain, growth coalition regime and business friendly policy focused on economic development, class and racial bias, neoliberal movements of property right reform.

  • PDF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Geographic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A Comparative Case Study of U.S. and Korea (한.미 지리교육의 내용과 조직 비교)

  • 박선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91-210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우리나라 제 7차 사회과 규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지리교육의 방향, 내용 및 조직을 분석하고 뉴욕주의 2000년 에 제시된 그것과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지리교육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연구는 양국의 교육과정 개발 관점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서 교과로써 경쟁력을 갖춘 지리교육의 방향 및 지리적 지식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다. 뉴욕주의 지리교육은 <기본으로의 복귀> 분위기 속에서 지리교육에서 학습해야 할 6가지 핵심 요소를 추출하고 그에 따라 내용을 체계화한 반면 우리 나라의 경우 한국과 세계의 지역지리, 계통 지리의 내용을 나열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백과사전식 내용 구성은 정보화 사회에서 지리교육의 역할을 스스로 축소시키고 지리교육에 대한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미국 뉴욕주의 지리 내용과 조직은 우리나라 지리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향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지리교육의 생장력을 키우기 위한 지리 내용은 현대 사회 및 학습자의 요구와 지리학의 경향과 쟁점에 근거하여 그 핵심 요소가 선정되어야 하고, 지역적 방법과 계통적 방법을 적절하게 결함시켜 역동적이고 흥미있게 조직되어야 한다.되어야 한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Area Stud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Geography (지역연구의 특성과 지라학과의 관계)

  • 김희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243-258
    • /
    • 2000
  • 지역연구는 해외지역연구(foreign area studies)의 준말로, 연구자의 문화와는 다른 문화권 혹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학제적인 연구이다. 지역은 시대와 정의자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인지개념으로 세계지역, 문화지역, 국가단위지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지역연구는 1920년대에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전쟁 전에는 유럽지역이 지역연구의 주요 대상지역이었으며 전후 냉전시기에는 제3세계가, 그리고 현재는 전세계의 모든 지역이 연구지역으로서 주요한 가치를 지닌다. 지역연구는 정책지향적이고 학제적인 연구이며 현장연구를 중요시하는 특성을 지닌다. 지역연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공분야의 학위와 현지언어 능력, 광범위한 지역 지식, 현장 경험 등을 갖춰야 한다. 그러나 분과학문과 지역에 대한 관심의 균형 문제가 분과보편주의와 지역특수주의 간의 갈등으로 나타나 지역연구의 목적이 희석되기도 하였다. 지리학은 몇가지 이유로 인해 지난 몇 십년간 지역연구에 대해 비교적 관심을 덜 가졌다. 그러나 지리학자는 공간 상호작용의 분석과 자연환경에의 접근 등을 통하여 지역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연구의 큰 목적 중의 하나인 지역성 구명의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PDF

Reflections on the Significance of Post Offices as Indicators of the Evolution of the Red River Valley Settlement Systems in Louisiana (우편.체신업무체계에 근거한 루이지애나주 레드강유역의 취락발달 분석)

  • 홍금수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5
    • /
    • pp.681-700
    • /
    • 2000
  • 본 연구는 남북전쟁 이전 미국 루이지애나주 레드강 유역의 취락발달과정을 다루었다. 당시 프런티어에 들어선 우체국은 초기 기능지역의 결절점을 형성하였는데, 본 연구는 우체국의 업무기록에 수록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우체국취락의 발달과정을 계층구조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접근하였다. 연구는 취락계층이 정보유통량에 비례한다는 가설을 전제로 수행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크게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는데, 초장기 취락발달이 배후지역으로의 확장을 특징으로 한 반면, 시대를 내려오면서 취락내부에 계층적 분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조 변화의 주원인은 무엇보다 세계체제내에서 유럽과 미국 북동부 섬유산업의 원료로 이용되는 면화경제의 발달이었다.

  • PDF

The Research Trend of World Geography in Korean Geographers' Academic Society (한국 지리학계의 세계지리 연구 동향에 관하여)

  • Lee, J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4
    • /
    • pp.465-479
    • /
    • 2011
  •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earch trend of world geography (excluding geography of Korea) in Korean geographers' academic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last 21 years in three Korean geographical journals(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and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The portion of articles concerned with world geography is relatively the lowest during the years 1990-1994, relatively the highest during the years 1995-1999, and rather decreasing during the years 2000-2010. The research areas of the articles concerned with world geography are mostly limited to USA, Japan, China, and Europe. It is not only expected that the more research on world geography should be done by Korean geographers but also that the research areas should be expanded in worldwide areas at this time when Korea is entering an international, glob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 Study on the Availability and Utilization of Hotel REITs in Korea (호텔 REITs의 국내 활용 가능성과 활용 방안)

  • Park, Won-Se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4
    • /
    • pp.524-539
    • /
    • 2011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tel REITs' performance and operation, and to examine their use for activating the hotel industri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tel REITs underperformed average REITs and investment proportion of hotel REITs compared to total REITs has been curtailed after 1998. This is because performance of hotel REITs is sensitive to business fluctuations. Second, hotel REITs have mainly invested chain hotels, and shared their role with professional hotel management companies. Third, hotel REITs are to be useful for activating the hotel industries in Korea. In this context, major implications are presented to use healthcare REITs effectively.

  • PDF

The Study on the Procedure to Build Urban Sustainability Indicators -Based on a Case Study in America-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 연구 시설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경기;황희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307-319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 및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요구되는 ‘지표’의 개발방법과 절차를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지역으로 미국의 잭슨빌, 시애틀, 오레건 지역을, 지표개발을 위한 방법론으로서는 Maclaren의 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성 지표는 단순한 평가수단이 아니라 그 개발과정을 통해 시민그룹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과 동시에 구성원의 협력과 노력에 입각하여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강력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를, \circled1 지표개발 주체 형성 \circled2 목표 및 비전의 정립 \circled3지표개발에 따른 기본방침의 설정 \circled4 지표개발을 위한 측정 및 분석 \circled5 예비지표의 발굴과 지표선택기준 마련 \circled6 예비지표 평가를 통한 최종지표의 선택 \circled7 지표에 대한 측정 및 분석 \circled8 지표분석 결과 보고 및 발표 \circled9 지표작업평가 및 새로운 목표 수립 등 9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는 우리 나라의 지역 및 도시단위에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를 설정하는데 준거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