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국의 안보전략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US policy for Homeland Security (국토안보를 위한 미국의 대응 정책 분석 : 국토안보법을 중심으로)

  • 김현수;박상서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3 no.1
    • /
    • pp.39-50
    • /
    • 2003
  • Since the September 11, 2001, the United States has shift their national security policy for homeland from preventing or/and reducing foreign threats to ensuring domestic security. We learned from recent incident, 1.25 Internet Disaster, that it is urgent to establish cyber security policy for our nation. In this paper; therefore, I analyze the US homeland security policy, the Homeland Security Act of 2002 establishment, and cyber security-related part in this act.

  • PDF

A Study on the Asia-Pacific Security Strategy of the U.S. Navy (미 해군의 아시아 태평양 해양안보 전략에 대한 연구)

  • Jeon, Eun-seon;Go, Kyung-min;Park, T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445-447
    • /
    • 2015
  •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is rapidly changed because of the territorial dispute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near the East China Sea, North Korean nuclear bomb tests, long-range ballistic missile launching tests frequently and deployment of Chinese Liaoning class aircraft carrier. Especially,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of North Korea and Chinese A2/AD strategy by strengthening naval forces are the cause of replanning Asia-Pacific security strategy of Unites States. In this paper, it is surveyed and analyzed that changed Asia-Pacific security strategy of U.S. and rearrangement plan of U.S. Naval forces. And changed environmental situation influence on our security is analyzed.

  • PDF

미국의 안보지원정책 분석 및 발전방향(2)

  • Mun, Chang-S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296
    • /
    • pp.48-55
    • /
    • 2003
  • 미 안보지원역사는 좁은 의미로는 무기와 물품의 지원 및 판매 역사이며, 우리 의지와는 상관없이 세계정세 변화에 따라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변화해 있다. 현 부시 행정부의 안보지원정책은 미래를 위한 "능력에 기초한(Capacity Based)" 모델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존 NATO 위주에서 구매국 위주 정책으로 변환을 천명하고, 기동성이 떨어지고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무기는 과감히 도태시키고 있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주요 핵심보직에는 전력기획 및 협상을 주도할 전문가를 보직하고, 대외 군사판매(FMS : Foreign Military Sales)를 자국 경제발전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와중에서 미국은 어떤 특정국가를 챙겨 줄 여유가 없다. 우리 스스로 미국ㄱ의 전략변화와 안보지원관련 법규.제도와 업무수행 절차를 명확히 이해하여 미국의 변화 속에서 민첩히 대응하여 국가이익 차원에서 실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지향되어야 한다. 미국의 안보지원정책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지혜롭게 활용함에 따라 국가의 위기가 될 수도 있고 도약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 PDF

미국의 안보지원정책 분석 및 발전방향

  • Mun, Chang-S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9 s.295
    • /
    • pp.40-49
    • /
    • 2003
  • 미 안보지원역사는 좁은 의미로는 무기와 물품의 지원 및 판매 역사이며, 우리 의지와는 상관없이 세계정세 변화에 따라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변화해 있다. 현 부시 행정부의 안보지원정책은 미래를 위한 "능력에 기초한(Capacity Based)" 모델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존 NATO 위주에서 구매국 위주 정책으로 변환을 천명하고, 기동성이 떨어지고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무기는 과감히 도태시키고 있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주요 핵심보직에는 전력기획 및 협상을 주도할 전문가를 보직하고, 대외 군사판매(FMS : Foreign Military Sales)를 자국 경제발전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와중에서 미국은 어떤 특정국가를 챙겨 줄 여유가 없다. 우리 스스로 미국ㄱ의 전략변화와 안보지원관련 법규.제도와 업무수행 절차를 명확히 이해하여 미국의 변화 속에서 민첩히 대응하여 국가이익 차원에서 실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지향되어야 한다. 미국의 안보지원정책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지혜롭게 활용함에 따라 국가의 위기가 될 수도 있고 도약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 PDF

A Trend Analysis of in the U.S. Cybersecurity Strategy and Implications for Korea (미국 사이버안보 전략의 경향 분석과 한국에의 함의)

  • Sunha Bae;Minkyung Song;Dong Hee Kim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3 no.2
    • /
    • pp.11-25
    • /
    • 2023
  • Since President Biden's inauguration, significant cyberattacks have occurred several times in the United States, and cybersecurity was emphasized as a national priority. The U.S. is advancing efforts to strengthen the cybersecurit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cluding with allies. In particular, the Biden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y in March 2023. The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y is the top guideline of cybersecurity and is the foundation of other cybersecurity policies. And it includes public-privates as well as international policy directions, so it is expected to affect the international order. Meanwhile, In Korea, a new administration was launched in 2022, and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y is necessary. In addition,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U.S. has recently been strengthened, and cybersecurity is being treated as a key agenda 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yber security strategies of the Trump and Biden administration, and analyze how the strategies have changed, their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rms. And we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ese changes for Korea's cybersecurity policy.

세계의 신형 전투함 현황 (2)

  • Gang, Dong-Gy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182
    • /
    • pp.72-83
    • /
    • 1994
  • 미국 해군이 현존하는 구축함 중 최강이라고 자부하는 USS Arleigh Burke (DDG-51)급 구축함은 다목적 수상함을 요구하는 현대 해상전에 충분히 대응할수 있을만큼 우수한 적응성을 보유한 함정으로서 해군력의 우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려는 미국 안보전략에 대단히 중요한 수상 전력 요소의 하나이다.

  • PDF

미국 방위산업기반 구축 조망 (2)

  • Choe, In-Seok;Kim, Yeong-S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167
    • /
    • pp.68-73
    • /
    • 1993
  • 방위산업 기반에 대한 미국 국방부의 전략은 주로 안보전략에 긴급히 필요한 기술, 이런 기술에 아주 적합한 업체, 그리고 이 둘 사이의 연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민수부문 기술의 중시정책과 범 국제적인 제품의 생산, 그리고 공정기술 등이 국방획득 프로그램을 보완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제한된 산업기반 자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핵심기술 분야에서 국내 생산업체의 경쟁력을 더욱 제고시킬것으로 기대됩니다

  • PDF

국제전략문제연구소의 1989-1990 세계전략 개요

  • Kim, Hyeon-B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144
    • /
    • pp.56-66
    • /
    • 1991
  •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는 1958년에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두고 창립된 안보 및 전략문제 연구기관입니다.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이 연구소는 1989년말 현재 78개국에 걸쳐 개인회원, 1,762명, 법인회원 2백34개 기관등 2,891명(단체)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회원들은 전략 및 안보분야의 최고 전문가들로서 국제정세 및 각국 정부의 정책결정에 영향력이 지대한 인물(기관)들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영국, 서독, 일본, 캐나다, 프랑스 다음의 제7위 회원국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PDF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OK's Maritime Security Strategy White Paper (한국의 해양안보전략서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 Kim, Kang-nyeong
    • Strategy21
    • /
    • s.45
    • /
    • pp.148-187
    • /
    • 2019
  •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OK's maritime security strategy white paper.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necessity of the ROK's maritime security strategy white paper; the ROK's actual situation in relation to maritime security strategy and cases of major advanced oceanic countries; the vision, goals, strategic tasks,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ROK's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and conclusion.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marine strategic vision, such as the 'Ocean G5,' is of course possible when Korea can maintain and strengthen the maritime safety and maritime security of the people. The Sewol Ferry incident reminds us that we need a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white paper' like the advanced marine countries. In order for the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to be carried our efficiently, as in advanced oceanic countries, mere should be a dedicated department with sufficient authority and status to mobilize the co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naval-coastal cooperation. It would be good to set up a tentatively named Maritime Security Council, an organization of minister-level officials involved under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and an executive body composed of working-level officials from related ministries.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for the maritime safety and maritime security of the people like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e need to further strengthen our domestic cooperation and cooperation system,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maritime security. We have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and promotion of maritime security strategies by the Navy; strengthening the operational link between the Navy and the Coast Guard; strengthening the maritime surveillance capability at the national level, and promoting sharing with the private sector, etc.

SDI의 축소판-GPALS 지구전역 미사일 방어계획

  • Lee, Jeong-H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160
    • /
    • pp.26-33
    • /
    • 1992
  • SDI에서 GPALS로의 전환은 미국의 안보 전략의 변화이자, SDI 계획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시도로 보여진다. GPALS가 표방하는 목표는 소련뿐만 아니라 제3세계 국가들에 의한 고의적, 우발적, 또는 비인가된 미사일 공격에 대해 미국 본토 및 해외 주둔 미군, 그리고 우방국 및 동맹국 등을 방호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GPALS로 인해 SDI는 최초의 논리인 "방호"로 복귀한 셈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