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강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2초

융복합적인 웰리스를 위한 미강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for Wellness Convergence)

  • 이재혁;박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401-406
    • /
    • 2015
  • 이 논문의 목적은 미강추출물 및 탈지미강추출물의 항산화력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미강과 탈지미강은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미강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보기위해 DPPH로 유도된 free radical의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리보플라빈에 의해 유도된 Superoxide 생성 억제 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보기위해 인간 섬유아세포의 세포독성을 MTS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미강추출물과 탈지미강추출물 중에서 특히 에탄올추출물은 탁월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독성 없이 안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강 및 탈지미강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은 화장품과 같은 미용산업 분야에서 기능성 소재로 활용과 스킨케어분야에 융복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강 ethanol추출물에 의한 쌀밥의 품질 및 저장성 향상 연구

  • 김선재;문지숙;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99.2-99
    • /
    • 2003
  • 미강은 미곡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도정부산물이지만 비타민 E, 식이섬유, 오리자놀, 불포화지방산 등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콜레스테롤 상승억제효과를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적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미강을 빵, 쿠키, 스낵 등의 baked product에 적용시켜 건강식품을 제조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극히 일부가 미강유 제조에 이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이 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도정에 의해 영양학적으로 손실된 쌀밥의 영양을 강화하고 쌀밥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밥물에 미강 ethanol 추출물을 첨가하여 취반하고 쌀밥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을 측정하였다. 미강 5~15g 상당량의 추출물과 지방산에스테르 혼합물의 첨가에 의한 쌀밥의 관능적 특성은 전체적으로 기호도, 맛, 향기 면에서 우수한 평점을 얻었으며 조직감에서도 상당히 높은 평점을 얻었다. 색도, 산도, 총세균수의 측정의 결과에 의한 쌀밥의 저장안정성은 3$0^{\circ}C$에서 저장 중, 대조구에서는 3일만에 변질이 되었으나 미강추출물 첨가구에서.는 4~수일간 변질이 지연되어 첨가 농도에 따라 미강추출물의 쌀밥 저장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강추출물을 표준 토코페놀과 비교하여 DPPH 라디컬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상당한 수준의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미강추출물의 기능성 검토와 함께 쌀밥의 풍미개선을 위한 제품개발과 쌀 소비 촉진 효과가 기대된다.

  • PDF

흑미 미강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 주신윤;최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2-1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0, 1, 3, 5, 7, 9%)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흑미 미강 분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1.81{\pm}0.03$ mg GAE/g이며, 이를 쿠키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흑미 미강 분말과 쿠키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흑미 미강에는 섬유소와 지방의 성분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의 분석에서 흑미 미강은 약 80%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성분은 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로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산의 분석에서 대조군에 비해 7% 첨가 쿠키가 높은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밀도는 흑미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쿠키의 수분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손실율과 팽창률은 감소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쿠키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향, 맛, 조직감)에서 5%와 7% 흑미 미강 쿠키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성 강도 검사(흑미 미강 향, 고소한 맛, 부드러운 정도, 삼킨 후의 느낌)에서는 흑미 미강을 첨가한 쿠키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느끼한 향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흑미 미강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 제조시 기호도가 가장 높고 항산화능이 좋았던 7%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에 의한 식빵의 텍스처 및 저장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ddition of GABA rice bran and its extract)

  • 오수진;권영회;신해헌;김현수;최희돈;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14-6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처리로 GABA 함량을 증가시킨 미강 및 이의 열수 추출물을 밀가루 중량의 20%까지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물리적 특성, 저장 중 텍스처의 변화 및 잔유 GABA 함량를 분석하였다. 부피와 비용적율은 대조구에 비해 GABA 미강 첨가구는 감소한 반면, 미강추출물 첨가구는 약간 증가하거나 유지되었으며, 무게는 대조구와 첨가구에 차이가 없었다. 색도는 대조구 대비 GABA 미강과 미강추출물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L값은 감소하고, a와 b값은 증가하여 색이 진해지는 현상을 나타냈었다. 저장 중 빵 시료는 밀폐된 용기에 보관되어 수분함량의 변화는 2%이하로 아주 미미하였으나,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로 수분감소를 다소 줄일 수 있었다. 경도(hardness) 및 씹힘성(chewiness) 등의 텍스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 되었으나, 경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의 증가 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미강추출물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의 낮은 경도를 보였다. 탄력성(springiness)은 대조구와 첨가구에서 거의 차이가 없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 후에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 빵의 GABA 함량은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로 대조구 대비 40배 가량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GABA 일부가 열에 의해 손실되었으나 상당량 잔유함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GABA 미강을 직접 첨가하는 것보다 미강추출물을 첨가하여 제빵하는 것이 적절하며, 미강추출물을 5-20% 첨가하여 빵의 저장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GABA 첨가 효과로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빵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강 첨가에 따른 밀가루 반죽물성 및 제빵적성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ies of Wheat Flour Supplemented with Rice Bran)

  • 장경희;변광인;박상하;강우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9-213
    • /
    • 2008
  • 제빵용 시판 강력분에 미강을 첨가한 기능성 식빵 제조를 위하여 미강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반죽에 대한 물성, 식빵의 저장성, 제빵적성 및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제빵의 비용적은 미강 5%, 10% 첨가구에서 각각 5.2%, 0.7%의 증가를 보였으나 미강 20%,30% 첨가구의 경우는 각각 대조구의 83%, 65%에 상당하는 비용적을 나타내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강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저장성 실험에서 구운 직후의 빵 crumb의 경도는 대조구에서 19.0으로 가장 부드러운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저장 3일이 경과한 후에는 미강 5%첨가구가 가장 낮은 경도 값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대조구, 미강 10% 첨가구, 미강 20% 첨가구,미강 30% 첨가구의 순으로 경도 값이 증가하였다. 제빵에 있어서 반죽의 물성은 반죽의 작업성과 최종제품의 품질을 예상할 수 있는 척도로써 미강의 첨가가 증가할수록 반죽의 경도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반대로 미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죽의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pH에 있어서 미강의 첨가에 의해 pH은 대조구 보다 감소하였으나 미강 첨가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강의 첨가에 의해 변화하는 빵 내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L값은 미강 첨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와 미강 5% 첨가구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외형과 향에서 미강 5% 첨가구 시료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 관능적 특성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5에서 10% 정도의 미강 첨가 식빵이 영양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산패된 미강급여가 계육과 돈육의 냉동저장중 색택 및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Rancid Rice Bran on the Oxidative and Color Stability of Ground Chicken and Pork during Frozen Storage)

  • 이성기;채병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6-302
    • /
    • 2000
  • 산패된 미강을 닭과 돼지에게 급여하여 사육시킨후 도축한 고기에서 저장중 색깔과 지방산화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료배합 조성에서 탈지강을 첨가한 것을 대조구로 하여 신선한 미강(유리지방산함량 8.2%)과 산패괸 미강(유리지방산함량 15.6%)을 돼지(삼원교잡종, Landrace $\times$Yorkshire$\times$Duroc)사료에 각각 20% 첨가하여 평균 종료체중 92kg이 될 때까지 56일간 사육하였으며, 닭(Avi-an 종) 사료에 각각 10%를 첨가하여 3주령부터 급여를 시작하명서 3주간 사육하였다.도축후 1$^{\circ}C$에서 24시간 후에 발골 및 세절하여 함기포장을 한 다음-2$0^{\circ}C$에서 3개월간 저장하였다. 산패된 미강급여구는 신선한 미강급여구에 비해 저장중 명도(L*)가 낮았고 적색도/황색도(a*/b*)는 높았다. 모든 급여구는 저장기간 동안 황색도(b*)는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감소하였다. 저장 0일에 비해 3개월에 있어서 계육과 돈육의 적색강도 감소율을 보면 산패된 미강급여구가 66%와 67%로 미강급여구의 84%와 78%나 비급여구의 84%와 77%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가장 많이 변색되었다. 세절육의 냉동중 지방산화는 계육에서 더 많이 진행되었고 저장 1개월만에 급증하였다. 미강을 급여구가 신선한 미강급여구에 비해 산화억제력이 약했다. 따라서 닭과 돼지에 미강을 급여하면 탈지강 급여구에 비해 식육에서 지방산화를 더 많이 억제시키지만, 미강의 산패 정도가 식육의 산화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seudomonas putida 21025가 생성하는 bacteriocin을 이용한 항균성 미강 단백질 필름의 저장성 향상 (Improvement in Storabilities of Rice Bran Protein Film Containing Bacteriocin Produced by Pseudomonas putida 21025)

  • 김은정;김경미;배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11-416
    • /
    • 2003
  • 쌀에 존재하며 토양미생물인 Pseudomonas putida 21025를 미강에 배양하여 생성되는 bacteriocin을 미강 필름에 첨가하여 미강필름의 저상성향상을 조사하였다. Pseudomonas putida 21025를 접종한 미강 액체배지는 초기배지 pH 6.48로 자연그대로의 미강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항온 배양기에 3$0^{\circ}C$, 150 rpm으로 33시간 배양하여 bacteriocin을 생성하였다. bacteriocin 첨가 후, 필름 가공시에는 bacteriocin의 생산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pH 9.4로 조절한 후 한 시간 이내 교반, 8$0^{\circ}C$로 가열 후 2분간 유지의 총시간을 20분 이내로 하여 미강 단백질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미강 단백질 필름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을 조사한 결과 20% bacteriocin을 첨가한 미강 단백질 필름이 첨가하지 않은 단백질 필름 보다 아미노태 질소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acteriocin이 미강 단백질 필름 코팅재의 저장기간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볶은 미강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roasted rice bran)

  • 신현광;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1-407
    • /
    • 2017
  • 볶은 미강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부피 및 비부피, 굽기 및 냉각 손실률, 총산도, 수분활성도, 색도, 조직감, 관능검사 등을 조사하였다. 식빵의 품질 특성 결과에서 식빵의 부피 및 비부피는 볶은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였다. 식빵의 굽기와 냉각 손실률은 볶은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볶은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pH는 낮아지고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볶은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rust와 crumb 색도 변화는 볶은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은 낮아졌으며,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였다. 볶은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점착성(gumminess)은 증가하였고, 응집성(cohesiveness)은 감소하였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는 볶은 미강을 5%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이 대조구에 비해 같거나 다소 높았으며, 15% 첨가구는 낮았다. 이상의 연구로 식빵 제조시 볶은 미강 5% 첨가는 제품의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 기능성 빵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강 분말 첨가 파운드 케이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Prepared with Rice Bran Powder)

  • 장경희;강우원;곽은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0-255
    • /
    • 2010
  •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진 미강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강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파운드케이크의 반죽에 대한 비중은 대조구가 0.78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미강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파운드케이크의 부피(mL)는 대조구가 612.50 mL, 30% 첨가구가 690.00 mL으로 미강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파운드케이크의 수분함량은 미강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파운드케이크의 pH는 미강첨가 20%에서 6.91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파운드케이크의 색도 측정값 중 명도와 황색도는 미강의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고 적색도는 높아졌다. 파운드케이크의 조직감은 미강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경도와 점착성, 씹힘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미강의 지방함량이 경도의 변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파운드케이크의 관능기호도는 미강 20% 첨가구가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냈으며 미강 첨가 파운드의 제조 시에는 관능 기호도와 물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 10%~20%의 미강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